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제 드라마 어디까지 갈까
상태바
시즌제 드라마 어디까지 갈까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 예고한 TV조선 '결혼작사 이혼작곡'
주춤한 '펜트하우스3'... '슬기로운 의사생활' 극적 갈등 없이 순항
  • 방연주 대중문화평론가
  • 승인 2021.08.13 14: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BS '펜트하우스3'
SBS '펜트하우스3'

[PD저널=방연주 대중문화평론가] 올해 ‘시즌제’를 내건 드라마가 쏟아졌다. SBS<펜트하우스>, tvN<슬기로운 의사생활>은 각각 시즌3, 시즌2를 방영 중이고, TV조선<결혼작사 이혼작곡>는 지난 8일 시즌3를 예고하며 종영했다. 앞서 지난달 31일에는 2017~2019년 OCN에서 방영된 후 tvN으로 채널을 옮겨 방영된 <보이스4>도 막을 내렸다.

그간 추리나 수사물 등 특정 장르에서 통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에서 시즌제 드라마가 시도됐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해외 시즌제 드라마와는 비교한다면 물음표가 남는다. 시즌제 드라마를 내세웠지만, 막상 들여다보면 시즌제 드라마여야만 하는 이유가 불분명했기 때문이다. 

SBS<펜트하우스>는 지상파에서 처음 시도한 시즌제 드라마로 성과를 거뒀다. 시즌1,2는 흡입력 있고, 빠른 전개로 시청률 두 자릿수를 공고히 지켜내며 흥행을 이어갔다. 시청률 10%대를 넘기기 어려운 환경에서 29.2%, 28.8%(시즌1,2, 닐슨코리아 기준)까지 치솟은 것만 봐도 독보적이다. 하지만 시즌3에서 주춤했다. 1회 19.5%로 시작해 16~17%대 그치고 있다. 전 시즌에선 ‘사이다’ 전개로 두터운 시청층을 형성한 데 반해 시즌3에서는 비난 여론이 높아졌다. 충격적인 반전, 복잡한 인물 관계, 죽음과 부활 등 이른바 작가 이름을 딴 ‘순옥적 허용’이 반복되며 피로감을 안겼기 때문이다. 자극적인 설정의 반복이 개연성 논란에도 불을 지피고 있다. 

TV조선<결혼작사 이혼작곡>은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시즌3’이라는 자막과 함께 종영했다. 불륜커플이 모두 해피엔딩을 맞지 못했고, 손녀가 죽은 할아버지 신기림의 영혼에 빙의되는 모습이 마지막 장면으로 시청자에게 혼란을 남기고 끝났다. 피비(임성한) 작가가 <신기생뎐>, <압구정 백야>, <오로라 공주> 등 전작에서 보여준 것처럼 이번에도 미신, 귀신, 빙의 소재를 소환했다.

임성한 작가 특유의 대사와 인물의 얽히고설킨 관계를 ‘빌드업’하는 방식도 여전했다. 30대, 40대, 50대 부부의 불륜을 전면에 내세우고, 현재와 과거 시점을 오가며 서사를 풀어갔다. 최종회가 16.6%를 기록할 정도로 성과를 거뒀지만, 마치 ‘시즌제’를 유행처럼 소비하는 것으로 보였다.

tvN 목요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2’ ⓒtvN
tvN 목요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2’ ⓒtvN

tvN<슬기로운 의사생활>은 시즌2로 순항 중이다.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배경은 크게 두 축으로 굴러간다. 율제병원을 무대로 한 의학 드라마와 20년 지기 ‘99즈’ 5인방의 일상을 다룬 휴먼 드라마를 버무렸다. 무엇보다 <슬기로운 의사생활>은 매회 완결되는 에피소드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데 이번 시즌2에서는 인물들의 관계와 서사가 두드러졌다.

연애, 이별뿐 아니라 신입생, 인턴 시절의 흑역사, 레지던트 시절 좌충우돌을 다뤘고, 시청률 1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야기 줄기는 5인방을 둘러싼 다양한 주변 인물까지 확장됐고, 관계의 변화가 볼거리다. <슬기로운 의사생활>은 앞서 언급한 시즌제 드라마에 비교해 극적인 갈등이 없지만, 회차별 완결성 있는 에피소드로 부담감이 없는 편에 속한다.

결과적으로 올해 방송사들이 시도한 시즌제 드라마는 좋은 성적표를 얻었으나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시즌제’를 표방했지만, 40~50부작 미니시리즈를 시즌제로 잘라놓은 것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펜트하우스>의 경우 시즌1은 월화 21부작, 시즌2는 금토 13부작, 시즌3은 주1회 14부작 편성으로 시즌마다 바뀌었다. 시즌3는 연장 회차까지 합치면 65분 분량의 미니시리즈 16회와 똑같다. 이러한 방식은 시즌제 드라마의 완결성보다 광고 수익에 기대는 현실적 여건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형식적으로나마 시즌제 드라마의 실험을 벌였다면 앞으로는 색다른 실험이 요구된다. 매회 다른 사건이나 문제를 해결하며 완결된 스토리를 선사하는 에피소딕 시리즈를 시즌제 드라마로 실험할 수도, 캐릭터의 성장에 이어 세계관의 확장까지 포함한 미니시리즈형 시즌제 드라마를 시도해볼 수도 있다.

콘텐츠를 유통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양해진 만큼 IP(지적재산)가 쌓일수록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에 시즌제 드라마의 사전 기획부터 제작, 집단창작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도 필요하다. 방송사에서 ‘시즌제 드라마’를 내걸어 편성의 유연성을 확보한 만큼 자극적인 설정 외에 다양한 협업을 통한 국내 시즌제 드라마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지 않을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