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국 5년 만에 1400억원 소진…방통위에 ‘증자 계획서’ 제출

OBS(대표이사 김종오)가 자본 잠식 위기에 놓여있다. 10월 현재 초기 자본금 1400억 원 중 100억 원도 채 남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OBS는 금년 내로 자본금이 바닥나는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프 참고]

OBS는 오는 12월 개국 5주년을 맞이하지만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 이하 방통위)가 발간하는 방송사업자 재산현황보고에 따르면 OBS는 2007년 64억, 2008년 421억 2009년 259억, 2010년에는 22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매년 적자폭은 줄어들고 있으나 광고 수익이 적어 수지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

▲ OBS 자본총계 현황

한국방송광고공사(사장 이원창, 이하 코바코) 방송사별 연간 광고비 현황에 따르면 OBS는 2008년 89억, 2009년 160억, 2010년 253억 원의 방송 광고를 판매했다. 2011년 역시 지난해와 비슷해 9월까지 약 202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데 그쳤다. 2004년 문을 닫은 iTV의 연간 광고 매출이 400억원을 육박한 것에 비하면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결국 현재보다 약 두 배 가량의 방송 광고 수익을 올려야 적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OBS가 이 지경까지 온 이유로 경영진의 경영실책도 있지만 갈팡질팡한 방송통신위원회의 정책이 우선 꼽힌다. OBS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iTV가 재무구조 악화로 정파된 후 3년만인 2007년 OBS로 개국했지만 서울지역 등으로의 역외 재송신이 뜻대로 되지 않았다. 민진영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당시 방송위원회(방송통신위원회 전신)는 역외 재송신을 정책적 선결 요건으로 내웠지만 3년 동안 차일피일 미뤄왔다”고 지적했다.

방통위는 올 7월에서야 역외재송신을 승인했지만 미디어 환경이 급변해 OBS에 악재는 여전하다. 백민섭 OBS 광고국장은 “역외재송신이 제때 이뤄졌다면 달라졌을 것”이라며 “지금은 종편채널 등장 등 미디어 환경이 급변했고 역외재송신으로 인한 광고기대 효과를 실질적으로 체감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종편채널 출범 등 외부 상황 역시 OBS에 호락호락하지 않아 악순환의 고리를 쉽게 끊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OBS는 코바코의 연계판매 등으로 광고를 유지하고 있지만 만약 미디어렙법 입법이 조속히 해결되지 않은 채 MBC와 SBS가 사실상 직접영업을 위해 코바코를 벗어날 경우 OBS가 받는 타격은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2007년 개국 이래 임금 인상을 단 한 차례도 못했다. 조봉기 전국언론노동조합 OBS희망조합(이하 OBS노조) 지부장은 “개국 1년 만인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로 구조조정 대신 임금삭감 10%를 1년간 감수했다”며 “그 때 이후로 현재까지 자연승호분 외에 인상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해부터 OBS 구성원들의 이탈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8월 OBS노조 노보(제8호)에 따르면 종편채널행을 택한 취재기자는 간부를 포함해 13명으로 전체인력 중 4분의 1이 이탈했다. 제작국도 이미 공채 1기 PD가 모두 회사를 떠난 상태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지난 9월 OBS노조가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OBS가 위기 상황이라는 데 응답자 모두가 동의했다. OBS가 맞닥뜨린 가장 큰 위기로는 ‘자본잠식 상태인 재무구조’(40.2%)를 꼽았다. 이어 △ 경영진 및 고위 간부들의 능력부족(39.6%) △ 조합원 이탈(28.1%) △ 킬러 콘텐츠의 부재(20.1%) 등(중복응답)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OBS노사는 당장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해서는 증자 밖에 길이 없다고 보고 있다. 노조 설문조사에서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으로 응답자들은 ‘주주들의 적극적인 투자’(51.7%)를 우선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 경영진 쇄신(40.8%) △ 콘텐츠 강화를 위한 제작비 현실화(27%) △ 국장 임면 동의제 및 중간평가제 등 제도보완(14.9%) 등을 제시했다.

한편 자본잠식에 대한 사실 확인을 요청하자 강순규 OBS 전무 겸 경영기획실장은 “확인이 어렵다”고 말하면서도 “증자 국면은 피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해 상황의 심각성을 간접적으로나마 인정했다. 강 전무는 “방통위의 허가를 받은 방송사업자로서 앞으로 계속 유지해나가려면 증자 국면은 피할 수 없다”고 밝히며 “민감한 부분이라 공식적 대응은 어렵다”고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OBS는 최근 방송통신위원회에 증자 계획서를 제출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OBS 대주주인 영안모자 관계자는 “OBS가 방통위에 증자 계획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원칙적인 답변을 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