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편 광고 직거래 ‘위기감’…‘경남도민일보’ 휴간

23일 시작된 언론인 총파업에서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지역의 신문과 방송, 종교방송 등의 결합이다. 정희찬 전국언론노조 사무처장은 “총파업에 참여한 70개 사업장 중 50여개가 지역의 신문·방송, 종교방송 등으로, 모두 압도적인 찬성률을 보였다”며 “유례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형식적인 참여도 아니다. 대표적인 곳이 <경남도민일보>로 이들은 총파업을 이유로 24일자 신문을 휴간했다. 지난 1999년 창간한 <경남도민일보>가 윤전기를 세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 언론의 이와 같은 적극적인 참여는 8월 임시국회에서 조선·중앙·동아·매경 등 종합편성채널의 광고 직접영업을 규제하는 내용의 미디어렙 법안을 입법하지 않을 경우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이다.

실제로 <경남도민일보>는 23일자 신문 1면에서 휴간 사실을 알리며 “이 같은 결정은 조선·중앙·동아·매경 종합편성채널이 광고 직접영업에 나서게 되면 지역 신문·방송은 몰락할 수밖에 없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경남도민일보>는 23일자 신문 1면에서 휴간 사실을 알리며 “이 같은 결정은 조선·중앙·동아·매경 종합편성채널이 광고 직접영업에 나서게 되면 지역 신문·방송은 몰락할 수밖에 없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종편채널의 광고 직접영업이 시작될 경우 기존 방송광고시장의 질서가 와해될 것이란 전망은 비단 이들만의 것은 아니다.

현재 한국의 미디어 광고시장 규모는 8조 5000억원 규모로, 전통매체인 지상파TV와 라디오가 2조 2000억원, 신문과 잡지가 2조 1300억원 등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매체의 광고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로, 이런 상황에서 종편채널 4개가 동시에 출범할 경우 생존을 위한 경쟁은 불가피하다. 늘어나는 매체만큼 광고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주요 광고회사들은 종편채널이 1%의 시청률을 점유한다고 가정할 때 1개 채널에서 1200억원 가량의 광고수주가 가능해져 5000억원대의 광고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만큼의 추가 광고 재원이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이미 국내 광고시장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게 대기업 광고담당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국내 경제성장률이 최소 3.1% 이상이 돼야 총광고비의 성장을 다소나마 기대할 수 있는데 국내외 경기를 볼 때 이는 쉽지 않은 일로, 결국 기존의 광고물량을 조절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주요 일간신문이 대주주인 종편채널에 광고 직접영업이 허용될 경우 ‘시청률에 따른 광고 배분’이라는 대원칙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 한국지방신문협회 회원사 편집국장들이 지난 11일 모여 “방송광고 시장이 완전경쟁 체제로 바뀌면 지역신문의 광고 매출은 40% 이상 감소할 것”이라며 위기감을 표출한 배경이다.

이강택 언론노조 위원장은 “8월 임시국회에서 미디어렙 법안을 처리하지 못할 경우 광고가 특정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유출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종편채널에 의한) 지역 언론 약탈과 마찬가지인 만큼, 종편채널의 광고 직거래를 차단하는 입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