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기자 34% 징벌적 손배제에 '동의'...50%는 '반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협회보, 한국기자협회 창립 57주년 맞아 기자 1000명 설문조사
종합일간지·종편·보도채널 소속 기자들 반대 의견 높아...지역방송사 51.6%는 '찬성'

기자협회보가 실시한 기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중 일부. ⓒ기자협회보
기자협회보가 실시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설문조사 결과. 

[PD저널=장세인 기자] <기자협회보>가 한국기자협회 창립 57주년을 맞아 현직기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3명 중 1명은 '징벌적 손배제'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기자협회보>는 온라인조사 전문업체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지난달 27일부터 8월 2일까지 일주일간 기자 10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18일 공개된 조사 결과를 보면 설문에 참여한 기자의 50.1%는 징벌적 손배제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냈다.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는 26.9%,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23.2%로 집계됐다. 응답자 34.3%는 징벌적 손배제에 ‘동의한다’('매우 동의한다’ 9.3%, ‘어느 정도 동의한다’ 25.0%)고 답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하고 있는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에 여전히 찬성 의견이 높게 나오는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기자사회의 부정적 기류가 높은 편이다. 리얼미터가 YTN의 의뢰로 지난달 30일 진행한 여론조사를 보면 징벌적 손해배상제에 대해 56.5%는 찬성,  35.5%는 반대 의견을 냈다. 

하지만 허위조작보도에 최대 5배까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내용의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언론계 내부에서 '언론재갈법'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동의' 비율도 눈길을 모은다.    

기자들의 징벌적 손배제에 대한 의견은 매체별, 부서별로 격차가 컸다. 매체별로는 지역방송사(51.6%), 인터넷언론사(42.9%), 지상파3사(40.6%) 소속 응답자의 동의 비율이 높았고, 전국종합일간(58.8%), 종편·보도전문채널(57.1%), 통신사(55.7%)  소속 기자들은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많았다. 부서별로는 논설·해설(66.7%), 정치부(64.0%), 취재보도일반(56.4%) 등에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았고, 사진부(55.3%), 영상부(48.2%), 편집·교열부(45.6%)에선 동의 비율이 높았다.

징벌적 손해배상제에 반대하는 이유(복수응답)로 '언론의 비판 기능 약화'(83.2%)와 '전략적 봉쇄소송 오남용'(52.5%), '잦은 송사로 업무 지장 초래'(31.9%)를 꼽는 답변이 많았다. 동의하는 이유로는 58.6%가 ‘허위조작정보 생산 및 유포 근절’을, 57.1%는 ‘언론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54.5%는 ‘왜곡보도로 인한 국민 피해 최소화’를 꼽았다.

기자들은 포털 뉴스 혁신안에 대해서는 언론계에 긍정적 영향보다 부정적 영향이 클 것이라고 봤다.

민주당이 지난 6월 ‘포털의 AI에 따른 뉴스배열 폐지’, ‘이용자 구독제 전환’ 등을 골자로 낸 포털 뉴스 혁신안이 언론계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복수응답)에 ‘언론사 간 양극화 심화(57.1%), ’구독 쟁탈 위한 품질 낮은 기사 양산(41.2%)‘, ’포털 입점 경쟁 심화(31.9)‘ 등을 이유로 부정적 답변이 많았다. ’국민 선택권 강화(25.7)‘, ’뉴스 품질 개선(15.6%), ‘기사 배열 공정성 확보(14.9)’ 등 긍정적 답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로는 기자들의 29.4%가 <조선일보>라고 응답했으며, 가장 불신하는 언론사에도 36.7%가 <조선일보>를 꼽으며 두 질문 모두에서 <조선일보>가 1위를 차지했다. 2017년에는 1%대로 신뢰도 10위에 머물렀던 <연합뉴스>는 올해 10.5%로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여론조사의 응답률은 5.3%로,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는 ±2.94%포인트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