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 한국방송학회·KBS 공동연구 심포지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송환경 변화와 한국 공영방송, 위기인가 기회인가?"

|contsmark0|지난 16일 kbs와 한국방송학회는 "방송환경 변화와 한국 공영방송, 위기인가 기회인가?"를 주제로 공동세미나를
|contsmark1|열었다.
|contsmark2|
|contsmark3|
|contsmark4|첫 번째 "전환시대의 공영방송 논의를 위한 패러다임 정립"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조항제(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
|contsmark5|수는 "새로운 세기를 열었지만 아직까지 한국 방송에서 "공영방송"은 가장 크고 또 가장 결정적인 화두"라며 "그
|contsmark6|동안 많은 방송모델이 검토되었지만 특히 유럽의 공영방송 모델은 한국의 논의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말했
|contsmark7|다.
|contsmark8|
|contsmark9|
|contsmark10|조 교수는 "유럽 공영방송의 구질서는 이념에서는 반 상업주의와 보편주의로, 제도에서는 특정한 공공체에만 방송
|contsmark11|을 허용하고 준조세인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제도로 구성되었다"며 "구질서가 무너지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반
|contsmark12|상업주의-보편주의-제도적 시장장벽-수신료 중심체제가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contsmark13|
|contsmark14|
|contsmark15|조 교수는 이어 "sbs의 등장으로 "구질서"가 와해되면서 "기간" 공영방송인 kbs와 또 다른 공영방송인 mbc,
|contsmark16|ebs, 그리고 상업방송인 sbs와 케이블 tv 등이 치열한 경쟁의 상황을 연출하고 있는 등 유럽과 한국의 현 상황
|contsmark17|은 외형적으로는 매우 유사하다"며 "지리했던 방송법 개정과정이 남긴 가장 좋은 유산중의 하나는 보편적 서비스
|contsmark18|를 하면서 공적 책임을 지는 지상파 공영방송이 생산비용은 낮아지지 않고 소비자 지출은 지체되는 불균등하고 불
|contsmark19|평등한 미래의 방송시장에서 여전한 방송의 중심, 문화적 민주주의의 보루로 서기를 바라는 합의로 볼 수 있고 이
|contsmark20|합의를 더욱 의미 있게 하기 위해 kbs가 주력해야 하는 전략은 "보완적"에 무게를 두는 질 우위의 대립 전략"이라
|contsmark21|고 주장했다.
|contsmark22|
|contsmark23|
|contsmark24|"매체기술환경 변화와 한국 공영방송의 대응전략"을 주제로 두 번 째 발제에 나선 정윤식(강원대 정치언론학부) 교
|contsmark25|수는 "다미디어, 다채널화가 진행되면 공영방송은 다채널 네트워크의 확보와 미디어시장에서의 시장지배력의 유지,
|contsmark26|확대라는 측면에서 지상파 디지털 tv, 위성방송, 인터넷사업 등에 적극 참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contsmark27|정 교수는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성공을 위해 안정적인 재원마련이 필요하며 kbs의 경우 수신료 인상을 검토해야
|contsmark28|하지만 용이하지 않을 경우 민간기업과의 파트너쉽 및 유료방송이나 부가서비스를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contsmark29|"dtv 설비배치의 비용절감이라는 측면에서도 kbs의 지역방송사는 광역화가 불가피히며 지역방송의 광역화=구조
|contsmark30|조정이라는 인식으로 이해하지 말고 지역방송의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contsmark31|
|contsmark32|
|contsmark33|또 "우리의 방송 질서와 규범을 고려할 때 공영방송사를 배제한 위성방송 사업자구도는 설정하기 어렵다"고 덧붙
|contsmark34|였다.
|contsmark35|
|contsmark36|
|contsmark37|"다채널 시대 제작환경의 변화와 방송의 미래"를 주제로 마지막 발제에서 윤선희(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현
|contsmark38|재 진행되는 방송 제작 환경의 변화 양상을 다채널화와 경쟁체제의 도입"으로 요약했다.
|contsmark39|
|contsmark40|
|contsmark41|윤 교수는 "흔히 다채널 시대가 오면 방송의 독과점체제가 도전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되었지만 우리의 케이블 역
|contsmark42|사를 보더라도 지상파의 독과점적 위치를 위협하는 데 실패했다"며 "오히려 우리의 경우 방송 시장이 경쟁체제의
|contsmark43|위협을 체감하게 된 것은 imf라는 경제환경의 변화"라고 지적했다.
|contsmark44|
|contsmark45|
|contsmark46|윤 교수는 "방송이 국제 시장에서 경쟁자로 등단하게 되는 것은 국내 제작물을 해외 시장에 수출해 수익을 올리는
|contsmark47|일이고 두 번째는 해외 투자 유치나 공동제작의 형태로 국제 자본을 도입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기르는 것"
|contsmark48|이라고 제안했다.
|contsmark49|
|contsmark50|
|contsmark51|이어 제작환경의 변화속에서 방송사들의 활로로 윤 교수는 세 가지를 제시했는데 첫 번째로는 방송인력 개개인의
|contsmark52|경쟁력을 키워야 하고 둘째로 외주제작에 대한 새로운 보완장치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는 영상산업을 키우기 위한
|contsmark53|외주제도나 지원 정책이 시장 효과로 유도되기 위해서는 외주제작의 편성 의무를 넘어 제작비 쿼터가 시행되어야
|contsmark54|한다고 주장했다.
|contsmark55|
|contsmark56|
|contsmark57|발제에 이은 토론에서 한균태(경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공영방송은 방송환경의 변화에 맞는 적합한 서비스를
|contsmark58|공급해줘야 하고 공영방송이 대중문화의 골격을 만든다는 점에서 책임성이 크기 때문에 공영방송을 규정하고 지탱
|contsmark59|하는 "가치"를 만들기 위한 논의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contsmark60|
|contsmark61|
|contsmark62|김대호(인하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공영방송은 상업성이 아니라 "질"로 승부해야 하고 위성방송으로 일컫는 뉴
|contsmark63|미디어 등 다매체 시대에서 공영방송의 역할은 한층 크다"고 말했다.
|contsmark64|
|contsmark65|
|contsmark66|김성호(kbs 밀레니엄 기획단) 국장은 "1980년 이후 다매체 다채널 시대로 접어들면서 공영방송이 급변하기 시작
|contsmark67|했다"며 "새로운 질서하에서 우리의 공영방송이 나아갈 전략을 만드는 것이 시급하며 현실적으로 모든 프로그램이
|contsmark68|유익하면서 재미가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상업방송과의 단순한 "경쟁"으로는 않된다"고 주장했다.|contsmark69|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