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지상파 광고 매출 ‘의도적 부풀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중앙·매경,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움직임에 견제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지상파에 중간광고를 허용할 지를 놓고 검토에 들어간 가운데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 사업자들인 보수신문들이 지상파 방송사 견제에 나섰다.

조선·중앙·매경은 지난 1일과 2일자를 보도를 통해 지상파의 중간광고 허용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일제히 냈다. 지난 달 MBC 사장단이 “중간광고 규제는 철폐돼야 한다”고 방통위에 건의문을 낸 이후 일고 있는 중간광고 허용 움직임에 제동을 건 것이다. 이는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에 따른 종편의 광고 위축을 우려한 행보로 보인다.

이들 신문은 방송광고 시장에서 여전한 지상파의 영향력과 중소 PP채널이 입게 될 타격을 이유로 들며 중간광고 확대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 <중앙일보> 11월 1일자 2면 기사.
<중앙일보>는 지난 1일자 ‘중간광고 요구한 지상파 광고 감소 궤변’에서 “지상파 3사는 광고 규제 완화의 근거로 광고 매출 급감을 꼽지만 정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며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시장 경쟁상황평가 자료를 토대로 “지상파의 광고 판매액은 꾸준히 증가했다”고 주장했다.

중앙은 “지상파 3사(지역MBC, SBS네트워크 민방 포함)의 광고판매액은 2009년 1조8000억원, 2010년 2조1000억원, 2011년 2조20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며 “지상파들은 특히 본사 매출만을 내세우고, 계열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매출은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상파 3사가 하루에 1분짜리 중간광고를 세 차례씩 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총 2600억원이 넘는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며 “다른 PP들 평균 광고매출의 38배에 해당한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중앙과 매일경제는 2일자 신문에 전날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확인 감사에서 새누리당 의원들이 제기한 중간광고 허용 문제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이날 “지상파 3사가 광고 시장의 72%를 차지하고 있다”며 중간광고에 신중한 검토를 당부하는 권은희 새누리당 의원의 발언에 초점을 맞췄다.

MBN도  지난 1일 <8뉴스> ‘지상파에서도 중간광고 봐야 하나’리포트에서 “중간광고가 지상파 방송사에도 허용될 움직임을 보이자 결국 방통위 국정감사에서 일부 의원이 제동을 걸었다”며 “지상파에 중간광고가 허용되면 이런 쏠림 현상은 더욱 심해져 방송 생태계가 완전 붕괴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라며 반대 여론을 전했다.

▲ 11월 1일자 MBN <8뉴스> 보도.
<조선일보>도 “방송사 노조의 장기 파업이나 글로벌 경제 위기의 영향으로 매출 감소를 겪었던 적은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면 매출이 꾸준하게 오른 셈”이라며 “지상파들이 중간 광고를 통해 시장을 더 가져가면 중소업체들이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중소 케이블업체들과 전문가들의 우려”라고 보도했다.

이 같은 보도를 두고 지상파 방송사 내부에서는 “지상파의 중간광고 도입에 부정적인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지상파의 광고 매출을 과대 포장한 악의적인 보도”라며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 지상파 관계자는 “지상파의 매출이 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보여준 수치가 왜곡된 측면이 있다”며 “지상파 계열 PP의 시장 지배력을 우려하기에 앞서 CJ E&M의 시장 점령을 먼저 지적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 매출과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게 지상파의 주장이다. 실제 지상파 계열 사업자의 방송광고 수익 점유율은 여전히 유료방송채널 사업자보다 높지만 그 격차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지상파 계열 채널사업자의 방송광고 수익 비중은 2006년 83%에서 2011년 76.2%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지상파 PP계열을 제외한 유료방송의 방송광고 수익의 비중은 2006년 17%에서 2011년 23.8%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들 신문들은 지상파의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다는 데는 일절 언급을 하지 않았다.  

지상파에 중간광고가 허용되면 2600억원의 매출이 증가할 것이란 <중앙>의 추정도 지나친 ‘부풀리기’ 라는 지적이다. 한 지상파 관계자는 “중간광고를 하더라도 전후광고의 축소 등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광고에 대한 이해 없이 단순히 2600억원으로 추정한 것은 중간광고의 효과를 과장하기 위해 것“이라며 “방통위 국정감사 시기에 맞춰 부정적인 여론을 만들려는 전략이 아니겠느냐”이라고 꼬집었다. “지상파에 중간광고가 도입되면 종편의 광고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자사 이해를 대변한 전형적인 보도라는 것이다.

▲ <조선일보> 11월 2일자 2면 기사.
그동안 광고 시장이 경색된 가운데서도 종편이 큰 폭의 광고 매출 실적을 거둔 데는 ‘중간광고’ ‘직접영업’ 등의 특혜의 결과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유승희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까지 종편의 광고매출은 1606억원으로 지난 2012년 동기 대비 29.3%이 증가했다. 반대로 지상파는 올해 9월까지 광고 매출이 6%(662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군다나 중소PP들이 반대하고 있는 8VSB 허용을 요구하고 있는 종편이 ‘중소PP의 고사’를 중간광고 반대의 논리로 내세웠다는 대목도 이같은 의구심을 키우고 있다.

박현수 단국대 교수(커뮤니케이션학부)는 “중간광고가 허용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광고 시장을 고려하면 수천억원의 광고 매출이 늘어나진 않을 것”이라며 “지상파 광고가 유료방송에 하던 광고를 빼서 지상파에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료방송사업자들이 받는 타격은 미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