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에 콩’ 총선 보도, 그마저 ‘정치 혐오’ 조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선미디어감시연대, 3월 둘째주 방송사 총선보도 10%에 그쳐
“정치세력 간 갈등 보도, 혼탁한 선거판 중계 모두 정치 혐오 부추겨”

총선미디어감시연대가 '정치 혐오' 보도로 선정한 지난 9일 TV조선 '뉴스9' 리포트 화면 갈무리.
총선미디어감시연대가 '정치 혐오' 보도로 선정한 지난 9일 TV조선 '뉴스9' 리포트 화면 갈무리.

[PD저널=은지영 기자] 방송사 저녁종합뉴스에서 총선 관련 보도량이 늘어났지만 정치혐오를 부추기는 유해 보도도 함께 증가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19일 2020총선미디어감시연대 서울지부는 3월 둘째 주(9~15일) KBS1, MBC, SBS, JTBC, TV조선, 채널A, MBN 저녁종합뉴스의 총선 보도를 양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총선 관련 보도는 전주보다 3.2%가량 증가했지만, 전체 뉴스 리포트의 10.8%(139건)에 그쳤다. 종편의 선거 보도 비중에 많았는데, TV조선이 16.3%로 가장 높고, JTBC(11.4%), MBN(10.9%), 채널A(10.6%)가 뒤를 이었다.  

보도 내용을 보면 ‘선거 전략’에 해당되는 보도가 54%를 차지했는데,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연합정당 참여 논란을 다룬 게 절반 이상이었다. TV조선 ‘결국 비례정당 참여’(3/13), 채널A ‘꼼수라고 비판하더니…결국 참여’(3/13)를 비롯해 민주당의 연합정당 참여 결정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 기사가 많았다. 

보고서는 “TV조선 신동욱 앵커는 ‘이번 결정으로 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했는지 그 취지가 사실상 사라지게 됐’고 언급했고, 채널A는 ‘국민을 향해 이랬다 저랬다 말하는 게 책임있는 정당의 태도가 아니다’는 황교안 미래통합당의 말을 전했지만, 미래한국당에 대해서는 비판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각각 99건, 97건 등장하며 보도의 양적 균형을 이룬 듯 보이지만, 민주당을 두고 부정적 불리한 표현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논란, 잡음, 갈등 진통, 파열음 등 특정 정당에 부정적이거나 불리한 표현을 쓴 보도를 살펴봤더니 TV조선은 민주당에 대한 ‘편파‧불리’ 보도가 미래통합당 ‘편파‧불리’ 보도의 2배였다.  

ⓒ2020총선미디어감시연대 '방송 보도 4차 양적분석 보고서'
ⓒ2020총선미디어감시연대 '방송 보도 4차 양적분석 보고서'

선거 보도의 절반(49.6%)은 ‘2020총선미디어감시연대가 정한 유해보도에 해당했다. 

3월 첫째 주 58건이었던 유해보도는 둘째 주 69건으로 늘어났다. 다만 전체 보도량에서 유해보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직전 주에 비해 감소(58%→49.6%)했다. 유해보도가 가장 많은 방송사는 JTBC(13건)였고 TV조선·MBN이 12건으로 뒤를 이었다.

유해보도 중에서도 정치 혐오를 부추기는 보도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치혐오를 부추기는 보도는 총 10건으로, 3월 첫째 주(1건)와 비교했을 때 유해보도의 11가지 유형 중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정치 혐오를 조장하는 보도는 TV조선이 3건으로 가장 많았다. TV조선은 <"비난은 잠시"… 결국 비례정당 창당 추진>에서 연합정당 참여 여부를 두고 당원 투표를 진행한 더불어민주당을 비판했다. 보고서는 해당 기사가 민주당과 진보진영 정당들의 갈등 구도를 부각한 점을 지적했다.

'정치 혐오' 보도로 꼽힌 채널A는 <1명이라도 더… 의원 꿔주기 검토>에서 미래통합당의 비례정당 창당을 비판했던 민주당이 연합정당에 참여하는 문제를 짚었다. 보고서는 "충분히 가능한 비판이지만 연동형 비례제의 본질과는 거리가 멀고 유권자의 대처법을 제시하지 않았다"며 "생산적 비판보다는 양당이 다 나쁘다는 인상만 강조했다"고 지적했다.

총선미디어감시연대 서울지부는 보고서를 통해 “정치세력 간 갈등이나 대결을 양쪽 다 나쁘다며 양비론을 펼치거나 선거판이 혼탁해지는 상황을 보여주기만 한 경우 모두 ‘정치 혐오 보도’”라면서 “‘정치 혐오 보도’에는 계층이나 출신지역으로 갈등을 부추긴 정치권 발언을 받아쓰기만 한 보도들도 포함되는데, 정치인의 문제적 행태는 받아쓰는 데 그치지 말고 정확히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