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카메라 막는 정부의 "독도" 정책
상태바
TV 카메라 막는 정부의 "독도" 정책
  • 승인 2000.02.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ontsmark0|지난 연말 방송계는 밀레니엄 특집으로 분주했다. 새 천년 첫 일출을 담기 위해 국내는 물론 세계 각지에 카메라를 설치했다. 그러나 정작 해가 제일 먼저 뜨는 독도에는 카메라조차 설치할 수 없었다. 밀레니엄 특집에서 독도 촬영을 맡은 kbs 윤명식 차장은 "입도 허가가 안돼 결국 배 위에 카메라를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독도에서의 행사가 일본을 자극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 정부가 입도를 막는 이유였다"고 말했다. 도움을 받기로 한 해군도 협조를 거부해 금강산 관광선 위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독도에는 중계장비만 들어갈 수 있었다.
|contsmark1|
|contsmark2|해군이 준비하던 독도 근해 일출맞이 행사도 "군이 공식적으로 독도에서 행사를 갖는 것은 일본과 외교적 마찰이 일어날 수 있다"며 외교통상부가 만류하기도 했다.
|contsmark3|
|contsmark4|
|contsmark5|
|contsmark6|
|contsmark7|정부가 독도에 대해 이렇게 접근을 막는 것은 지난 98년 한일어업협정으로 독도에 대한 우리나라의 배타적 영유권이 훼손됐고 독도 근해를 중간수역으로 빼앗겨 사실상의 "분쟁지역화" 되었기 때문. 지난 연말 민족문제연구소와 언론노련 등 시민단체와 대학생들로 구성된 독도 해맞이 행사단들도 독도수비대에게 쫓겨났다. 이 행사에 참여했던 전영일 전 kbs 노조위원장은 "지난해 독도를 imf 외자유치와 맞바꿔 팔아먹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일본을 우려해 언론사의 독도 접근을 막은 것은 굴욕적인 행동이다"고 말하고 "실질적으로 독도의 근해의 절반을 내준 지난 어업협정에 대해 언론은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으며 이번에 독도촬영이 거부된 일도 공론화 시켰어야 한다"며 언론의 책임성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2002년에 있을 어업협상 재협상을 대비해서라도 언론이 독도의 자주권 문제를 계속 관심 있게 제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contsmark8|
|contsmark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