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코리아 본사 앞에 선 언론인들, “'가세연' 방치 사회적 책임져야”
상태바
구글코리아 본사 앞에 선 언론인들, “'가세연' 방치 사회적 책임져야”
언론노조·한국기자협회·민언련, 구글에 '가세연'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위반 조치 요구
"유튜브 한국사회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슈퍼챗' 수익모델 규제 검토해야”
  • 장세인 기자
  • 승인 2022.01.20 1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기자협회가 20일 구글 코리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PD저널
민주언론시민연합·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기자협회가 20일 구글 코리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PD저널

[PD저널=장세인 기자] 언론단체들이 20일 구글코리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차별적인 폭로로 인권침해 방송을 자행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이하 <가세연>)에 대한 규제를 구글 측에 촉구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기자협회 등 언론·시민단체들이 이날 기자회견에서 <가세연>이 유튜브 커뮤니티 가이드 '저속한 언어 정책', '괴롭힘 및 사이버 폭력에 대한 정책', 잘못된 정보 조항을 위반했다며 구글코리아에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가세연>은 지난해 11월 조동연 전 더불어민주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의 사생활에 의혹을 제기하며 자녀 신상을 공개해 지탄을 받았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관련 사생활 의혹을 제기하면서 무관한 MBC 기자의 실명과 사진을 공개한 데 이어 <국민일보> 기자에 대해서도 허위사실을 방송했다. 

언론단체들은 <가세연>의 폭주를 막아달라고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코리아에 지속적으로 적절한 조치를 요구했지만, 구글 측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서중 민언련 상임공동대표는 "다른 미디어 사업자들은 인권을 지키려 일정부분 공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구글 플랫폼은 유튜브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인권 침해에 대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어떤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구글의 대응을 비판했다.

윤창현 전국언론노동조합(이하 언론노조) 위원장도 “유력 대선후보들만 봐도 레거시 미디어의 토론회보다 유튜브 출연에 더 공들일 만큼 한국 사회에서 유튜브는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갖게 됐다”면서 “미국에서도 페이스북이 더 많은 수익을 위해 더 자극적이고 차별을 부추기는 콘텐츠를 방치한다는 내부 고발이 있었다. 가세연을 포함해 확증편향과 혐오·차별을 확산시키는 유튜브 채널 역시 다르지 않다”며 구글에 자율규제 동참을 요구했다. 

<가세연>이 무차별적인 폭로로 막대한 수익을 거둬들이고 있다는 점에서 유튜브 채널 수익구조에 대한 검토도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성은 언론노조 국민일보지부장은 “<가세연>이 자행하는 기자 개인에 대한 신상 노출과 모독은 비판이 아니다. <가세연>은 막대한 슈퍼챗 이익과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대안적 진실을 만들고 무차별적으로 무고한 희생양을 만든다. 진실한 입은 영원할 것이지만 거짓된 혀는 한순간”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최성혁 언론노조 MBC지부장은 “<가세연>은 비영리단체가 아닌 영리를 추구하는 주식회사다. 돈을 벌기 위해 개인의 사생활을 범하고 명예를 해치며 후원금 장사를 할 뿐인데 영리활동을 목적으로 모금하는 것을 후원이라고 할 수 없다”며 “현행법상 천만원 이상의 후원금을 모으는 경우 모금 목적과 계획 등을 사전에 지자체 등에 신고하도록 되어 있다. ‘별풍선’부터 시작된 수익구조 모델에 대해 정부와 행안부에서도 검토하고 규제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 영상화면.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 라이브 방송 화면. 

단체들은 기자회견에 앞서 구글코리아 앞으로 <가세연>의 유튜브 커뮤니티 가이드 라인 위반에 대한 조치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가세연> 출연자들은 연령 제한 없이 공개된 영상에서 “X발” “X을 친다” 등 비속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했고, 이준석 대표 성상납 의혹과 무관한 기자 실명과 사진을 공개해 개인의 인격권을 침해한 사이버 폭력을 가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수수료 형태로 악성 유튜버채널과 이익을 공유하고 있는 유튜브와 구글이 스스로 관리 책임을 다하라”고 요구하면서 “유튜브와 구글은 무응답,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유튜브와 구글의 이런 태도엔 광고수익 중심 사업구조, 불분명한 알고리즘과 추천구조, 소극적 이용자 보호 정책, 어떠한 윤리적 규제 체계에도 들어있지 않은 해외 미디어플랫폼 기업이란 구조적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용자-플랫폼 상생의 생태계 조성과 이용자 보호 △알고리즘 설명 책임 △ 대안적 자율규제 원칙 확립 △이용자 참여와 의견수렴을 위한 원칙 마련 등을 요구했다. 

한편 이날 구글 공공정책부문 정보 진실성 담당 시니어매니저는 한국 기자들과 온라인 간담회를 갖고 허위정보 감시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클레멘트 울프 매니저는 "한국 대선 기간에는 허위정보 감시 담당 팀의 최우선 순위에 대선을 놓고 한국어를 구사하는 직원이 24시간 감시토록 할 것"이라며 "연중 내내 최대한, 24시간 허위정보를 근절하려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