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섭게 퍼지는 신종 코로나 '가짜뉴스' 차단 안간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바일 메신저 통해 '괴담' 확산...공문서·뉴스 형식으로 교묘해진 '허위조작정보'
방심위, 가짜뉴스 3건 '삭제 조치'..."투명한 정보공개가 먼저" 지적도

신종 코로나 관련 온라인상의 허위조작정보 실태를 다룬 KBS '뉴스9'ⓒ KBS
신종 코로나 관련 온라인상의 허위조작정보 실태를 다룬 KBS '뉴스9'ⓒ KBS

[PD저널=이미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신종 코로나)과 관련한 괴담과 유언비어가 온라인을 통해 퍼지면서 관계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물론 인터넷서비스사업자들도 신종 코로나 관련 허위조작정보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팔을 걷어붙였다.

최근 불거진 신종 코로나 관련 괴담은 주로 정보의 유통·확산 속도가 빠른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특정 지역을 언급하며 '확진자가 있다' '의심환자가 실려 갔다'는 내용이 대표적이다. 2일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제주대병원에 확진자가 이송됐고, 아직 뉴스엔 나오지 않았다'는 내용의 글이 모바일 메신저를 중심으로 유통됐다.

뉴스나 공문 등의 형식을 교묘히 모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지난달 29일 SNS에선 창원시청을 사칭한 '창원지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우려자 발생 보고' 메시지가 퍼졌고, 31일에는 '분당·동탄 지역에 확진자가 있다'는 내용이 담긴 공문 형식의 문서를 찍은 사진이 급속도로 유포됐다. 지난달 28일에는 '[속보] 수원의 한 고등학교 5번째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라고 쓰인 SBS 뉴스 화면 캡처본이 돌기도 했다.

이 같은 현상을 '정보전염병'(infordemic)이라고 정의한 WHO(세계보건기구)는 지난 2일(현지시각) 낸 신종 코로나 관련 보고서에서 "'정보전염증'은 사람들이 필요로 할 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기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이에 맞서 정부도 강력한 대응에 나섰다. 지난달 30일 문재인 대통령이 "불신과 불안을 조장하는 가짜뉴스의 생산과 유포는 방역을 방해하고 국민의 안전을 저해하는 중대한 범죄행위"라며 "관계부처는 표현의 자유를 넘는 가짜뉴스에 대해 각별한 경각심을 갖고 단호하게 대처해 주기 바란다"고 밝힌 데 따른 조치다.

같은 날 경찰은 사이버 대책 상황실을 꾸려 신종 코로나 관련 허위조작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최근까지 유포된 허위조작정보를 신속하게 수사해 최초 생산자뿐 아니라 중간 유포자도 추적해 검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 관련 허위조작정보에서 언급된 서울특별시 강남구·경기도·제주특별자치도 등도 경찰에 정식으로 수사를 의뢰했다.

법무부도 "장관은 금일 검찰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불신, 불안을 조장하는 가짜뉴스 생산과 유포 행위에 대해 신속하고 철저히 수사해 엄단할 것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대책특별위원회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대책특별위원회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신종 코로나 관련 허위조작정보를 차단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앞서 모니터링 강화 등 적극 대응 방침을 밝힌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심위)는 3일 '경주 지역에 공개되지 않은 한국인 확진자 2명이 있다'는 내용이 담긴 인터넷 게시물 2건을 긴급 심의 후 삭제 조치했다. 지난달 30일에도 방심위는 '경북 고성의 한 마트 화장실서 발견했다'는 글과 함께 중국 국기가 그려진 마스크와 붉은 액체가 묻은 마스크가 쓰레기통에 버려진 사진이 담긴 인터넷 게시물을 신종 코로나 관련 허위조작정보로 보고 삭제 조치했다.

3일 기준 10여 건의 신종 코로나 관련 허위조작정보가 방심위에 접수된 가운데, 방심위는 통신심의소위원회 긴급 안건으로 이를 심의한다는 계획이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글로벌 사업자부터 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사업자들도 대열에 합류했다.

페이스북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각) 신종 코로나 관련 허위조작정보나 음모론·인종차별적 내용이 담긴 글은 삭제하고, 관련 정보를 올린 계정은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도 지난 1일(현지시각) 중국의 한 과학자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만들었다고 주장한 한 이용자의 계정을 규정 위반으로 폐쇄했다.

네이버·카카오는 첫 화면에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주요 증상과 예방법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자율심의를 통해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접속차단 등을 조치하는 등 대처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잘못된 정보를 차단하는 일도 필요하나, 먼저 정보를 투명하게 알릴 소통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신종 코로나 괴담'을 막기 위해 더욱 효과적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전 세계적 유행성 독감 등의 발발시 정부기관은 일관된 소통 체계를 갖추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정보를 알릴 필요가 있다고 권고하고 있다.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지난달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아직 유증상자 단계 정보는 알려지지 않고 있는 것 같다"며 "그러다 보니 유증상자가 발생하면 지역에 삽시간에 소문이 나고, 이게 정부 자료에 나오지 않게 되니 괴담이 된다"며 투명한 정보 공개를 촉구했다.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정보를 차단·삭제하는 것이 정부 대응의 중심이 되면 오히려 불필요한 오해나 사회적 갈등을 불러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질병 확산 예방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며 "물론 불가피하게 차단하거나 삭제해야 할 정보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최대한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대중이 의심을 갖는 부분을 빠르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