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 중심의 사고
상태바
육지 중심의 사고
[라디오 큐시트]
  • 박재철 CBS PD
  • 승인 2022.05.09 1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7년 3월 6일 경남 국방부에서 거제시로 소유권이 돌아온 지심도의 전경. (거제시청 제공)©뉴시스
2017년 3월 6일 경남 국방부에서 거제시로 소유권이 돌아온 지심도의 전경. (거제시청 제공)©뉴시스

[PD저널=박재철 CBS PD] 큐시트 작성을 하다 보면 가끔 출연자 호칭 때문에 멈칫할 때가 있다. 당 대표 출신인데 전임이라 현직인 의원이 정확할까? 아님 예우상 前 대표로 써줘야 하나? 몇 년간 작품 활동이 거의 없고 방송 출연이 잦은 게스트라 작가 대신 방송인으로 소개하면 뭔가 미진하려나? 어떤 이는 너무 많은 직함을 가져 무엇을 써야 하나 갈등이 일기도 한다. 
 
며칠 전에는 낯선 성격의 단체장 한 분을 프로그램에 초대했다. 강제윤 섬 연구소 소장이다. 역사 연구소나 음식 연구소가 아니라 섬 연구소다. 시인이기도 해 강제윤 시인으로 할까 싶었지만 마스크 착용 완화 조치를 즈음해서 섬 이야기 들어보려고 모신 분이라 그냥 섬 연구소 소장으로 했다.

섭외 당시에는 정확히 몰랐다. 섬 연구소, 섬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곳인가? 섬 답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촬영하거나 그곳의 특산물이나 음식을 소개하는 민간 문화관광 단체쯤으로 짐작했다. 발품을 팔아 얻은, 비경을 숨긴 우리나라 섬에 대한 정보를 엿들을 요량이 컸다. 
 
방송을 진행하면서 알게 된 섬 연구소의 정체성은 섬 주민들의 기본권을 위해 싸우는 인권단체에 가까웠다. 강 소장이 먼저 꺼낸 이야기는 ‘지심도 강제이주’였다.

지심도는 거제 장승포항에서 배를 타고 20분 정도 가면 가닿을 수 있는 작은 섬. 도보로 1시간이면 섬 한 바퀴를 돌 수 있다. 현재 15가구 35명의 주민이 산다. 섬 전체가 수백 년 된 원시림인 이곳은 수종의 80%가 동백나무라 동백꽃이 아름다운 ‘동백섬’으로도 불린다. 

이런 아름다움 이면에는 늘 그렇듯 슬픈 역사가 있다. 1936년 일제 때 군사 요새화로 쫓겨난 섬 주민들이 해방 후 소유권을 다시 얻었지만 정부가 들어서면서 섬 소유권을 일방적으로 국방부로 이전했다. 섬 주민들은 어쩔 수 없이 40년 동안 정부에 임대료를 내고 집과 밭을 쓰면서 그곳에 살았다. 

이후 국방부에서 다시 거제시로 소유권이 이전됐지만, 시는 관광개발을 이유로 단수와 단전, 여객선을 끊으며 주민 강제이주를 추진했다. 이에 맞서 원주민과 함께 섬 연구소가 국민권익위와 환경부를 쫓아다니며 민원을 넣고 소송전을 벌여 결국 주민들이 영구 거주권을 얻게 되었다. 

이어진 강 소장의 섬 이야기는 ‘여객선 공영제’의 필요성으로 옮아갔다. 우리나라 선사들의 63%가 자본금 10억 미만, 배 2척을 보유한 영세업체들이다. 배가 가라앉기 직전까지 운행할 수밖에 없는 수익 구조라 안전이 늘 위협받는다.

실제로 여객선 사고는 세월호 이후에도 5년 전보다 75.6% 늘었다며 선뜻 믿기 힘든 데이터를 거론했다. 선사들은 연료비 때문에 1년에 3분의 1 이상 배를 안 띄운다. 급할 때 발이 묶이는 건 섬 주민들 몫이다. 육지의 버스 공영제처럼 기본적인 이동권은 여객선 공영제로 보장해줘야 한다고 강 소장은 주장한다.

관을 대상으로 하는 대립과 설득 못지않게 섬 주민과도 그런 과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전남 완도군 청산면에 위치한 돌담길로 유명한 곳이 ‘여서도’다. 주민들이 직접 쌓아 올린 300년 된 돌담길이 마을 곳곳에 있다. 성곽처럼 3km 길게 늘어진 아름다운 돌담길이지만, 주민들 입장에서는 돌아가는 불편이 있어 허물고 도로를 놓으려고 했단다. 연구소에서는 만 2년을 설득해 보존에 성공했고 지금 여서도를 찾는 많은 발걸음은 돌담길이 재촉하고 있다고 자랑한다. 

지난 4월 29일 CBS '한판승부'에 출연한 강제윤 섬 연구소 소장.
지난 4월 29일 CBS '한판승부'에 출연한 강제윤 섬 연구소 소장.

인터뷰가 마지막에 다다를 때 즈음, 민감한 이슈 하나를 물었다. 환경 단체와 마찰을 빚고 있는 흑산도, 울릉도 공항 건설 건이었다. 강 소장은 오랫동안 환경운동을 해온 탓에 이 문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궁금했다.

“제가 알고 지내는 환경 운동가들이 많이 있습니다.지리산 인근에 살아요. 지리산은 국립공원이잖아요. 거기 수십 km의 도로가 뚫려있죠. 그걸 그들도 매일 이용해요. 그런데 섬에 1.2km 활주로 놓는 것은 환경 파괴라고 반대를 해요. 섬은 그냥 아무것도 안 하고 있어야 할 대상, 이렇게 생각합니다. 거기도 사람들이 살아요. 너무 육지 중심의 사고죠.”

육지에 사는 사람은 지하철, 버스, 승용차, 기차, 배, 비행기 등 다양한 이용 수단이 가능한데 섬사람들은 배만 타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우리들 사이에 있다고 꼬집었다. 강 소장은 인터뷰 내내 ‘육지 중심의 사고’라는 말을 자주 썼는데, 그 또 다른 일례로 재작년 연이어 온 2개의 태풍 이야기를 꺼냈다. 

울릉도를 관통해 60톤짜리 테트라포드가 터널에 부딪히고 정박한 유람선이 침몰해 400억 원의 피해를 봤지만, 언론에서는 “태풍이 강릉 동남쪽 150km 지점으로 무사히 한반도를 빠져나가 다행”이라 보도했다. 강릉 동남쪽 150km는 바로 울릉도인데도 말이다. 

강제윤 섬 연구소 소장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섬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것은 어쩌면 ‘섬의 관점으로 세상을 다시 보게 된다’는 의미일 수도 있겠다 싶었다. 관점을 바꾸면 안 보이던 것들이 시야에 들어오게 마련이다.

그가 풀어 놓는 사연들 속으로 조금씩 빠져들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스쳤다. 육지의 삶이든 섬의 삶이든, 우리네 삶이란 침입해 들어오는 부당과 편견에 당당히 맞서 싸우는 일이 아닐까. 고달프고 힘겨워도 그렇게 한줄 한줄 쌓아온 각자의 삶의 서사가 언젠가 개성 있는 이야기의 지층을 만들어 내는 게 아닐까. 섬에서 맞는 세찬 칼바람만큼이나, 인터뷰는 그 사실을 강렬하게 일깨워주는 듯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