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다양성 확보 위해 개별PP 의무편성 필요”
상태바
“방송 다양성 확보 위해 개별PP 의무편성 필요”
중소 개별PP 활성화 방안 세미나…“저가 채널 보장해야”
  • 박수선 기자
  • 승인 2013.09.24 13: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케이블TV와 IPTV 등에 채널을 공급하는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간 인수합병과 수직계열화 등으로 유료방송 시장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방송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소 개별PP의 의무편성 제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황근 선문대 교수(신문방송학과)는 24일 개별PP발전연합회(회장 박성호)가 주최한 ‘중소 개별PP 현실과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서 “70여개 채널을 운용하는 유료방송 플랫폼에서 지상파, 종편 보도채널, 공공 공익채널등 의무편성 채널과 지상파계열PP, 플랫폼을 갖고 있는 CJ E&M 등과 같은 MSP채널(플랫폼 계열PP)을 빼고 나면 10여개만 남는 게 현실”이라며 “150여개 중소 개별PP는 런칭 기회조차 얻지 못하는 ‘울트라 을(乙)’”이라고 개별PP의 현실을 진단했다.

현재 MSO(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 채널편성을 살펴보면 약 70개의 채널 중 지상파채널과 홈쇼핑, 종편 의무저송채널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45% 내외다. MSP 상호 런칭이 약 25%, 공익성 채널이 약 5%, 지상파계열 채널이 전체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실제 C&M의 기본채널패키지 상품에는 개별 PP채널은 단 2개 뿐이다.

황 교수는 “최소 2~3개의 MSP간의 상호 편성이 이뤄질 경우, 사실상 개별PP들이 런칭할 수 있는 채널은 전무하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이를 위해 개별PP의 편성비율을 보장해주는 포지티브(Positive) 규제 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개별PP의 편성 문제는 개별PP의 경영악화 뿐만 방송의 다양성 위축으로 이어진다. 황 교수에 따르면 MSP가 오락 프로그램(80.4%)에 치중하고 있는 반면 개별PP는 교양 프로그램이 66.7%를 차지한다.

그는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의 유료화가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에 하위 소득 계층 시청자의 접근 다양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저기 채널이 필요하다“며 ”계층별로 다양한 채널을 다양하게 보장하는 것이 디지털 방송시대의 다채널 방송의 공적 책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별PP가 런칭 할수 있는 최소한의 룸(room)을 확보하는 동시에 개별PP를 선별적으로 지원하는 게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예컨대 방송 투자에 적극적이고 재무 건전성이 높은 PP는 의무편성 비율(20%)를 제도화하는 한편 콘텐츠에 전혀 투자를 하지 않고 있는 PP는 진입 규제를 강화하는 방식이다.

황 교수는 아울러 “중소 개별PP의 난립도 커다란 문제이기 때문에 보호 육성 그룹과 퇴출 그룹을 나눌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 자본금 5억원인 등록요건을 강화하여 부실 PP의 난립을 사전에 예방하고, 각종 평가를 통해 유료방송시장의 부실화와 과당 경쟁을 유발하는 부실PP를 걸러 낼 필요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유료방송 소유규제 완화와 동일 규제 논의에 대해서도 “플랫폼 사업자들의 경영 효율성이 기대되지만 특정 MSO나 대형 플랫폼사업자의 과도한 권한 남용이 우려된다”며 “결국 유료방송 시장에서 최약자인 개별PP만 가장 큰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