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사 중계권 분쟁, 사보에나 할 얘기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라디오뉴스메이커] 정희준 동아대 스포츠과학부 교수, CBS ‘김현정의 뉴스쇼’

SBS의 밴쿠버 동계올림픽 단독중계를 두고 KBS, MBC가 메인뉴스까지 동원해 비판기사를 쏟아낸 가운데, 정희준 동아대 스포츠과학부 교수는 “사내 소식지에나 등장해야 될 얘기를 뉴스를 통해 들어야하는 것은 고역”이라고 쓴소리 했다.

▲ 정희준 동아대 교수 ⓒ네이버 인물정보

정 교수는 11일 CBS <김현정과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방송사들끼리 8시, 9시 뉴스에서까지 (중계권 분쟁을 놓고) 싸우는 것은 굉장히 불필요한 일”이라며 “방통위가 이 문제를 다시 한 번 고민해야하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도 중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SBS는 오는 13일 개막하는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단독 중계하겠다고 결론지었고, KBS와 MBC는 중계방송은 물론 밴쿠버 현지 취재와 뉴스 보도까지 포기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정희준 교수는 “사실 방송사들은 매번 중계권을 놓고 파행을 겪었다”먼서 “이 때문에 지난 2006년 3사 사장단이 모여 앞으로는 컨소시엄을 유지하면서 같이 협상하자고 서명까지 했지만, SBS가 이를 파기하고 몰래 계약을 하는 바람에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 교수는 “(독점중계가)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지만 당시 방송위원회는 국민들이 관심을 갖는 올림픽이나 월드컵, 아시안 게임 같은 경우는 3사가 공동으로 방송권을 소유하고 나눠서 중계하라고 중재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가 해결이 안 되니까 올림픽을 코앞에 두고 시끄러워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희준 교수 인터뷰 전문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번 주 토요일에 개막이 됩니다. 그런데 방송 3사가 지금 방송중계권을 두고 뜨거운 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SBS만 독점중계를 하는 걸로 결정이 되고 나서 타방송사에서는 중계는 고사하고 취재 제한까지 받게 되자 아예 뉴스에서 올림픽 얘기 안 다루겠다, 이렇게까지 선언을 했죠. 국민들은 좀 어리둥절합니다. 왜 이런 상황에까지 오게 된 건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동아대학교 스포츠과학부의 정희준 교수 연결해보죠.

◇ 김현정 앵커> 사실 스포츠 중계권이라는 게 어떤 식으로 사고 팔리는지, 이 시스템을 잘 모르는 사람들로써는 지금 상황이 잘 이해가 안 갈 수밖에 없거든요?

◆ 정희준> 과거에는 보통 3개 지상파 방송사가 공동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했습니다. ‘코리아풀’이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같이 IOC든 FIFA든 협상을 해서 중계권을 사와서 세 방송사가 골고루 나눠서 방송을 한 거죠. 같은 경기를 3사가 다하는 바람에 중복편성에 문제가 있긴 했지만 그러한 공동대응이 중계권 단가를 낮추기도 하는 장점도 있었거든요. 이번에 올림픽에서부터는... 사실 곧 다가올 월드컵도 그렇게 되는데 SBS가 독점계약을 해버린 겁니다.

◇ 김현정 앵커> 풀을 우리는 구성 안 하겠다, 이렇게 된 거군요?

◆ 정희준> 2006년도에 사실은 같이 협상을 시작했는데, 어느 순간엔가 SBS가 따로 IOC와 컨택을 해서 독점계약을 사와 버린 거죠. 그래서 나머지 KBS와 MBC가 뭐라 할까요, 뒤통수를 맞은 그러한 상황이 돼버린 겁니다.

◇ 김현정 앵커> 그렇군요. 올림픽은 아무나 가서 중계할 수 있는 게 아니라 그 권리를 파는 거군요.

◆ 정희준> 네, 권리도 팔고 그 다음에 중계권뿐만 아니라... 이번 경기의 문제는 뭐냐면, 실시간 중계방송, TV중계방송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콘텐츠는 다 SBS가 독점을 하는 거죠.

◇ 김현정 앵커> 예를 들면 관련 콘텐츠가 어떤 게 되는 건가요?

◆ 정희준> 실시간 중계가 있고요. 지연중계, 재방송, 인터넷 판권 등 이런 것들을 모두 SBS가 독점적으로 계약을 하고. 만약에 중계를 원하는 방송사 경우에는 일부 판권을 또 SBS로부터 사와야 하는 거죠.

◇ 김현정 앵커> 올림픽 관련된 영상은 다 SBS를 통해서만 우리나라에 들어올 수 있다, 그런 개념이 되겠네요, 쉽게 말하면?

◆ 정희준> 네, 그렇게 되는 거죠.

◇ 김현정 앵커> 사실 SBS뿐만 아니라 이전에 박찬호 메이저리그 중계 때, 그때 MBC도 중계권 독점했던 게 기억이 나고요. WBC 때도 이런 중계권 논란이 있고 좀 잡음들이 있었어요.

◆ 정희준> 그래서 사실은 3개 방송사가 매번 이런 식으로 중계권 가지고 파행을 겪었기 때문에, 2006년도에 3개 지상파 방송사 사장들이 모여서 앞으로는 컨소시엄을 유지를 하면서 같이 협상을 하자고 서명까지 했었거든요. 했었는데 그때 그것마저 SBS가 또 파기를 하고 몰래 계약을 하는 바람에 또 문제가 생겨난 거죠.

◇ 김현정 앵커> 이게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건가요?

◆ 정희준> 법적으로 문제가 없죠. 당시 방송위원회가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는 큰 올림픽이나 월드컵, 아시안 게임 같은 경우는 3사가 공동으로 방송권을 소유하고 나눠서 중계해라, 그렇게 중재를 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가 해결이 안 되니까 올림픽을 코앞에 두고 시끄러워진 거죠.

◇ 김현정 앵커> 실태를 알아봤는데. 그럼 시청자 입장에서 문제를 한번 따져보겠습니다. 좀 어려운 말입니다만 ‘보편적 접근권’ 이라는 게 있지 않습니까? 말하자면 ‘국민적인 관심이 높은 경기라든지 문화행사 같은 것은 누구나 쉽게 보게 해야 한다’ 이런 권리인데. 이 접근권 측면에서 봤을 때 독점방송 괜찮은가요?

◆ 정희준> 보편적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상파 방송사가 어느 정도 수준의 시청 가구 확보가 돼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SBS경우도 한 90%정도를 넘나들거든요.

◇ 김현정 앵커> 전국에서 볼 수 있는 사람들이?

◆ 정희준>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하는 건데. 우선은 나머지, 거기에 해당되지 않는, 소수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 시청 가구들에 대한 접근권도 보장을 해줘야 되죠.

◇ 김현정 앵커> 나머지 10%에 대한?

◆ 정희준> 네, 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3개 방송사가 나누어서 같이 공동으로 중계하는 것이 좀 더 올바르다고 얘기할 수 있는 거죠.

◇ 김현정 앵커> 또 하나 짚어볼 것은 지금 법적 근거는 없다고 하셨어요. 꼭 방송사풀을 구성해라, 이렇게 강요할 순 없지만 이렇게 방송사들끼리 경쟁해서 괜히 가격이 올라가면 결국은 국가적인 손실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 정희준> 사실은 그게 좀 큰 문제입니다. 이번 경우에도 2006년도에 SBS가 사실은 대담한 경영을 한 거죠. 일주일 간격으로 FIFA와 월드컵 중계권을, 그 다음에 IOC와 올림픽 중계권을 독점을 해버렸습니다. 그렇게 되면서 문제가 된 게 바로 중계권료가 폭등을 한 거죠.

◇ 김현정 앵커> 얼마나 올랐어요?

◆ 정희준> 월드컵은 한 1억 3천만 달러를 썼고요. 올림픽은 한 6천만 달러 정도니까 일주일 동안에 SBS가 2억 달러를 투자를 한 겁니다.

◇ 김현정 앵커> 우리 돈으로 한 2천억 원 되네요.

◆ 정희준> 2천억 원이 넘어가는 돈인데. 외국의 경우에도 이 정도 가격을 감수하면서까지 중계권 계약을 한 방송사가 없거든요, 보통. 물론 물가는 오르는 거니까 중계권료는 올라갈 수밖에 없는데, 거의 200%가 넘는 중계권의 폭등을 감안하면서까지 무리하게 이것을 인수를 한 거거든요. 당연히 여기에서는 국부유출이라는, 불필요한 투자라는 것이 문제가 제기가 되는 거죠.

◇ 김현정 앵커> 이게 관행이 되면 MBC, KBS, 다른 방송국들도 이런 식으로 가격경쟁에 뛰어들 것 같고요. 좀 지혜로운 해결책 없을까요?

◆ 정희준> 일단은 방송위가 다시 한 번 여기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 될 거고요. 지금 어떻게 해야 될지 애매하다, 그렇게 고민이 빠진 것 같은데...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이건 역시 주무 담당부처인 문광부가 여기에 대한 어떤 중재에 나서지 되지 않을까. 시청자들이 8시, 9시뉴스에 방송사들끼리 싸우는 것을 우리가 뉴스에서도 보고 그러는데 사실은...

◇ 김현정 앵커> 보면서도 사실은 좀 불쾌합니다.

◆ 정희준> 그렇죠, 굉장히 불필요한 것이고. 이건 사내 소식지에나 등장해야 될 이야기인데 국민들이 계속 이것을 뉴스를 들어야 되는 것도 고역이거든요. 그러니까 이런 것들은 빨리 해결이 되어야 되겠죠.

◇ 김현정 앵커> 다른 나라의 경우는 어떤가요?

◆ 정희준> 국가마다 조금은 다른데요. 일단은 유럽 같은 경우에는 국민들이 원하는 스포츠 이벤트, 예를 들어서 여기엔 윔블던 테니스 대회라든가 F1(포뮬러원) 자동차 경주대회도 포함이 되는데. 지상파 방송이라든가 아니면 국영방송, 보통은 국영방송이 중계권을 가지고 와서 다른 방송사들과 중계권을 나누어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거든요. 그것이 이제 어떤 보편적 접근권에 대한 보장이라든가 중계권의 폭등을 막는, 가장 그래도 그것이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방안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김현정 앵커> 네, 이번 기회에 좀 더 진지하게 해결책은 없는지 머리를 맞대어야 될 것 같습니다. 교수님 말씀 듣고 보니까 시원하게 풀리네요.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