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범인 찾기보다 중요한 질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JTBC 금토드라마 '괴물', 작은 마을에서 벌어진 '연쇄살인' 왜 은폐됐나

JTBC 금토드라마 '괴물' ⓒJTBC
JTBC 금토드라마 '괴물' ⓒJTBC

[PD저널=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JTBC 금토드라마 <괴물>은 특이한 범죄스릴러다. 보통의 범죄스릴러들이 보여주는 이야기 전개의 구조는, 사건이 발생하고 그 사건을 추적하는 형사들이 범인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이뤄져 있다. 그래서 범죄스릴러의 목표 지점은 결국 ‘누가 범인인가’에 맞춰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괴물>은 여기에서 머물지 않는다. 범인이 왜 그런 짓을 저질렀고, 이로 인해 피해자들은 왜 점점 괴물처럼 변해가게 되었는가 하는 이야기들로 확장된다. 그래서 이 범죄스릴러의 목표점은 범인 찾기로 끝나는 게 아니라, 거기서부터 시작이다. 범인이 밝혀진 후 그 이면에 놓인 사회의 씁쓸한 현실까지 범죄스릴러가 포착해내는 건 놀라운 성취가 아닐 수 없다. 

20년 전 벌어진 살인사건과 실종사건. 한 여성은 손이 뒤로 묶여진 채 처참하게 살해되어 갈대숲에 버려졌고, 다른 한 여성은 잘려진 손가락 열 개만 남겨진 채 실종됐다. <괴물>은 그 실종된 여동생을 20년 간 애타게 찾아온 형사 이동식(신하균)과, 연쇄살인을 수사하다 동식을 의심하게 되면서 만양파출소로 오게 된 한주원(여진구) 경위의 팽팽한 대결로 시작한다.

문주경찰서 강력계에서 근무하다 동료가 사망하는 일을 겪고는 만양파출소로 이동식이 좌천되어 돌아오고 마침 20년 전 벌어졌던 손가락 절단 실종사건과 유사한 사건이 벌어지자 한주원은 더더욱 이동식을 의심한다. 드라마는 이처럼 시작부터 이동식이 범인일 수 있다는 뉘앙스를 풍기지만, 진범은 따로 있었다는 게 밝혀진다. 이동식이 범인처럼 보인 이유는 사체가 발견되지 않으면 살인죄를 묻기 어렵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결국 범인을 알면서도 모른 척 하며 사체 증거를 찾아낸 것. 

하지만 이렇게 범인이 등장한 게 겨우 7회였던 이 드라마는 범인이 자살하는 사건으로 이면에 또 다른 누군가가 존재한다는 걸 드러낸다. 즉 범인은 피해자를 묶어놓고 잔혹하게 살해하는 인물만이 아니라, 당시 범인으로부터 도주하던 이동식의 여동생을 차로 치어 사망하게 만들어놓고 마치 연쇄살인범의 범죄인 양 덮어버린 또 다른 인물들(지역유지들)이 있었다는 게 밝혀진다.

그 인물들은 시의원 도해원(길해연)과 JL건설 이창진(허성태) 대표 그리고 차기 경찰청장이 유력한 한주원의 아버지 한기환(최진호) 차장이다. 그래서 드라마는 연쇄살인범과 죄를 저지르고도 이를 묻어버린 채 지역 개발을 통해 돈과 권력을 잡으려는 지역유지들을 병치해 놓고는 묻는다. 이 두 괴물이 다를 게 뭐가 있냐고.

JTBC 금토드라마 '괴물' ⓒJTBC
JTBC 금토드라마 '괴물' ⓒJTBC

범인이 누구인가를 찾는 건 범죄스릴러가 가진 핵심적인 동력이다. <괴물>도 이 동력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지만, 범인 찾기 과정에서 변두리 소외된 마을에서 벌어진 비극으로 유가족들이 겪는 엄청난 아픔과 상처를 외면하지 않는다. 치유되지 않는 상처는 이들이 서로를 감싸주고(그래서 수사가 더욱 어려워진다) 때로는 ‘괴물처럼’ 행동하게 만든 이유다.

외지에서 이동식을 의심해 이 마을에 들어오게 된 한주원은 그래서 마을 사람들이 모두 의심스럽게 다가오지만, 차츰 그들의 처지와 입장에 공감하게 되면서 이동식처럼 변해간다. 그것은 바로 시청자들의 시선 변화이기도 하다. 시청자들은 범인이 누구인가 미칠 듯이 궁금해지다, 그 과정에서 범인의 피해자들의 아픔을 들여다보고 공감하게 된다. 

범죄스릴러에서 범인이 누구냐는 궁금증은 드라마의 재미를 극대화하는 요소지만, <괴물>은 거기에 왜라는 질문을 더함으로써 이런 비극이 탄생하는 현실의 아픈 치부들을 끄집어낸다. 부동산, 개발, 정치, 돈, 권력 같은 단어들을 엮어 놓으면 자연스럽게 부조리한 현실이 떠오른다.

20년 전 사건이 터졌을 때 살인범을 끝까지 찾아내기보다는 개발이라는 호재를 잃을까 두려워 서둘러 덮어버림으로써 계속 발생하게 된 이 마을의 비극은, 개발과 부동산에 미쳐 돌아가는 사회가 그로 인해 얼마나 많은 피해자들을 만들어내고 있는가를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값으로만 치부되던 땅 속에서 묻혔던 사체들이 마구 등장하는 광경은 그래서 마치 피해자들의 항변처럼 다가오는 면이 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