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총선 후보자들 “낙하산 사장 퇴진 필요”
상태바
여야 총선 후보자들 “낙하산 사장 퇴진 필요”
19대 총선미디어연대, KBS 새노조 등 설문…4·11 총선 이후 거취 논의 본격화?
  • 김세옥 기자
  • 승인 2012.04.06 15: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BS·MBC·YTN 등 방송·언론인들이 낙하산 사장 퇴진을 요구하며 파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4·11 총선에 출마한 여야 후보들도 파업 언론인들의 주장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4·11 총선 이후 이명박 대통령 대선 특보 출신 등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낙하산 사장들의 거취를 둘러싼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PD연합회와 한국기자협회, 언론개혁시민연대 등 현업 언론인들과 언론·시민단체로 구성된 19대 총선미디어연대는 4·11 총선에 출마한 여야 후보 중 언론인 출신과 방송·언론정책을 다루는 상임위원회인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활동 경험이 있는 전·현직 국회의원, 언론단체 출신 등 52명을 대상으로 지난 3월 23일부터 4월 5일 사이 언론·미디어 분야 정책 질의를 진행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책 질의에 응한 후보자 17명(민주통합당 15명, 통합진보당 1명, 진보신당 1명)은 낙하산 사장 퇴출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고 있는 방송·언론인들의 주장에 공감하고 있었다.

민주통합당 김부겸 후보(대구 수성갑)는 “방송 3사와 <연합뉴스>의 (사장 퇴진) 요구는 타당하다”며 “(낙하산 사장 퇴진과) 동시에 징계 언론인의 원상복귀와 명예회복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통합당 비례대표 7번을 배정받은 <부산일보> 기자 출신의 배재정 후보도 “현재 언론과 방송의 파행을 일으키고 있는 장본인들은 당연히, 반드시 물러나야 한다”며 “(정권의) 방송 장악 과정에 대한 청문회와 국정조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겨레> 논설위원 출신으로 진보신당 비례대표 2번을 배정받은 홍세화 후보는 “MB(이명박) 정권에서 소위 ‘낙하산 인사’로 사장들이 취임한 이후 방송은 공공성을 잃었고 언론노동자들의 상황도 파국으로 가고 있다”며 “낙하산 사장들은 마땅히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후보는 그러나 “(낙하산 사장들이 사임에 이르기까지의) 방식이 적절하고 민주적인 법적 절차에 의하지 않을 경우, 정연주 전 KBS 사장 해임과 같은 또 다른 파행이 발생함으로써 선의의 취지가 왜곡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 뒤 “MB 정권 초기의 ‘좌파척출’과 같은 식의 방식이 아닌, 비위사실에 따른 처벌이나 청문회 등 충분한 절차적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낙하산 사장의 퇴진과 함께 이를 원천봉쇄하기 위한 법·제도의 정비를 강조하는 목소리도 눈에 띄었다.

MBC <뉴스데스크> 앵커 출신으로 서울 영등포을에 출마한 신경민 민주통합당 후보는 “방송에 대한 정권의 개입은 현재 도를 지나쳐도 한참 지나친 지경”이라며 “(낙하산 사장을 원천 봉쇄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총선을 통해 심판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구 방송위원회(현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출신으로 민주통합당 비례대표 17번을 배정받은 최민희 후보도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혁을 통해 낙하산 사장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며 구체적인 방안으로 사장추천위원회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에 앞서 전국언론노조 KBS본부가 새누리당과 야권연대 총선 후보 4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지난 5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새누리당 후보(230명 중 97명)의 21.6%는 이명박 대통령 대선 특보 출신인 김인규 KBS 사장의 퇴진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퇴진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17%였으며 ‘모르겠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취한 응답자는 61%였다.

한편 19대 총선미디어연대의 정책 질의에 새누리당 후보들은 단 한 명도 응하지 않았다. 이뿐 아니라 민주통합당과 진보통합당 등 야권이 방송·언론 관련 정책 공약들을 잇달아 제시하고 있는 것과 달리 새누리당은 현재까지도 관련 공약을 전혀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낙하산 사장 퇴진과 공정방송(언론) 회복을 요구하는 방송·언론인들과 유권자들의 목소리에 반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책임 있는 공당의 자세가 아니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