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이 매긴 ‘언론 자유도’ 참여정부 수준으로 회복
상태바
기자들이 매긴 ‘언론 자유도’ 참여정부 수준으로 회복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언론인 조사' 결과, 언론 자유도 3.31점...2017년 2.85점에서 큰 폭 상승
지상파 소속 기자들 체감 상승폭 가장 높아...신뢰도·공정성 자체 평가 점수는 제자리걸음
  • 박예람 기자
  • 승인 2020.01.13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조사한 '2019 언론인 조사' 결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조사한 '2019 언론인 조사' 결과.

[PD저널=박예람 기자] 기자들이 느끼는 ‘언론 자유’는 참여정부 시절 수준까지 회복한 반면 언론 신뢰도 점수는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3일 발표한 '2019 언론인 조사' 결과 기자들이 체감하는 ‘언론의 자유도’는 3.31점으로, 직전 조사 2.85점(2017년)과 비교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이 직접 매긴 ‘언론의 자유도’는 2007년 3.35점까지 상승했다가 2013년 2.88점, 2017년 2.85점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10년 동안 위축됐던 언론 자유의 회복세는 여러 조사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국경없는기자회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언론자유지수에서 2006년 31위까지 상승한 한국은 2016년 70위까지 추락했다가 2018년 조사에서 43위까지 올라섰다. 

지난해 6월 26일부터 9월 26일까지 일간신문·방송사·인터넷매체 등의 기자 19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선 특히 지상파 기자들의 언론 자유도 상승폭이 가장 높았다.   

황미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과장은 “매체 유형을 가리지 않고 언론 자유도가 상승한 가운데서도 지상파 3사 소속 기자들의 언론 자유도 상승폭이 가장 컸다”며 “2017년 조사에서 2.50점으로 최하위였던 지상파 3사의 언론 자유도 평가는 이번 조사에서 3.49점으로 전체 매체 가운데서도 높은 축에 속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정부에서 방송 장악 논란을 겪었던 공영방송사 기자들이 정권 교체 이후 언론 자유를 두드러지게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언론의 자유를 직간접적으로 제한한 가장 큰 요인으로는 2017년에 이어 ‘광고주’(68.4%)가 첫손에 꼽혔다. 소속 매체별로 ‘광고주’를 꼽은 비율은 경제일간지가 90%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전국종합일간(77.1%), 라디오 방송사(75.8%), 인터넷 언론사(74.6%) 순으로 나타났다. 지상파 3사(29.6%)와 지역방송사(29.5%)는 상대적으로 광고주를 꼽은 비율이 낮았다.

광고주 다음으로 언론 자유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힌 것은 ‘편집·보도국 간부’(52.7%), ‘사주·사장’(46.4%) 순이었다. 상위 3개 순위는 2017년도 조사와 동일했으나 이번 조사에선 ‘언론 관련 법·제도’와 ‘기자의 자기검열’이 전년 대비 각각 14.6%포인트, 3.1%포인트 상승했다.

기자들은 언론 자유도를 높게 평가한 데 반해 신뢰도·정확성·전문성·공정성은 여전히 낮다고 봤다.

기자들이 느끼는 언론 신뢰도는 2019년 2.80점을 기록해 2017년 2.78점 대비 0.02점 상승하는 데 그쳤다. 전문성과 공정성 또한 각각 2.62점에서 2.68점으로, 2.44점에서 2.52점으로 소폭 상승했다. 정확성은 2.77점에서 2.76점으로 0.01점 하락해 전년과 대동소이한 결과를 보였다.

기자들이 뽑은 가장 중요한 취재보도의 원칙은 '정확성'이었다. 이들은 보도의 공정성·정확성·심층성·신속성·흥미성 등 5가지 원칙 가운데 정확성(4.81점)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했으며, 그 다음으론 공정성(4.63점)을 꼽았다. 매체 유형별로는 방송사가 타매체보다 ‘보도의 정확성(4.86점)’과 ‘보도의 공정성(4.76점)’ 항목을 주요하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 언론인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9 언론인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자들은 언론 신뢰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허위·조작 정보’를 첫번째로 지목했다. 허위·조작정보, 낚시성 기사, 어뷰징 기사, 광고성 기사 등 언론 신뢰도를 저해한다고 지적 받아온 8개 유형 가운데 허위·조작정보는 4.36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했다.

허위·조작정보의 해결방안으로는 ‘언론사의 정확한 정보 제공’(4.55점)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해 기자들이 ‘정확성’을 보도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사업자의 사회적 책무성 강화’(4.36점)와 ‘팩트체킹·가짜뉴스 검증 시스템에 대한 지원’(4.27점)이 뒤를 이었다. ‘민·형사상 처벌과 법적 규제 강화’는 3.71점으로 필요성이 가장 낮게 평가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의뢰를 받아 전문업체 (주)메가리서치가 진행한 이번 설문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은 ±2.1%포인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