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예매니지먼트·위성DMB 이어 방송콘텐츠까지
방통융합 계기 통신자본 ‘방송 장악’ 현실화 우려

|contsmark0|지난해 9조74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재계 16위(매출액 기준)를 달리는 sk텔레콤의 입가에는 요즘 웃음이 떠나질 않는다. 지난 19일 방송위원회가 지상파 재송신을 허용, 자회사인 위성dmb사업자 tu미디어의 손을 들어준 게 직접적인 원인이기는 하지만 이번 결정이 불러올 파급효과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방송계가 이 웃음의 배경에 더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contsmark1|
|contsmark2|
방송위의 지상파 재송신 결정은 방송계에서 ‘빅뱅’으로 통한다. ‘사업자 자율계약’이란 재송신 허용 발표 직후 언론노조가 자리이동도 없이 그 자리서 ‘방송위 해체’를 선언한 다급함이 이를 잘 보여준다. 위성dmb란 플랫폼 허가에 이어 실탄에 해당하는 콘텐츠까지 내주는 꼴이 됐으니 거대자본의 방송장악은 시간문제라는 것이다. 성유보 위원이 “위성dmb는 권역별 제한이 불가능하다”고 발언하면서 지역방송은 이미 녹다운 상태다.
|contsmark3|
|contsmark4|
그렇다면 정말 현업단체들이 체감만큼이나 sk텔레콤의 도전이 위협적인가. 그동안 sk 텔레콤의 공격적 마케팅은 억측이 아님을 잘 설명한다. 이미 sk 텔레콤은 올해 초부터 영산산업의 핵심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연예 매니지먼트사에 공격적 투자를 보여왔다. 싸이더스hq의 모기업인 ihq에 144억원을 투자, 21.66%의 지분을 보유하면서 강력한 cp(contents provider)를 영향권 안에 두게 됐다. 최근 정훈탁 사장과 500만주 콜옵션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이를 행사할 경우 경영권 인수도 가능할 전망이다.
|contsmark5|
|contsmark6|
이처럼 영상산업에 대한 욕심이 현실화되기까지는 신규사업 발굴로 골몰하던 2001년 고민이 작동했다. 당시 모바일 컨텐츠 분야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해 온 sk텔레콤은 향후 몇 년 안에 가입자 포화상태를 전망하며, 수익채널 확대를 위한 다양한 신규사업을 모색하던 중 뉴미디어 수익모델을 발견하게 된다. 현 이통시장의 독점적 지위를 뉴미디어에서도 선점하려는 장기적 마스터플랜이 서서히 작동한 것이다.
|contsmark7|
|contsmark8|
결국 위성dmb 사업도 자회사 법인을 통해 따냈고 이동형 미디어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에도 상당규모의 자본투입을 앞두고 있다. tu미디어는 향후 5년간 신규 콘텐츠 개발에 2562억원 등 총 7052억원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contsmark9|
|contsmark10|
iptv와 hsdpa(고속다운링크패킷접속), 와이브로 등 방송통신이 융합된 고정형, 이동형 뉴미디어 서비스의 상용화를 앞두고 콘텐츠 생산과 유통에 이르는 가치사슬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시장 선도자가 되려는 의도를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contsmark11|
|contsmark12|
이런 일련의 과정은 sk텔레콤이 이동형 뉴미디어 진출 교두보로서 2002년 1월 출범한 pmsb(personal mobile satellite bradcating)추진단의 중장기 전략보고서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pmsb 추진단(위성dmb 법인인 tu미디어 설립으로 이 조직은 해산됐으나 기능은 tu미디어가 흡수)이 2003년 8월 내놓은 ‘pmsb 사업 추진전략’에 따르면, 1단계(2005년까지)로 수도권 중심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달성하고, 2단계(2006~2007년)에는 차별적 콘텐츠 제공을 통한 상품력 강화와 광역시의 in-door 중심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contsmark13|
|contsmark14|
마지막 단계인 2008년 이후는 방송플랫폼 및 콘텐츠 역량을 기반으로 퍼스널 방송사업의 선도자로서 위상을 확립, 지역으로도 영향력을 넓히고 콘텐츠 판매, 광고, 쇼핑 등의 수익모델 다변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보고서는 “이를 통해 skt는 방송산업 영역으로 성공적 진입이 가능하며 이의 정착, 확산을 통해 방송 to-be모델(변화된 새 시대에 적응할 법인 모델)완성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contsmark15|
|contsmark16|
좀더 구체적으로는 skt와 위성dmb의 그룹 시너지를 통해 방송산업에 진입하면 모바일 방송 플랫폼 역량 강화로 방송 콘텐츠 및 타방송 플랫폼으로의 확장 기반을 마련하고, 최종적으로는 △차별적인 방송 콘텐츠 파워 확보 △방송 콘텐츠, 통신 플랫폼으로 재활용 △타 플랫폼 사업자로의 콘텐츠 공급 확대를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contsmark17|
kbs 2개 채널과 mbc, sbs 등 지상파 4개 채널, pp, 자체 채널을 통해 비디오 채널 콘텐츠를 수급한다는 로드맵도 진행형이다.
|contsmark18|
|contsmark19|
언론노조 등 현업단체들이 우려하는 거대 통신재벌의 ‘방송 장악’이란 악몽이 현실화되는 과정일 수도 있는 것이다. 지홍구 기자
|contsmark20|
|contsmark21|
|contsmark22|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