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기 방문진 민영화 구체적 언급…“MBC 압박용” 해석도

8기 방송문화진흥회(이사장 김우룡, 이하 방문진) 이사진이 MBC 민영화 의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면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MBC의 단계적인 민영화론을 주장해 온 김우룡 이사장은 지난 13일 기자간담회에서 “100% 민영화는 가능하지 않다”면서도 “MBC의 위상과 소유구조에 관한 문제는 모든 경우의 수가 열려 있고, 뭐든지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포스코나 KT&G가 참작할만한 모델이 될 수 있다”며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특히 “주식회사가 공영방송인 곳은 세계에서 MBC 하나뿐”이라며 방문진이 MBC의 최대주주인 현행 체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최홍재 이사도 임명 전부터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연내 민영화 논의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해 왔다. 그는 또 지난 19일 〈미디어워치〉 사설을 통해 “지난 2월 MBC 공정방송노조에서 자체 조합원 81명에 대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민영화(49%)가 공영화(40%)보다 높게 나왔다”며 “‘누구누구만’이 원하고 있다는 식의 사실 왜곡은 삼가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

‘MBC 민영화’는 그동안 한나라당과 보수우파에서 ‘MBC 손보기’의 일환으로 압박해온 카드다. 이명박 대통령도 대선 후보 시절 KBS2TV 분리, MBC의 단계적 민영화 등을 주장한 바 있다. 뉴라이트 계열의 자유주의진보연합도 지난달 22일 한나라당이 언론관계법을 표결 처리를 강행한 직후 논평을 내고 “미디어법이 통과됐으니 다음 순서는 MBC 민영화”라며 “정부는 정수장학회 지분을 인수하여 소유구조를 방문진 30%, 우리사주 조합 10%, 일반 국민 60%로 바꾸어 공익적 민영방송으로서 MBC를 변화시켜야만 한다”고 촉구했다.

MBC 민영화의 선결 조건으로 지역MBC 매각설도 급부상하고 있다. 김우룡 이사장은 “지역MBC를 몇 년에 걸쳐 매각함으로써 MBC 경영을 정상화 하고 신사옥 진출이나 여러 가지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여러 경우의 수 중 하나로서 지역사회에 돌려주는 게 좋은 방안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19개 MBC노조들은 “지역MBC를 호구로 여기냐”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MBC본부(본부장 이근행) 산하 19개지부는 지난 14일 ‘김우룡 이사장에게 띄우는 공개편지’를 통해 “‘서울MBC만 MBC이고, 지역MBC는 그저 서울MBC가 소유한 동산이나 부동산으로 여기는 사고’를 드러낸 것”이라며 “‘지역MBC 매각’이라는 표현은 전국 MBC 구성원의 절반인 지역MBC 구성원을 ‘물건’ 취급하는 것이며, 전국민의 절반인 비수도권 거주 국민들을 ‘무생물’ 취급하는 것”이라고 성토했다.

그러나 MBC 민영화가 말처럼 쉽지는 않다. 김 이사장이 당초 주장했던 단계적인 민영화를 위해선 지역MBC의 매각이 선행돼야 하는데, 당장 이부터가 쉽지 않다. 또 정수장학회가 소유한 지분 30%를 처리해야 하고, 방문진의 지분 처리를 위해선 방송문화진흥회법을 먼저 개정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MBC 한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MBC를 길들이기 위해 민영화 카드를 꺼내드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방문진법 개정 등의 변수를 완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방심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