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만한 경영을 개혁하자는 취지로 시행된 KBS ‘대팀제’가 3년 만에 바뀐다.

KBS 노사는 3일 ‘선임 팀원에게 근무평가권, 중간결재권에 대한 권한을 주는 방안을 골자로 한’ 팀제 개선안을 합의했다.

그러나 KBS 내부에서는 “이번 개선안이 KBS ‘대팀제’의 장점인 팀원들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살리지 못하고 경직된 관리 조직으로의 회귀가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합의된 팀제 개선안의 주요 내용은 ▲선임 팀원은 본부장(센터장, 총국장)이 지정하여 소관부사장의 결재를 받아 공지, 시행 ▲선임 팀원에게 40%의 근무평가권을 부여하고 팀별 업무특성을 고려해 중간결재권을 탄력적으로 부여 ▲선임팀장 권한 강화로 본부별 선임팀을 지정하고 분장 업무 등을 명시하고 있다.

이번 팀제 개선안은 표면적으로는 노사가 양보하면서도 양측 모두 실리를 챙긴 측면이 강하다.

언론노조 KBS 본부(위원장 박승규, 이하 KBS 노조)는 KBS 노조위원장 선거 때부터 공약으로 ‘대국 소팀제’를 주장해왔다. 조봉호 KBS 노조 사무처장은 “‘대국 소팀제’는 공약사안으로 ‘대팀제’를 운영하면서 관리 누수현상, 팀원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중간 점검이 잘 되지 않았다”며 “자율성이라는 미명 하에 조직이 체계적이지 못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측은 노조가 그동안 주장해 온 ‘대국 소팀제’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특히 27년 만에 추진하는 수신료 인상 국면에서 소팀제로 전환했을 경우 ‘간부 수가 다시 늘어났다’는 비판과 함께 수신료 인상 추진이 중단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노사는 형식적으로 ‘대팀제’의 틀은 유지하면서도 팀장과 팀원의 중간 단계인 선임 팀원의 역할과 권한을 강화하는 선에서 팀제 개선안을 합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창석 KBS 인사기획팀장은 “‘대팀제’를 3년 시행하다 보니 팀장에게 업무가 과부하로 몰리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제시됐다”며 “선임 팀원에게 역할을 줌으로써 기존의 골격은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팀제를 개선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팀제 개선안에 대해 KBS 내부에서는 “선임팀원이 중간 결재권과 근무평가권을 가질 경우 자연스럽게 과거 국부제와 같은 조직구조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KBS 기술인협회는 “선임 팀원에게 근무평가권을 준다는 것은 직위개념을 부여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선임 팀원에게 근무평가권을 주되, 관료화 방지를 위해 상향평가도 동시에 실시하도록 명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BS PD협회는 “현행 팀제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자칫 팀제의 장점까지도 훼손시키고 팀제의 근간을 흔들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협회는 “팀제는 제작 현장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확대하고 현업과 현장 중심의 제도라며 “팀제 개선에 앞서 유명무실한 전문가 제도에 대한 상세한 보완책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KBS는 2004년 7월말 대팀제로 전환하면서 국장급 124명, 부장급 334명, 차장급 663명 등 모두 1121명에 이르던 간부가 186명(본부장·센터장·팀장 등)으로 대폭 줄었다. 이는 ‘일하는 조직으로 거듭나자’는 내부 개혁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이기수 기자 sideway@pdjournal.com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