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블루스’가 추앙한 제주 삼춘들
상태바
‘우리들의 블루스’가 추앙한 제주 삼춘들
tvN 토일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노동·생명력에 대한 헌사
  •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 승인 2022.05.27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vN '우리들의 블루스' 포스터.
tvN '우리들의 블루스' 포스터.

[PD저널=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옴니버스 구성으로 여러 인물들이 갈등하고 화해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는 tvN 토일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는 유독 노동하는 모습들이 많이 등장한다. 아침 일찍부터 바다로 나가는 해녀들이 계속 물밑으로 뛰어들고, 새벽부터 열리는 경매장에는 생선을 사기 위해 모인 사람들로 붐빈다. 어시장에는 억척스럽게 생선 대가리를 치는 이와 배고픈 이들의 시장을 달래주는 순댓국을 끓이는 이, 생선에 뿌려줄 얼음을 나르는 이, 한편에서 야채 등을 파는 이와 커피를 파는 이들이 뒤엉켜 소란하다.

어시장 바깥에는 좌판을 늘어놓고 작업복 같은 옷들을 파는 트럭만물상이 행인들을 유혹하는 소리가 들려오고, 겉보기엔 없어보여도 알짜배기 시장 상인들의 돈을 유치하려 일일이 인사를 다니는 은행장의 모습도 보인다. <우리들의 블루스>는 그래서 제주에서 온몸으로 부딪쳐 살아가는 이들의 땀 냄새가 물씬 풍겨난다. 

<우리들의 블루스>는 이들을 주인공으로 세운다. 양복을 차려 입고 시장 상인들을 찾아다니며 인사하는 은행 지점장 한수(차승원)는 속 빈 강정이다. 제주에서 하루하루 노동하며 살아가는 친구들이 보기엔 서울 가서 성공해 금의환향한 인물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골프 유학을 보낸 딸과 아내 때문에 등골이 휘고 돈을 빌리러 다니는 처지다. 그가 생선 대가리 쳐서 건물 올린 학창시절 자신을 짝사랑한 은희(이정은)의 마음을 등쳐 돈을 빌려보려 한다. 도시 삶의 절박함이 우정, 첫사랑까지 이용해먹게 만든 한수는 그러나 이 사실을 알고 크게 실망하면서도 선뜻 은희가 부친 돈을 다시 되돌려준다. 그리고 무엇이 진짜 소중한 것인가를 깨닫는다. 가난했지만 억척스럽게 제 길을 열어온 은희를 보며 자신도 새 출발에 용기를 얻는다. 

어려서 동석(이병헌)이 좋아했지만 뭍으로 돌아가 결혼해 아이까지 가진 선아(신민아)는 오랜 우울증 때문에 이혼도 당하고 아이까지 빼앗긴다. 절망감에 제주 바다로 뛰어들지만 해녀들이 그를 구해내고, 자꾸만 우울의 어두운 심연 속으로 빠져드는 그에게 동석은 작은 빛을 열어준다. 그런데 그 우울증으로부터 선아를 구원해낸 힘은 놀랍게도 동석이 트럭을 몰고 제주 구석구석 물건을 팔러 다닐 때 녹음해 틀어놓곤 하는 소리다. “프라이판 프라이판 뺀찌 망치 도라이바 윗도리 아랫도리-” 노동의 소리가 우울의 늪으로부터 선아를 삶의 일상으로 끌어올려준 것이다. 

'우리들의 블루스' 현장포토.
'우리들의 블루스' 현장포토.

학창시절부터 둘도 없는 절친이었지만 공주 대접을 받는 미란(엄정화)과 무수리 취급을 받아도 내색하지 않고 의리를 지켜온 은희의 에피소드에도 노동에 대한 헌사가 깃들어 있다. 우연히 은희의 일기장에 자신을 나쁘고 이기적이며 이중인격자라고 쓴 걸 보게 된 미란이 절교선언까지 하게 됐던 갈등은, 은희가 미란이 일하는 마사지샵을 찾아와 마사지를 받으면서 풀린다. 돌처럼 굳어버린 은희의 등짝에서 미란은 그가 살아낸 삶의 무게를 느끼고, 역시 야무진 미란의 손길에서 은희는 그 역시 공주처럼 살아오지만은 않았다는 걸 느낀다. 그 어떤 말보다 서로의 노동의 흔적이 묻어난 등짝과 손길이 그 자체로 서로를 설득하고 이해시켰던 것이다. 

고등학생 신분에 아이를 덜컥 갖게 되어 부모가 된 영주(노윤서)와 현(배현성) 때문에 갈등이 폭발한 그들의 부모 호식(최영준)과 인권(박지환)의 이야기에서도 자식 하나보며 자신을 희생해온 이들의 노동이 겹쳐지며 화해의 물꼬를 트고, 도시에서 온 깍쟁이에 헤픈 여자라는 소문과 물질에 과한 욕심을 부리는 것 때문에 해녀들로부터 배척당하던 영옥(한지민)은 그 욕심이 다운증후군을 가진 언니를 부양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뒤 해녀들에게 받아들여진다.  

이처럼 <우리들의 블루스>는 노동하는 이들이 가진 삶의 경륜이나 생명력 같은 것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힘으로 제시된다. 아마도 제주를 굳이 배경으로 삼은 뜻 역시 그 척박한 섬의 만만찮은 삶을 살아낸 이들이 치열한 노동을 통해 갖게 된 강인한 생명력을 추앙하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싶다. 분량도 별로 없지만 묵묵히 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옥동(김혜자)이나 춘희(고두심) 같은 삼춘들이 마치 모든 인물들을 넉넉히 품고 있는 제주할망 같은 느낌을 주는 건 그래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