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트렌드를 만들어 내는 유일한 방법은 이분법적 사고에서 탈피하는 것이다. PD들이 트렌드를 읽기 위해서는 나와 다른 생각과 행동을 하는 사람을 나의 틀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황상민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한국PD연합회가 16일 개최한 ‘한 발 앞서 세상을 읽는 눈’(한세눈) 강연회에서 ‘한국인의 소비행태와 디지털 문화 트렌드’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PD들에게 이 같이 조언했다.  또한 황 교수는 ‘재미’와 ‘새로운 경험’을 디지털 시대의 트렌드로 꼽았다.

KBS 신관 5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이날 강연회에는 100여 명의 PD들이 참석, ‘한세눈’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16일 열린 한세눈 강연회에 참석한 PD들이 강의를 경청하고 있다.
 

나와 다른 생각과 행동을 나의 틀로 분석하라

황 교수는 “트렌드는 ▲요즘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것을 소재로 하는 지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 ▲ 케이블 TV, 디지털 시대, UCC 등의 변화가 무엇을 뜻하는가 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정리했다.

 
 
비트겐슈타인-곰브리치의 애매도형

 

황 교수는 ‘토끼처럼 보면서 오리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오른쪽 그림), ‘먹물이 뿌려진 그림에서 다양한 사물을 연상할 수 있다는 것’, ‘동일한 크기의 사물을 공간 배치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는 그림’, ‘뫼비우스의 띠처럼 공간감이 뒤틀린 그림’ 등을 사례로 제시하며 “동일한 사항을 우리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고 말이 안 되는 상황이 충분히 통하는 것이 세상”이라고 말했다.

또한 황 교수는 “‘성공하는 것’과 ‘실패하는 것’의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도 트렌드를 정확히 읽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황 교수는 “몇 년 전 사이버 가수 아담은 실패했지만 인터넷의 ‘아바타’는 성공했다. 또한 핸드폰에 신용카드를 접목한 ‘모네타’라는 서비스는 실패했다. 핸드폰을 가지고 다니는 심리와 신용카드를 쓰는 심리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인의 소비행태와 디지털 문화 트렌드를 주제로 강연한 황상민 교수.

‘재미’와 ‘새로운 경험’ 추구하는 것이 트렌드

“카트라이더라는 경주 게임에서는 남들보다 빨리 목적지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과 경주할 때 진로를 방해하며 툭툭 막는 것 자체에 즐거움을 느끼기도 한다. 그들에게 이기고 지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냥 재미있으니까 한다. 새로운 경험을 갖고 싶어하는 것이다.”트렌드에 대해 황 교수는 이처럼 ‘재미’와 ‘새로운 경험’이라는 단어를 선택했다.  

이어 황 교수는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행동 코드를 ‘청소년 문화’와 ‘사이버 공간에서 발견된 문화’를 통해 설명했다. 황 교수는 “ ‘코스프레 마니아’, ‘시체 놀이하는 아이들 옆에서 별 관심없이 즐기는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 다양한 행동 패턴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며 “사이버 공간에서도 온라인 게임 세상을 통해 자신의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고 불특정 다수와 지식이나 취미들을 공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이버 신인류’와 ‘오타쿠’

황 교수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트렌드를 이끄는 사람들로  ‘사이버 신인류’ 와 ‘오타쿠’를 지목했다.

황 교수는 “사이버 신인류는 ▲ 새로움에 대해 두려움이 없으며 ▲ 새로운 것이 오히려 매력이 되며 ▲ 재미있으면 특별한 이유 없이 일하며 ▲ 일과 놀이가 구분이 잘 안 되는 사람들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오타쿠는 ▲ 현실이 아닌 가상세계에 몰입한 인간 ▲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몰입하는 사람 ▲ 인기도 없고 사교적이지도 않으며 한 분야에 푹 빠져 사는 외골수 ▲ 마음먹은 것에 대해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는 사람을 뜻한다”고 말했다. 오타쿠(おたく)는 어떤 분야에 광적으로 매달리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이다.

황 교수는 “ ‘오타쿠’와 ‘사이버 신인류’가 기존세대와는 다른 ‘새로움’이라는 개념을 해석하는 근거를 제시한다”며 “ ‘에디슨’은 ‘오타쿠’처럼 기존의 틀을 벗어나 미친 듯이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황 교수는 “오타쿠의 행동패턴이 전혀 다른 방식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으며 콘텐츠 기획자인 PD에게도 ‘오타쿠’의 행동패턴이 새로운 프로그램 기획의 열쇠가 될 수 있다”면서 “잘 아는 소재를 낯설게 보고 지금과는 다르게 접근하는 것이 트렌드를 만들어 내는 방법이고 인간의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기수 기자 sideway@pdjournal.com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