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치' 담론 후퇴시킨 靑 청년비서관 자격 논란 보도
상태바
'청년정치' 담론 후퇴시킨 靑 청년비서관 자격 논란 보도
임명되자마자 자격 논란 휩싸인 박성민 청년비서관
"시험 통한 선발 유무로 공정성 판단"...언론, 커뮤니티 받아쓰기로 논란 확대
"엘리트 중심 정치인 모습에서 벗어나야 청년정치 활성화"
  • 손지인 기자
  • 승인 2021.06.30 15: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불어민주당 박성민 최고위원이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09.09. ⓒ뉴시스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이 지난해 9월 9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시절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PD저널=손지인 기자] 최근 불거진 박성민 청와대 청년비서관 자격을 둘러싼 논란은 국민의힘이 띄우고 언론이 장단을 맞추면서 확대 재생산됐다. 국민의힘이 전가의 보도로 꺼낸 '불공정 프레임'에 편승한 언론은 나이와 경력 등을 거론하며 박성민 비서관에게 사실상 '무자격' 낙인을 찍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1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등을 지낸 박성민 씨(25세)를 청년비서관으로 임명했다. 최근 정치권에 불고 있는 세대교체 바람을 탄 '파격 발탁'이라는 해석 뒤에 곧바로 불공정 논란이 부상했다.

논란은 국민의힘 쪽의 공세로 시작됐다. 지난 22일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이하 국보협)는 성명을 내고 “일반적인 청년들은 몇 년을 준비해 행정고시를 패스해 5급을 달고 근 30년을 근무해도 2급이 될까 말까 한 경우가 허다하다. (박성민 비서관은) 최고위원 지명 당시에도 파격이라며 주목받았지만, 그가 내놓은 청년 정책, 메시지는 단 한 건도 없다”고도 지적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국보협의 주장에 동조하는 여론이 퍼졌다. 공무원들이 모인 커뮤니티에는 “죽자 살자 공부해서 행시(행정고시) 붙어도 5급인데, 재학생이 순삭 1급” “7급 따려고 3년째 발악하는데 박성민을 1급에 올리는가” “취업 준비를 해보지도 않았고, 청년문제 뭐 하나 겪어본 게 없는데 왜 청년 대표냐” 등 청와대의 인사에 불만을 표출하는 글이 올라왔다. 

곧바로 <“행시 붙어도 2급 될까 말까인데”… 25세 靑비서관 역풍>(세계일보, 6월 23일), <靑, 25세 대학생 1급 비서관 영입 역풍 2030 “정치권 청년이라고 발탁, 공정한가”>(조선일보, 6월 22일), <'96년생' 박성민 靑 청년비서관 발탁에…"상대적 박탈감", "무슨 성과냈냐">(아시아경제, 6월 23일) 등 청년들의 격앙된 반응을 받아쓰는 보도가 이어졌다. 지난 25일 박 비서관과 고려대 동문이라는 학생이 개설한 ‘박탈감 닷컴’ 사이트는 2030세대의 분노와 박탈감을 보여주는단면으로 보도됐다. 

하지만 '청와대 인사 역풍 보도'는 임명직인 박 비서관의 인사에 '1급'을 강조해 청년들을 자극한 측면이 크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지난 25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다른 사람 자리를 뺏는 게 아닌 이른바 별정직이다. 별정직에는 특정한 목적에 따라 한시적으로 특정한 기능을 가진 사람을 채용하는데 한시적이고 특별한 용도를 가진 것이기에 이런 자리에 시험이나 경쟁 절차를 거쳐서 뽑을 순 없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공정' 이라는 가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2030세대를 앞세워 협소한 '불공정 프레임'을 씌웠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준형 전국언론노동조합 전문위원은 “이번 공정성 논란은 넓게는 한국 사회, 좁게는 2030 세대들의 공정에 대한 요구가 ‘구조적 불공정성’에 대한 개혁이 아니라 ‘시험 및 평가 기회의 공정성’으로 편협하게 축소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언론이 (이번 공정성 논란에 대해) 별다른 분석 없이 2030 커뮤니티를 일제히 받아쓰는 식으로 논란을 확대 재생산했다”고 지적했다.

'청년정치'가 화두가 떠올랐지만, 청년 정치인에 대한 평가 잣대가 기존 정치인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여줬다는 해석도 있다. 청년을 대변하는 정치인들에게 화려한 스펙을 요구하는 게 모순적이라는 지적이다.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는 “우리 사회는 나이가 많고, 변호사나 교수 타이틀을 가진 엘리트 중심의 정치인의 모습에 익숙해져 있다. 하지만 평범한 정치인들이 많아질 때 현실을 더 잘 대변할 수 있다”면서 “청년 정치인에게 엄청난 경력을 요구한다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청년들은 별로 없을 것이다. 청년정치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기존에 생각하던 정치인 상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또 (박 비서관이) 경력이 아예 없는 것처럼 보도가 됐는데, (박 비서관은) 앞서 민주당 청년대변인, 최고위원 등을 거치면서 경력을 계속 쌓아왔다. (이러한) 정치 영역에서의 경력이 인정되어야 우리 정치도 어려서부터 훈련된 전문적인 정치인들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