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신문 KBS노사 협상 타결에 방송 파업 힘빼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 클리핑] 보수진영의 무차별 ‘종북 낙인찍기’

전국언론노조 KBS본부(이하 KBS새노조)가 파업 93일 만에 사측과 공정방송을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에 합의하고 파업을 종료하기로 했다. 그동안 언론사 파업에 무관심으로 일관했던 7일자 보수신문들은 KBS새노조와 사측과의 협상 타결 소식을 두고 MBC·YTN·연합뉴스 노조의 파업 동력 약화를 점치고 있다.

<중앙일보>는 “KBS 파업 중단 합의가 MBC·YTN·연합뉴스 등 연초부터 잇따른 타 언론사의 파업에 미칠 여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이들 노조는 ‘(이명박 정권의) 낙하산 사장 퇴진’ ‘공정방송 복원 등을 요구하며 연대해왔기 때문이다”이라고 보도했다.

▲ <중앙일보> 6월 7일자 10면 기사.
중앙은  이동훈 공정언론시민연대 정책실장의 입을 빌어 “언론노조에 함께 속해 있으므로 내부에서도 고민이 있을 것이다. MBC의 경우 ‘사장 퇴진’에 무게가 강하게 실려 있어 앞을 가늠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동아일보>도 “김인규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파업해 온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노조(새노조)가 6일 회사와 협상안에 가합의해 이르면 이번 주에 파업이 끝날 것으로 보인다”며  “이에 따라 MBC, YTN, 연합뉴스 등 다른 언론사들의 연대파업 동력도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동아는 “6일로 84일째 파업 중인 연합뉴스 노조는 5월 말 사측에 노조 요구안을 전달한 뒤 5일부터 사측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고, 이날 파업 129일째에 접어든 MBC 노조는 1일 양측이 대화를 재개했지만 경찰이 노조 집행부에 대해 구속영장을 재신청해 다시 냉각기에 접어들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KBS새노조의 파업 중단에 대해 ‘김인규 사장 퇴진 철회’에 의미를 뒀다. KBS새노조는 이번 합의안을 통해 대통령 선거 공정방송위원회 설치, 탐사보도팀 부활 등 공정보도를 위한 장치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조선은 “합의안에는 '노사 동수의 대통령 선거 공정방송위원회 설치' '라디오 활성화 노력' '상호 신뢰할 조직 문화 조성 노력'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며 “노조가 내걸었던 '김인규 사장 퇴진'은 합의안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 <한겨레> 6월 7일자 8면 기사.
하지만 파업 중인 언론사 노조들은 KBS 파업 종료와 별개로 파업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겨레>에 따르면 130일째 파업을 이어온 MBC노조는 김재철 사장이 퇴진할 때까지 파업을 접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영하 문화방송 노조위원장은 “문화방송과 한국방송은 (상황이) 본질적으로 다르며, 김재철 사장은 법인카드 유용 등으로 윤리경영을 실천하지 못한 부적격 인사”라고 말했다. 이강택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한국방송이 보도 기능을 회복해 언론사 파업을 제대로 보도하면 오히려 나머지 파업 언론사에 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는 사설에서 “이번 가합의안은 노조가 요구하는 방송의 공정성을 단순히 선언적이 아니라, 구체적 제도와 프로그램 편성으로 보장하고 있다”며 “KBS 노사의 가합의안이 방송파업에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어 “대선이 6개월 남았는데 언제까지 방송이 이렇게 자기역할과 책임을 포기하고 있을 것인가”라고 따지며 “그렇다고 자질도 도덕성도 없는 사장까지 눈감고 넘어가라는 것은 아니다. 방송사 사장 인사문제가 정치적 쟁점이 된 만큼 정치권이 적극 나서야 한다. 아울러 여야 모두 하루라도 빨리 국회를 열어 공영방송의 지배구조와 사장선임방식 등에 대한 진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통합진보당 이석기·김재연 제명 결정

통합진보당 서울시 당기위원회는 6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어 비례대표 부정경선에도 불구하고 의원·후보직 사퇴를 거부하는 이석기·김재연 의원과 조윤숙·황선 후보 등 4명의 제명을 결정했다. <경향신문> 1면 기사다.
 
서울시 당기위는 결정문에서 “피제소인들은 당규 제12호 제6조 당의 결정을 현저하게 위배하는 경우, 당의 명예를 현저하게 실추시킨 경우, 당원 의무를 현저히 위반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판단한다”며 “4명을 각각 제명에 처한다”고 밝혔다.
 
당기위는 앞서 김 의원과 조·황 후보자 등 3명 본인과 이 의원 대리인인 김영욱 보좌관으로부터 소명을 들은 뒤 이같이 결정했다. 이들이 14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하면 중앙당기위 심사를 거쳐 늦어도 다음달 초 징계 여부가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보수진영 ‘종북 낙인찍기’ 3단계 공격전략

<한겨레>는 보수진영의 ‘종북 낙인찍기’ 바람이 쟁점 바꿔치기, 전향인사 폭로, 무차별 색깔 씌우기 단계를 밟으며 ‘사회적 증오’의 기운을 확산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겨레는 “통합진보당 문제의 출발점은 선거 부정과 이를 가능하게 했던 당내의 패권주의와 민주주의 절차 문제였는데도 보수진영은 이 문제를 종북 논란으로 끌고 갔다”며 “진보진영 안에서도 북한에 대한 태도가 문제가 있다는 비판을 받아온 이른바 당권파가 타깃이었다”고 지적했다. “종북이란 단어에는 북한의 전근대성, 적대적 기억, 낡은 이념 등 이미지가 묻어 있다”며 “박근혜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 1일 ‘국가관을 의심받는 사람들이 국회의원이 돼서는 안 된다’며 두 의원의 제명 방침을 밝혔다”고 밝혔다.

탈북자 대학생과의 술자리 언쟁에서 ‘변절자’라는 단어를 썼다가 ‘주사파’로 공격받고 있는 임수경 의원에 대해선 과거를 소환하는 왜곡의 2단계라고 분석했다.

한겨레는 “‘종북’ 공세의 3단계는 ‘무차별적 덧씌우기’”라며 “‘북한을 추종하는 세력’이라는 애초 개념에도 전혀 해당하지 않는 이들에게도 종북이란 ‘딱지’를 붙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해찬 민주당 의원은 ‘북한인권법’에 대해 “북한에 인권 문제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국가 간에 서로 개입할 일은 아니다”라고 반대 견해를 밝혔다. 이 의원은 “북한인권법안은 시작 자체가 북한 인권과 남북관계 발전이 아니라 일부 극우 보수단체의 대북전단 직접 살포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이라며 “인권은 오간 데 없고 오직 반북만 부추기는 긴장과 갈등만 초래하는 법”이라고 비판했다. 대신 실질적으로 북한 주민의 생존권을 도울 수 있도록 인도적 지원을 재개하고, 교류를 통해 자연스러운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보수언론은 ‘북한 인권을 문제삼는 것은 내정간섭’이란 이 의원의 인터뷰 내용을 ‘종북’이라고 규정했고,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는 이를 근거로 ‘국회의원 자격 심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한겨레는 이를 두고 “‘남북관계 개선’은 정책적 논쟁의 대상에서 법적 단죄의 대상으로 굴러떨어졌다”며 “‘적대’와 ‘공포’가 증폭되는 곳에서 ‘정치’의 공간은 점점 협소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中 또 역사 왜곡, 고구려·발해까지 만리장성 늘렸다

<세계일보>에 따르면 중국이 만리장성 길이를 3년 만에 기존보다 배 이상 공식적으로 늘렸다. 이에 따라 만리장성의 동쪽 끝은 고구려와 발해가 있던 지린(吉林)·헤이룽장(黑龍江)성, 서쪽 끝은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로 옮겨지게 됐다.

만리장성 길이를 억지 확장하고 나선 것은 고구려·발해, 서역의 역사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역사를 왜곡하는 제2의 동북공정으로 평가된다.

중국 국가문물국은 지난 2007년부터 진행한 고고학 조사 결과 역대 만리장성의 총 길이가 2만1196.18㎞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옛 고구려와 발해 영역이던 지린성과 헤이룽장성까지 만리장성이 연결돼 있었다고 5일 발표했다. 중국이 2009년 4월 발표했던 길이 8851.8㎞의 2배를 뛰어넘는 길이로, 북부 모든 지역에 만리장성이 존재했다는 주장이다.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광명일보(光明日報)는 중국 정부가 역대 만리장성에 대해 종합적인 조사를 발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중국이 동북지역에서 새로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유적지는 기존 만리장성의 개념과는 전혀 다른 고구려와 발해 때 만들어진 성이다. 또 후대인 명나라 때 건설된 성도 포함돼 있다.

우리 역사학계에서는 “옛 고구려, 발해 지역이 중화민족의 통치권에 속한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해 중국이 만리장성을 늘려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중앙일보> 6월 7일자 29면 기사.
유인나 “눈물 주체 못해 촬영 중단된 적도”

7일 마지막 방송을 앞두고 있는 tvN‘인현왕후의 남자’의 여주인공 유인나를 중앙이 인터뷰했다. 드라마의 중심축은 시간을 오가는 남자와 사랑에 빠진 여자의 이야기. 조선 숙종 시대에 살던 김붕도(지현우)가 부적의 힘을 빌려 2012년 서울로 와 무명의 여배우 최희진을 만난다. 탄탄한 스토리, 배우들의 호연으로 줄곧 케이블 동시간대 1위를 지켰다.

 유인나는 이 작품으로 첫 주연을 맡아 ‘성공적이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특히 젊은층의 부쩍 핼쑥해진 표정의 그는 “마지막 촬영을 앞두고 희진에 몰입돼 너무 울었더니, 살이 엄청 빠졌다”고 했다.

그는 마지막 방송을 앞둔 소감으로 “희진을 연기한 게 아니라 정말 희진으로 살았다. 어제(3일) 마지막 촬영을 하며 펑펑 울었다. 스태프들 앞에서 ‘이제 유인나라는 껍데기는 어떻게 사느냐’고 떼를 쓰면서. 첫 주연작이다. 나를 믿어준 사람들에게 보답하고 싶은 마음이었고, 잘된 것 같아 행복하다.”라고 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