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종편’ 자랑…주가는 ‘급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클리핑]한자리수 미만 시청률 종편, 의무재송신서 제외해야

조선·중앙·동아는 7일자 아침 신문에서도 한자리수 미만 시청률의 자사 종합편성채널의 프로그램들을 저마다 “종편채널 중 1위”라고 자랑하며 홍보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중앙일보>와 <동아일보>의 ‘제 자식’ 자랑이 유난하다. <동아일보>는 1면 <아침… 점심… 저녁… 채널A 뉴스가 종편 1위> 기사에서 자사 뉴스들이 같은 시간대 종편채널 뉴스 중·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동아가 자랑스레 내세운 아침, 점심, 저녁뉴스의 시청률은 각각 0.24%, 0.32%, 0.44%였다.

<중앙일보>는 2면 기사에서 자사 종편채널인 jTBC의 드라마를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중앙은 jTBC에서 방송 중인 시트콤 <청담동 살아요>와 드라마 <빠담빠담-그와 그녀의 심장박동소리>가 나란히 시청률 1%를 넘겼다며 “jTBC는 과연 드라마왕국”이라고 자화자찬했다. <조선일보>도 1면과 25면에 TV조선의 방송 콘텐츠 홍보 기사를 연이어 배치했다.

▲ <중앙일보> 12월 7일 2면
종편신문 ‘제 자식’ 자랑…종편 관련 주가는 ‘급락’

조선·중앙·동아가 이처럼 지면을 동원해 자사 종편채널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종편채널 관련 주가는 급락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한겨레> 2면 기사에 따르면 6일 코스닥 시장에서 jTBC 계열의 콘텐츠 유통업체 제이콘텐트리는 실망 매물이 대량으로 쏟아지며 전날보다 10.9% 급락한 41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한겨레>는 “이 회사(제이콘텐트리) 주가는 종편채널 출범 기대감으로 지난 8월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한때 7000원에 근접했으나 정작 개국 이후 종편들이 ‘0%대 시청률’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하락세가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증권사 연구원들은 종편이 2000억~3000억원으로 예상되는 연간 제작비를 광고 매출로 메우기 위해서는 시청률이 3~4%는 돼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종편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낮지만 테마주로 묶여 함께 움직이던 <조선일보>의 인터넷콘텐츠업체 디지틀조선도 연이틀 동반 급락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반면 종편채널의 시장 잠식 우려로 약세를 보였던 지상파 관련주는 급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에 따르면 MBC 콘텐츠 유통업체 iMBC는 지난 2일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최근 4거래일간 주가가 17.4% 급등했다. SBS의 주가는 종편채널 개국 이후 기관들의 순매수가 연일 이어지며 5% 넘게 올랐다.

앞으로 2~3년 동안은 종편채널이 콘텐츠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전망에 따라 지상파 관련주가 힘을 받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진단하고 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선정 방송’ 계속…종편, 의무재송신 채널서 제외해야

조선·중앙·동아일보 등 종편채널의 프로그램이 공개되면서 방송법 시행령을 개정해 종편을 의무전송 채널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고 <경향신문>이 4면 기사에서 전했다.

기사에 따르면 조중동방송 공동모니터단(전국언론노조·민주언론시민연합)은 6일 “조·중·동방송의 뉴스는 모두 시의성 있는 이슈보다 자신들이 내세우고 싶어하는 이념적 아이템이나 시청자의 시선을 끄는 선정적 아이템을 앞세웠다”며 “재·보궐선거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에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 비서가 연루된 사건, 4대강 보 부실공사 문제 등 주요 이슈들은 단순보도에 그치거나 보도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종편채널은 드라마·예능·교양에서도 시청자들에게 외면당했다. 드라마 시청률이 1%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이고 대다수 프로그램은 0.2~0.6% 등 소수점대의 시청률을 면치 못하고 있다.

경향은 “그런데도 종편채널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시청자에게 반드시 방송해야 하는 의무전송 채널의 지위를 보장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방송법 시행령 제53조 1항이 유선방송사업자와 일반위성방송사업자가 편성에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종합편성을 행하는 방송채널 사용사업자의 채널을 포함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조·중·동 종편채널이 시행령 취지와 맞지 않다고 지적한다. 시행령이 뜻하는 종편채널은 공익성·공공성을 갖춘 무료 보편 서비스 채널에 가깝지만, 조·중·동·매 종편은 상업적 유료 케이블 방송이다. 종편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KBS1·EBS와 종교·공익채널 등만 의무전송 지위를 보장받았다.

이와 관련해 경향은 정연우 세명대 교수의 말을 인용, “다른 케이블 채널 중에도 종편채널보다 공익적 성격이 강한 것들이 있다. 종편채널이 이들 채널이나 지상파보다 공익성이 높다고 판단할 근거가 전혀 없는데도 의무전송 되도록 한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 <경향신문> 12월 7일 4면
방통위, 올해 정부업무평가 ‘꼴찌’

방송통신위원회가 올해 정부업무평가에서 꼴찌 등급을 받았다. <서울신문> 12면 기사다.

기사에 따르면 정부는 6일 국무총리실 주재로 38개 부처 장관·청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1년 정부업무평가 보고회를 열고 올해 정부업무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평가는 정부업무평가기본법에 따라 총리실과 대검찰청을 뺀 38개 중앙행정기관(장관급 19개, 차관급 19개)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각 부처별로 올해 주어진 핵심 과제 등 정부 정책성과와 기관 리더십, 국민 만족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등급을 매겼다. 등급은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등 4개다.

낙제점인 ‘미흡’을 받은 방통위의 경우 지상파 재송신 분쟁을 해결하지 못하는 등 미진한 정책업무가 지적됐다.

방통위의 ‘낙제점’ 평가와 관련해 총리실 관계자는 “지상파와 케이블 방송 사업자 간 재송신 분쟁이 계속 반복되는데도 방통위가 여태껏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특히 2012년 말 디지털 방송 전환을 앞두고 취약계층에 대한 디지털 전환 지원 실적은 겨우 9%에 불과해 문제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언론장악 논란 MB ‘공신’들, 줄줄이 총선행

현 정부 출범 이후 방송·언론인들로부터 ‘언론장악’ 공신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던 이명박 대통령 특보들이 줄줄이 총선행을 택하고 사표를 내고 있다.

<동아일보> 6면 기사에 따르면 이명박 대통령은 9일 특보단과 송년 만찬을 진행하는데, 내년 총선 때 부산 수영구에서 출마하기 위해 청와대를 떠나는 박형준 사회특보 환송을 겸해 마련된 자리다. 박 특보는 예비후보 등록일인 13일을 앞두고 7, 8일경 사표를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 특보 외에도 특보단에서는 유인촌 문화특보(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이동관 언론특보(전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 김영순 여성특보(전 서울 송파구청장) 등 3인이 내년 총선에 도전장을 내밀 것으로 보인다.

유인촌 특보와 이동관 특보는 현 정부 출범 직후부터 방송·언론 관련 정책을 다루거나 언론을 직접 대면하는 위치에 있으면서 방송사와 언론 유관기관 등에 이른바 ‘MB 낙하산’을 투하하는 등 언론 통제에 앞장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 이 특보는 서울 출마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들은 공천 문제가 윤곽을 잡아갈 때까지는 청와대 특보직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