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광고 개정을 보는 각계 입장
상태바
방송광고 개정을 보는 각계 입장
방 송 사 “광고 탄력적 운영, 시청률 과열은 속단”광 고 주 “시장경제논리에 맡기는 게 적합하다” 시청자단체 “시청자 피해로 디지털 재원마련은 부당”
  • 윤지영 기자
  • 승인 2001.11.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송광고에 대해 방송위 정책기획위원회와 문광부, 방송사, 광고주, 시민단체 등 각계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광고총량제를 도입에 대한 찬반으로 나뉜다.

 △광고총량·중간광고제 = 우선 광고총량제와 중간광고에 대해 기획위와 문광부의 입장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광고총량제가 방송의 공익성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보류해야 한다는 기획위와 달리 문광부는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기획위가 중간광고에 대해서도 민영방송에 제한적으로 허용하자고 주장한 반면 문광부는 공영방송에도 허용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문광부의 한 관계자는 “문광부의 공식적인 입장은 추후 밝히겠지만, SBS와 같이 MBC도 광고로 운영되는데 중간광고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공영방송에는 큰 타격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광고총량제와 중간광고에 대해 방송사와 광고주들은 시장경제논리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며 찬성하는 분위기이다. 정성채 MBC 광고기획부장은 “광고총량제는 현재 광고 초과수요가 되는 프로그램에 대해 탄력적으로 운용하자는 뜻”이라고 말했다.

또 엄경섭 SBS 광고기획팀장은 이며 “광고가 없는 KBS 1TV도 시청률 경쟁을 하고 있듯이 시청률 경쟁은 이미 심화된 상태인데 총량제나 중간광고 등으로 더 심화된다고 속단하기는 이르다”라고 강조했다. 김상준 한국광고단체연합회 부국장은 “중간광고를 시행하되 시청자의 시청흐름을 보호하기 위해 이나 쇼프로그램 등에서 1년 정도 시행해보는 것이 어떻겠느냐”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시민단체 등에서는 시청률 경쟁 심화와 시청흐름 단절 등의 이유로 반대하고 있는 상황. 최민희 민언련 사무총장은 “광고수입을 늘려야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발상자체부터 다시 생각해야 한다”며 “디지털 재원마련이라는 명목으로 이러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면 시청자에게 부담을 전가시키는 이러한 무리한 디지털 추진 방식은 재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학계에서는 이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태이다. 김상훈 인하대 언론정보학 교수는 “광고를 탄력적으로 편성해 광고혼잡 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재원마련으로 프로그램 제작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중간광고의 필요성을 설명한 것과는 달리 최영묵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방송위 위탁연구과제인 ‘방송광고제도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디지털 전환으로 실제 수혜를 보는 방송사가 직접 재원을 마련해야 하며 중간광고의 허용은 시청자의 입장이 아닌 방송사와 광고주의 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가상광고 = 이에 비해 가상광고는 아직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는 못하다. 가상광고가 내년 월드컵을 앞둔 시점에서 시급히 다뤄져야 할 부분이지만 개념정의 등의 선결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방송법 73조 1항에 의하면 ‘방송사업자는 방송광고와 방송프로그램이 혼동되지 않도록 명확하게 구분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가상광고의 경우 그 특성상 시청자들이 광고라고 인식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서범석 세명대 광고홍보학과 교수는 “방송사의 입장에서는 실제 스포츠 광고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수익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지만 시청자 입장에서는 질 높은 화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과 프로그램과의 혼동, 간접광고효과 등으로 거부반응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지영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