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5개월 만에 카메라를 바라봅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장] 해직언론인이 만드는 방송 ‘뉴스타파’ 첫 녹화

1월 26일 오후 3시 30분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 18층 언론노조 회의실. 이날은 해직언론인이 만드는 대안언론 <뉴스타파>의 첫 녹화가 있는 날이었다. 방송용 ENG 카메라 대신 50여 만 원을 주고 구입했다는 캠코더가 눈에 띄었다. 스튜디오 역시 조명 3개를 설치한 것 말고는 회의실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었다. 최근에 편집용으로 구입한 애플 컴퓨터가 유일한 스튜디오 장비 역할을 하고 있었다.

▲ 26일 오후 언론노조 사무실에서 노종면 앵커가 <뉴스타파> 녹화를 진행하는 모습. ⓒ언론노조
이근행 PD(MBC, 2010년 해직)는 오후 3시에서야 늦은 점심을 먹었다. 어제도 방송 준비로 거의 잠을 못 잤다. 박중석 언론노조 민주언론실천위원장(KBS 기자)은 창고에 들어가 리포팅 연습에 여념이 없었다. <뉴스타파>는 현직 기자들이 취재하고 언론노조 전임자가 리포팅을 더빙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직 기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권석재 영상기자(YTN, 2008년 해직)는 ENG 카메라가 아니라서 어색한 모습으로 캠코더의 화면을 잡고 있었다.

노종면 앵커(YTN, 2008년 해직)는 오랜만에 정장을 깔끔하게 차려 입고 등장했다. YTN처럼 분장팀이 있는 상황이 아니어서 스스로 머리와 옷매무새를 다듬었다. “다음에는 빗을 가져와야겠어.” 그가 머쓱거리며 웃었다.

“하나, 둘, 셋, 큐.”

“3년 5개월 만에 스튜디오가 아닌 스튜디오에 앉아 카메라를 바라봅니다.”

그의 오프닝 멘트는 가슴 어딘가에 울림을 주고 있었다. 공정방송을 외치다 해직된 PD와 기자가 만드는 방송이기 때문이다. 노종면 앵커는 약 4년간 앵커 자리를 떠났던 사람으로 보기 어려울 정도로 능숙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장비는 보잘 것 없지만 기성 언론보다 떳떳할 수 있다”고 말했다. 노종면 앵커를 바라보는 이근행 PD의 눈빛에선 약간의 흥분감을 읽을 수 있었다.

▲ 26일 오후 <뉴스타파> 녹화 중인 이근행 PD(안경쓴 이)의 모습. ⓒ언론노조
이날 <뉴스타파>가 보도한 아이템은 △10·26 서울시장 재보선 당시 투표소 무더기 변경 △서울시장 재보선 당시 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마비 관련 선관위의 거짓 해명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최측근비리 △정연주 전 KBS 사장의 대법원 무죄판결 등이었다. 노종면 앵커는 해당 이슈에 침묵한 기성 언론의 문제점을 지적한 뒤 YTN <돌발영상> 포맷과 유사한 ‘공갈영상’ 코너를 내보냈다. 이날 영상의 주인공은 최시중 위원장이었다. 이 영상은 노종면 앵커가 직접 편집했다.

몇 번의 재녹화를 거치고 오후 다섯시 쯤에야 첫 녹화가 끝이 났다. 이근행 PD는 웃으며 박수를 친 뒤 밤을 샐 각오를 해야 한다며 후반작업을 위해 자리를 떴다. 노종면 앵커는 오랜만에 받은 조명으로 땀이 났다. 그는 첫 번 째 녹화에 대한 소감을 묻자 “안하던 일을 한 것 같진 않다. 지난해까지 언론노조 민실위원장으로 지내며 했던 일과 <용가리통뼈뉴스>에서 하고 있는 일이 언론보도 비평이어서 생경하진 않았다”고 밝혔다. 노종면 앵커는 “장비가 열악한 만큼 내용이 좋아야 한다는 압박이 있다”고 말하며 웃었다.

이근행 PD는 “여러 가지 무리한 요건에 놓여있지만 욕심내지 않고 작은 아이템이라도 근성을 갖고 만들어 나갈 생각이다”라고 밝혔다. 이근행 PD는 “제작자가 해직언론인인 만큼 항구적으로 갈 수 없는 프로젝트이지만 우리가 몸담았던 주류 미디어가 <뉴스타파>를 통해 자극을 받고 언론의 본 기능을 되찾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30~40분 분량의 방송으로 예정된 <뉴스타파> 첫 회는 27일 유튜브 등 온라인을 통해 공개된다.

뉴스타파 1회 동영상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