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내 방을 갖는다는 의미
상태바
내 집, 내 방을 갖는다는 의미
[비필독도서 40]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 오학준 SBS PD
  • 승인 2021.02.03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일 경기 화성시 LH 임대주택 100만호 기념단지인 동탄 공공임대주택에서 현장점검을 했던 복층형 세대 내부.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일 경기 화성시 LH 임대주택 100만호 기념단지인 동탄 공공임대주택에서 현장점검을 했던 복층형 세대 내부. ⓒ뉴시스

[PD저널=오학준 SBS PD] 이사하기로 했어, 작은 집으로. 엄마의 말에 정신이 번쩍 들었다. 사방에 꽂힌 책들이 처음으로 거추장스러웠다. 그간 집이 계속 넓어져 온 탓에 한 번도 고민해보지 않았던 문제였다. 헐값에 울며 중고 책방에 넘겨야 할까? 아니면 책 위에 누워 잠들어야 할까?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 사이를 널뛰기하다, 간신히 이 책들과 함께 춤출 공간이 남는 집을 찾았다. 부랴부랴 전세 계약을 마치고 돌아오니 한밤이었다.

밤으로 물든 집 마루에 주저앉아서야 다시는 이곳에 돌아올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다시 돌아온다 해도, 나도 집도 모두 다른 무언가가 되어있을 것이다. 30년 가까운 시간 동안 대명사 ‘집’이었던 이곳에서 잠들 날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았다. 퇴근하면 아침이든 밤이든 농담처럼 ‘굿 모닝!’을 외치며 서로 부둥켜안던 날들도 손끝의 온기로만 남을 것이고, 우울한 날들에 햇빛을 덮고 누워 잠들던 밤색 마룻바닥도 기억 속 한 뼘 남짓한 너비로 졸아들 것이다.

‘IMF 키즈’로서, 한 곳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초본만 길게 늘였다. 그 사이 내 안에는 무수한 집, 수많은 사람들, 다양한 동네가 한데 모여 도시가 되었다. 빛조차 제대로 들지 않는 지하 단칸방에서부터, 남으로 길게 난 창에 기대던 고층 아파트까지, 내 성격과 몸의 한 부분으로 남았다. 내가 이 모양 이 꼴이 된 이유를 설명하려면, 머물렀던 곳들을 함께 이야기해야만 했다. 끝이라 생각했던 이사를 다시 반복하는 밤, 이 집도 언젠가 나의 도시를 이룰 것이다.

“낯선 집이 친밀해질 때 나는 그곳을 떠났다”라는 제사(題詞)로 시작하는 하재영의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를 집어든 것도 이 때쯤이다. 대구에서 고양으로, 그리고 다시 서울로 옮겨 다니며 마주했던 동네와 사람들, 그리고 집과 방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었다. 극과 극의 주거형태를 거친 작가 자신의 성장기이자, 지나온 집들의 기록이자, 한 시절에 대한 이야기였다. 그리고 ‘자기만의 방’을 찾는 분투기이기도 했다.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책은 크게 두 개의 축으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저자의 ‘서울 입성기’이자 성장기다.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도망치듯 떠밀려온 서울에 그의 자리는 없었다. 돈벌이와 무관한 직업 탓에 서울의 신림동과 금호동을 전전하며, 동생에게 생계를 의탁하기도 했다. 스스로 책임지기를 끊임없이 유예하고 감흥 없는 시간을 살았음을 저자는 담담하게 고백한다.

동생과의 이별 이후 작가는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아등바등’ 애를 쓴다. 소설 쓰기를 멈추고, 닥치는 대로 일을 하여 서울 근교에 방을 얻는다. 그 셋방을 자기의 돈과 시간을 써가며 ‘아등바등’ 고치면서부터 많은 것이 달라졌다. 자신감과 안온함을 얻었고, 함께할 사람을 얻었다. 집을 고치는 것은 사람이지만, 집도 사람을 바꾸어놓는다는 ‘자명한 사실’이 드러난다. 

다른 한 축은 여성으로서의 저자, 그리고 그의 엄마의 자리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 집’을 가진다는 것과 ‘자기만의 방’을 가진다는 것 사이에 놓여 있는 균열은 작가의 모든 문장들에 끊임없이 소환된다. “내가 나의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은 당연하지 않다”는 말은 비단 서울이란 도시에 내 몸 뉘일 방이 없단 뜻만은 아니다. 집 안에서도 ‘자기만의 방’을 갖기 위해선 분투해야만 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의미하기도 했다.

저자는 신혼집의 서재를 꾸미며, 독서 습관이 몸에 밴 엄마가 서재의 주인이 되지 못했던 기억을 떠올린다. 창작은 고독을 요구하고, 고독은 장소를 요구한다. 하지만 저자가 떠올리는 엄마의 독서 공간은 주로 식탁이나 소파였다. 언제든 방해받을 수 있는 곳이었고, 노동과 휴식이 엄밀하게 분리되지 않는 곳이었다. 자기만의 방을 가지지 못한 엄마를 수용하는 동시에 배반하는 것이 그를 추동하는 동력이기도 했다. 

집안 곳곳에 놓인 책장을 본다. 아빠의 책은 보이지 않는 구석에 꽂힌 채 먼지가 되었고, 엄마의 책은 빛에 바랜 채 덜렁거린다. 어릴 적 기억 속 엄마와 아빠는 책을 읽었다. 내가 책을 사서 모아두면서부터 둘은 책을 읽지 않았다. 무심히 늘어가는 책이 거실과 주방을 밀고 들어올 때에도 별다른 말이 없었다. 이사를 할 때가 되어서야 책이 짓누르던 당신들의 공간을 본다. 우리는 서로 이곳을 다르게 생각할 것이다. 같은 집에 살면서도 서사는 다르게 흐른다.

문장들을 따라가며 둔감함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집은 우리에게 같은 장소가 아니었다. 누군가에게 집이 쉼터이기 위해 다른 누군가에게 집은 일터가 되었다”라는 말은 뼈아프다. 새로 이사 갈 집의 가격이 얼마인지를 두고 논한 적은 있지만, 그곳에 당신들의 자리를 어떻게 마련할지를 진지하게 물었던 적은 없다. 부엌이, 창고가, 거실이 당신들의 방인 양 너무 오래 침묵해왔던 것처럼. 이사를 가기 전, 책을 함께 읽고 당신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졌다.

좋은 에세이는 독자로 하여금 끊임없이 말을 하고 싶게 만드는 글이라 생각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섬세하고 진실 되게 꺼내어 놓을 때에만 읽는 사람들의 입술은 끊임없이 간질거린다. 눈만 뜨면 오르는 집값에 눈이 빨갛게 부어오른 사람들 틈바구니에서, 집이 대체 당신들에게 무슨 의미인지를 나지막한 목소리로 묻는 책을 구태여 찾아 읽는다. 좋은 글을 빌려 하고 싶은 말들이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친애하는 나의, 당신의 집에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