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낯선 수상소감 그리고 독립PD의 고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영기 독립PD협회장

한국PD대상 시상식이 있던 날. 항상 카메라 뒤에서만 있었던 수상자(PD)들의 얼굴이 카메라 포커스를 받았다. 그런데 수상자 중에 참으로 이상한(?), 낯선 수상소감이 있었다.

▲ 최영기 독립PD협회장

바로 독립제작 부문에서 KBS <수요기획> ‘들꽃처럼 - 두 여자 이야기’로 작품상을 받은 이승준 PD의 수상 소감이다. 그는 “독립 PD들은 늘 배고프다”며 “7년간 공들인 작품이 방송에 나가면서 저작권을 더 이상 갖지 않게 됐다. 늘 배고픈 독립 PD들에게 힘을 줄 수 있는 방법은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는 거라고 생각한다”고 수상소감을 대신했다.

나는 수상소감을 듣는 순간, 온몸에 전율을 느꼈다. 지상파 생방송에서 독립제작에 대해 ‘저작권’에 관한 발언을 처음으로 듣고 있다는 것과 같은 독립PD인 입장에서 만감이 교차하는 감정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승준 PD의 말 안에는 단지 수익의 분배, 이권의 분배라는 실리적 문제 해결을 떠난 또 다른 차원의 중요한 의미가 내포해 있다고 해석되기 때문이다.

사실 저작권 문제는 계약의 주체인 ‘갑’과 ‘을’, 즉 방송사와 독립제작사 간의 원천적 관계이기 때문에 PD가 콘텐츠 제작의 선봉에 있다 해도 독립PD는 저작권 문제 해결의 주체가 현실적으로 아니다. 소수의 개인 독립PD를 제외 하고는 대부분 독립제작사의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으로 소속되어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립PD의 저작권 문제를 포함한 총체적 문제 해결점을 찾으려면 2중, 3중의 이해관계와 동반된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점을 알고 있으면서 왜? 독립PD의 입에서 저작권 문제를 언급한 것일까?

그 '배고픔'이라는 것이 경제적 부족함을 말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다. 자신의 미래에 대한 ‘희망’의 불씨가 꺼지지 않길 바라는 절실함이 담겨 있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방송사와 드라마제작사 간의 저작권 문제와 이승준 PD가 말한 저작권문제는 공통분모가 있으면서 분명히 다른 점이 있다. 이승준 PD의 발언에는 파이를 놓고 벌이는 공정한 분배의 논리 외에 방송 콘텐츠를 만드는 사람의 보전과 양성에 대한 논리가 함축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승준 PD는 독립 PD의 현실적 상황 안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생들의 직업선호도조사에서도 방송전문가는 선호하는 직업이다. 하지만 방송사의 채용규모는 극히 제한적이며, 방송 제작에 꿈을 가지고 있는 젊은이들이 여러 경로를 통해 방송사 비정규직이나 독립제작사로 유입되고 있다.

콘텐츠와 독립제작사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외주제작 의무 편성비율이라는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제도가 정착되면서 많은 독립제작사가 탄생했고, 소위 독립PD라는 직군이 형성되어 현존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이렇게 유입된 젊은 인력들은 오래 버티지 못하고 물러선다. 방송사 외주환경에 있는 독립PD에 관한 노동시간이나 임금 규모는 조사된 바가 없어서 구체적으로 알 수 없으나, 저임금과 고강도의 노동이 독립PD들의 실상임은 필자인 내가 잘 알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열정을 품은 젊은이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의 등대불이 보이지 않아 처음에 품었던 열정이 식어버려 조용히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평균적으로 독립PD의 정년은 30대 후반 아니면 40대 초반이라고들 한다. 나로선 믿을 수 없지만 그것이 현실이라고 열변한다. 

방송환경은 이미 외주제작 의무 편성비율을 넘어서 있고, 방송사도 고용의 유연화 및 비용절감을 위해 예전 보다 비정규직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과거엔 콘텐츠를 실어 나르는 플랫폼이 지상파 하나였지만, 뉴미디어 시대에 새로운 플랫폼이 계속 등장하면서 지상파 독주의 시대는 이미 막을 내렸다.

즉 방송환경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결국 콘텐츠 생산의 다양성 면에서도 그렇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측면에서도 지상파와 독립제작사의 건강한 관계 정립과 ‘윈윈(win-win)’ 전략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맥락 하에 저작권 문제가 새로이 대두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그 큰 목소리 안에 사람의 중요성은 한 단어도 찾아볼 수 없고, 그저 공정한 분배의 논리만 팽배하다.

방송 콘텐츠는 사람이 만든다. 방송 노동시장은 창의적이고 재능있는 젊은 피들이 끊임없이 수혈되어야 하는 곳이다. 이것이 없다면, 우리나라 방송 콘텐츠의 미래는 없다. 우리나라의 방송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말 능력 있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독립 PD들이 많이 양성되어야 할 것이고, 이들의 경력이 40세의 문턱에서 주저앉게 되는 터무니없는 일 또한 없어져야 할 것이다.

우리에게 지금 필요한 것이 공정한 분배의 논리와 함께 ‘윈윈(win-win)’하는 한국방송의 미래를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이 구축되어져야 한다면, 그 안에서 방송 독립PD의 안정적인 직군(職群)의 형성과 방송 비정규직의 처우 개선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진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이승준PD의 수상소감은 참 낯선 수상소감이면서 보이지 않는 회오리바람이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