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시장 둘러싼 주도권 다툼 치열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의 에미상을 선정?시상하는 미국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 Foundation)에서는 매년 미국에서 방송을 공부하는 교수들을 초대해 방송 제작 현장을 연수시키는 프로그램을 주관한다.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열린 ‘2007 Faculty Seminar’에 참석한 이헌율 샌프란시스코 주립대 교수의 세미나 참관기를 4회 연속으로 싣는다. <편집자주>

미국의 에미상을 선정?시상하는 미국 텔레비전 예술과학 아카데미(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 Foundation)에서는 매년 미국에서 방송을 공부하는 교수들을 초대해 방송 제작 현장을 연수시키는 프로그램을 주관한다.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열린 ‘2007 Faculty Seminar’에 참석한 이헌율 샌프란시스코 주립대 교수의 세미나 참관기를 4회 연속으로 싣는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 미국 작가들의 막강한 힘
2.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프로그램 제작
3. 시청률, 돈, 그리고 편성
4. 뉴미디어와 새로운 유통망 

지난 5일부터 시작된 미국 방송 작가들의 파업은 이번 주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이제는 CBS 소속의 뉴스 제작팀들도 파업을 거론하고 있어서 방송 중단이 장기화 될 조짐이다. 하루 2000만 달러가 넘는 경제적 손실이 예상되는 이번 파업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다양해진 배급통로 때문이다.

결국 제작된 프로그램을 누가 소유하고 어떻게 수익을 나누는가 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다. 요즘 들어오는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채널에서의 수익구조에 대한 공감대가 아직도 형성되지 않았다는 것도 이번 파업의 해결을 힘들게 하는 이유다.

이번에 만난 대부분의 미디어 기업 경영자들이나 변호사들은 이 새로운 시장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없다며 정확한 판단을 내리는 것을 회피했다. 아직도 성숙될 가능성이 많은 시장이기에 어떤 식으로 발전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속내는 괜히 멋도 모르고 프로그램에 대한 수익을 나눠줬다가 손해 보는 것을 피하고 싶은 것이다.

이는 이번 파업이 과도기에서 생기는 어쩔 수 없는 혼란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기존의 미국 프로그램 시장은 지상파와 신디케이션의 양분구조였다. 하지만 뉴미디어와 미디어 통합 시대엔 발상 자체가 달라진다.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선 나라간의 구분도 없고, 초방, 재방의 구분도 없다. 다운로드를 받아서 보는 시청자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그런 규정은 방송하는 쪽을 위한 규정이지 보는 사람에게 별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다. 결국 지금은 미디어 기업들이 다매체 환경에서 다양한 수익구조를 시험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 여기서 미국의 프로그램 소유구조의 과거와 현재를 한번 살펴보자. 방송물이 제작되면, 그 소유권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눠지고 이는 작가 개인과 프로덕션 회사, 그리고 스튜디오나 네트워크 사이의 계약에 의해 결정된다. 보통은 네트워크나 스튜디오가 돈을 대는 대신 첫 번째 방송권을 그들이 갖게 된다. 예를 들면 <러스트>를 정규 방송 시간에 방영하면, 네트워크에서는 돈을 내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그것이 재방, 삼방 되면, 기본 노사 간의 합의에 따라 방송사가 추가 수익을 나눠주게 돼있다. 게다가 제작자들이나 작가들이 계약에 들어가 있다면, 그들의 수익률이 더 높아진다. 

그리고 얼마간의 시간이 지난 후 이 프로그램이 신디케이션 시장에 팔릴 때에는 작가들은 다시 그것에 대한 방영료를 받게 된다. 이것은 보통 첫 번째 신디케이션으로 오는 돈이 가장 크고 다음부터는 점점 줄어 나중에는 몇 센트로 줄어들지만, 그래도 잊지 않고 돈은 지불하게 되는 것이다.

신디케이션 시장은 아주 복잡한데, 방영권의 소유자는 방영권을 여러 가지로 분할해?직접 방송사에 팔기도 하고, 또 신디케이션 시장을 주로 하는 배급업자에게 팔기도 한다. 70~80년대에 규제가 있어서 네트워크가 신디케이션에 대한 권리를 소유하지 못했을 때는 이 돈은 대부분 제작자나 작가들이 모두 가지고 갔다. 그래서 미국 내 독립 프로덕션들과 스튜디오들이 그 득을 보았다. 하지만 90년대 중반 이후 규제가 폐지되면서 그 득은 다시 네트워크로 돌아가 요즘은 거의 모든 신디케이션 소유권을 네트워크에서 갖고 있다.

이번 연수에서도 그것을 직접 목격할 수 있었다. CBS 방문 중 만난 두 명의 프로듀서들은 거의 비슷한 포맷의 대중 드라마(Soap Opera)를 바로 옆 스튜디오에서 같이 제작하고 있었다. 그런데 한쪽은 70년대부터 제작을 해 거의 모든 수익이 제작자들에게 가는 반면, 다른 한 쪽은 규제 폐지 이후 시작된 것이라 프로듀서는 월급 정도만 받는 수준이라고 한다.

물론 의 제작자인 제리 브룩하이머와 같은 이들은 프로그램의 힘 때문에 보다 좋은 조건으로 계약을 하지만, 이것은 극소수의 경우다. 다른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거의 네트워크에서 나오는 자본으로 제작을 하고 네트워크의 방송 결정에 프로그램의 미래가 좌우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불평등한 계약을 할 수 밖에 없어진다.

그래도 옛날이 좋았던 것은 그나마 이 모든 결정들이 시청률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 때문이다. 어떤 프로그램이든 시청률이 낮으면 종방되고, 좋으면 나빠질 때까지 몇 시즌이든 계속 만들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광고 수입에 대해 다른 대안적인 수익구조가 나오면서 여러 가지 모색과 실험을 네트워크에서 하고 있는 것이다. 당장에 시청률이 좋지 않아도 다른 쪽으로 수익이 날 수 있다면 다시 생각할 문제가 되는 것이다.

요즘 방송되고 있는 NBC의 <오피스>나 <30록> 같은 프로그램이 낮은 시청률에도 불구하고 종방되지 않는 이유는 이들 프로그램이 아이튠(iTune)에서 다운로드 1, 2위를 달리고 있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그리고 몇 년 전 폭스의 <패밀리 가이즈(Family Guys)>라는 프로그램이 종영을 결정했다가 DVD 판매가 잘 나오자 다시 방송을 결정하게 된 것도 같은 이유다. 그래서 한 발제자가 말한 것처럼 요즘 네트워크는 미래의 수익 창출을 위해 프로그램들을 시청자에게 노출시키는 데 더 큰 기능이 있다.

결국 텔레비전 시장의 경쟁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텔레비전이 미디어기업군 중의 하나로써 다른 미디어와 연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졌다는 점이고, 그런 가운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경쟁은 전방위로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미디어의 경쟁은 장수끼리 싸우는 근대전에서 모든 병사들이 전면에서 싸우는 현대전으로 바뀐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 이헌율 통신원 / 샌프란시스코 주립대 교수, nomedia@gmail.com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