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자 차이코프스키의 절망
상태바
동성애자 차이코프스키의 절망
  • 이채훈 PD연합회 정책위원(전 MBC PD)
  • 승인 2017.05.02 07:5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멜로디의 천재’ 차이코프스키(1840~1893)는 동성애자였다. 그는 페테르부르크 법대 시절의 동창부터 만년에 사랑한 조카 다비도프까지 평생 동성애자의 아이덴티티를 지울 수 없었고, 이 때문에 괴로워했다. 현대 생물학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의 일부 개체에 나타나는 동성애 성향이 “옳다, 그르다” 또는 “좋다, 나쁘다”고 판단할 수 없는 선천적 특징임을 밝혀냈다. 그러나 19세기 러시아는 동성애자를 시베리아 유형을 보내야 할 죄인으로 간주했고, 차이코프스키도 이를 도박이나 마약 같은 ‘몹쓸 습관’이라 여기며 죄책감에 시달렸다.

 

차이코프스키의 모든 사랑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었고, 이 점은 그의 음악에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 그의 첫 관현악 작품인 <로미오와 줄리엣> 서곡은 원수 집안 젊은이들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그렸다. 차이코프스키는 안토니나 밀류코바라는 여성과 결혼한 적이 있다. 모스크바 음악원의 제자였던 안토니나는 그에게 열렬한 연애편지를 보냈고, 결혼해 주지 않으면 죽어버리겠다고 위협했다. 앞날이 창창한 여성이 죽게 내버려 둘 수 없었던 그는 결혼에 동의했는데, 자기의 동성애 성향을 뜯어고칠 계기로 삼겠다는 생각도 있었다. 하지만, 결혼한 순간부터 죽고 싶어진 사람은 차이코프스키 자신이었다. 그는 강물에 뛰어들어 자살을 기도했지만 몸살에 걸렸을 뿐 죽지는 않았다. 6주 만에 그녀를 피해 스위스로 도망친 그는, 평생 이혼도 못한 채 살아야 했다. 동성 결혼은 꿈도 꿀 수 없던 시대였다.

 

차이코프스키는 마지막 작품인 교향곡 6번 <비창>의 초연을 지휘하고 9일 뒤에 세상을 떠났다. 페테르부르크 법대 동창의 아들과 사랑한 사실이 세상에 폭로될 위기에 처하자 이를 수치스레 여긴 동창들이 명예재판을 열어서 음독자살을 강요한 것이었다. <비창> 교향곡을 작곡할 때 그는 이미 자기의 죽음을 예견하고 있었다. 차이코프스키는 쓰디쓴 사랑의 좌절을 아름다운 멜로디로 승화시켜서 우리에게 걸작을 남겨줬다. 하지만, 그의 상처를 치유해 준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MBC의 <세계와 나 W>란 프로그램을 하던 2010년, 동성결혼이 합법화된 아르헨티나를 취재한 적이 있다. 크리스티나 대통령이 카톨릭의 반대를 무릅쓰고 새 법안에 서명한 직후였다. 내가 만난 세 커플 - 생활미술을 하는 60대 여성, 드라마 감독과 주인공인 40대 남성, 그리고 두 아이를 입양해서 키우는 젊은 여성 저널리스트 - 은 한결같이 행복해 하며 인터뷰에 응했다. “아이를 낳을 것도 아닌데 왜 결혼을 원하는 거죠?” 단도직입 궁금한 걸 물었는데, 그들은 거침없이 대답했다. “결혼 안 할 자유와 결혼할 자유를 (이성애자와) 똑같이 인정해 달라는 것입니다.”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시민권이 제한하면 민주주의가 아니라는 취지였다. 카메라 앞에서 애정 표현을 해 달라고 요청하자 그들은 서슴없이 다정하게 키스를 나눴다. 이성애자의 키스와 똑같이 마음이 담긴 자연스런 행위였다. 동성애자들은 차별과 배제의 쓰라린 경험이 있기 때문에 세상을 보는 예술적 감성이 더 예민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대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유력 대선 후보가 기독교계의 표를 의식하여 “동성애자를 반대한다”고 공언하여 비판받았다. “차별에 반대한다”고 덧붙이며 서둘러 무마에 나섰지만, 동성애자들은 자기 존재가 세상에서 지워지는 듯한 좌절과 슬픔을 이미 맛본 뒤였다. 돼지 흥분제로 강간을 모의한 자가 “동성애자들을 엄벌하겠다”고 말한 것은 너무 저급하니 대꾸할 가치가 없다. 과거의 적폐를 청산하고 좀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후보라면 소수의 아픔을 위로하고 함께 해야 옳지 않을까?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배제는 소수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 나라 민주주의 전체의 문제다. 표를 의식해서 어정쩡한 태도로 일관하기보다, 용감하게 진실을 얘기하고 반대자를 설득하는 감동의 리더십을 보여 줄 후보는 없을까?

 

동성애자를 대하는 21세기 대한민국은 차이코프스키가 살았던 19세기 러시아보다 그다지 나아 보이지 않는다. 굳이 사족을 달자면, 나는 이성애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까나리 2017-05-10 14:27:08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사족은 제가 본 것 중에 가장 못생겼네요.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