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후원금 의혹에 '위안부 운동' 흔드는 보수신문
상태바
정의연 후원금 의혹에 '위안부 운동' 흔드는 보수신문
동아, 정의연 후원금 사용 의혹에 “반일 민족주의 소재로 이용”
경향‧한겨레 “의혹 풀어야지만 인권 운동 대의 해쳐선 안 돼”
  • 박상연 기자
  • 승인 2020.05.12 10: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일보 12일자 3면 기사
중앙일보 12일 자 3면 기사

[PD저널=박상연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단체인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의 ‘후원금 부정 사용’ 의혹과 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을 둘러싼 논란을 바라보는 언론의 시각차가 뚜렷하다.

12일 <조선일보> 등 보수매체는 정의연의 기부금 지출 내역 의혹을 제기하며 정의연 활동의 정당성에 의문을 던졌다. 반면 대부분의 아침신문은 앞으로 기부금 사용 등 일부 의혹에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도, 정의연의 반박과 해명을 보도하며 이번 진실공방으로 ‘위안부 인권 운동’의 대의를 흔들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정의연이 2018년 후원행사에서 쓴 지출 내역이 '위안부' 피해자 지원금보다 많다고 문제 삼으며, 기부금 지출을 실제보다 과도하게 부풀려 회계처리 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12일 <조선일보> 1면 <맥주값 3339만원 썼다던 정의연, 430만원 결제> 기사에서 2018년 ‘정대협(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의연의 옛 명칭) 28주년 후원의 밤’ 행사에서 지출했다고 기재한 금액이 3339만원인데, 같은 해 정의연이 ‘위안부 피해자 지원’에 쓴 총액(2320만원)보다 많다고 비교했다.

<중앙일보>는 3면 기사에서 정의연 기부금 용처 논란이 윤 당선인 딸 유학 자금 논란으로 번졌다며, 의혹을 제기하는 야권 인사의 주장을 전했다. 기사에선 ““위안부 할머니들의 의사를 왜곡‧조작해 양국 갈등을 초래했다면 그보다 중대한 문제가 없다”면서 “나라를 팔아 재산을 불린 ‘친일 매국’도 매국이지만 일본을 팔아 이익을 챙긴 ‘반일 매국’도 매국”이라고 했다”는 통합당 소속 장진영 변호사의 발언을 인용했다.

<동아일보>는 12면 <기부금 지출항목에 ‘상조회사 1170만원’… 업체 “한푼도 안받아”> 보도에서 “정치권에선 “더불어시민당 윤미향 당선자가 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만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 수사해야 할 사안”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했다.

이들 보수매체는 사설을 통해서 이번 정의연 의혹이 활동 정당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문제라고 주장했다.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기부금을 이렇게 쓰면서 내역 공개를 거부하니 정의연 출신들의 이상한 돈 씀씀이에 대해서도 의혹이 불거질 수밖에 없다”고 연관 지었다. <동아일보>는 사설 <정의기억연대 의혹 철저히 규명돼야 활동 정당성 얻는다>를 통해 “정대협 또는 정의기억연대 활동이 전시 성폭력이라는 보편적인 여성 인권 문제에서 일탈해 반일 민족주의 정치 운동의 소재로 이용된 측면은 없는지 자성해야 한다. 여성계 인사들이 정대협을 거쳐 속속 정계에 진출해온 점도 씁쓸하다”는 논리를 폈다.

ⓒ 뉴시스
ⓒ 뉴시스

<서울신문> <경향신문> 등은 정의연의 반박에도 모든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지 않은 점을 짚으며 향후 제기된 의혹과 의문을 푸는 데 더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울신문>은 <“3년간 기부금 41% 피해자 지원” 정대협 회계 섞여 비율 들쑥날쑥> 보도에서 기부금 지출과 관련한 공방을 △정의연 후원금 왜 다른 데 썼나 △2년간 피해자 지원 비율 6% 미만 △ 진보진영 자녀 김복동장학금 혜택 △윤미향 당선자 자녀 유학자금 출처 등으로 정리하고 각각 정의연과 윤 당선자의 반박을 기재했다.

<경향신문>은 해당 의혹의 쟁점이 ‘피해자 지원’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보느냐’라며, 할머니들의 경제상황이 안정된 후에는 직접 지급 외에 할머니들 위한 의료지원, 정기방문, 외출동행 등 정서적 안정 돕는 방식으로 피해자 지원활동 해왔다는 정의연의 주장을 함께 다뤘다. 또한 “일각에서는 피해자에게 직접 지원된 돈이 적다는 이유만으로, 정의연의 존재가치를 송두리째 부정해선 안 된다고 우려한다”고 주장했다.

<한겨레> 역시 사설에서 “이용수 할머니의 발언을 빌미로 ‘위안부 인권 운동’을 흔들려는 정략적 의도는 단호히 배격해야 한다. 야당과 일부 보수언론은 윤 당선자를 공격하면서 박근혜 정부 때의 한-일 위안부 합의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하려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윤 당선인이 한일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합의 과정을 사전에 인지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윤 당선인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외교당국과 정부의 책임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한겨레>는 2면 기사 <“박근혜 정부, 한-일 위안부 합의때 핵심내용은 피해자쪽에 안 알렸다”>에서 2017년 7월 ‘한‧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문제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에서 박근혜 정부 당시 '위안부' 합의 경위를 조사한 보고서를 근거로 들었다. 기사에서는 “티에프는 '외교부가 협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피해자 쪽에 때때로 관련 내용을 설명했다'면서도 '최종적‧불가역적 해결 확인, 국제 사회 비판 자제 등 한국 쪽이 취해야 할 조치가 있다는 것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주지 않았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이 문제에 대한 1차적 책임은 합의 과정과 최종 결론을 언론과 일반에 공개하지 않고 ‘밀실’ 추진한 박근혜 정부와 외교당국에 있다는 지적이 많다”고 꼬집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