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테나 바깥테나
상태바
안테나 바깥테나
우리 언론은 반(反)통일 세력?
  • 승인 1999.07.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ontsmark0|지금 우리 방송은 통일로 가는 길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을까?“전운이 감도는 서해연안에는 귀신잡는 해병이 물샐 틈 없는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적과 대치하고 있다는 사실을 너무 까맣게 잊고 살아온 것이 아닌지 스스로에게 묻고 싶습니다.” 얼마전 벌어진 서해교전사태에 대한 각 방송사의 보도를 접한 이라면 누구나 우리 방송이 통일의 가교는커녕 오히려 반통일세력이 아닌가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한쪽에서는 이산가족찾기 생방송을 통해 남과 북의 화해와 협력을 부르짖으면서도 다른 한쪽에서는 임박한 ‘전쟁’을 경고하며 냉전논리를 관철시키는 언론의 이중성. 그 속에서 우리를 무엇보다 당혹스럽게 만드는 것은 서슴지않고 북한을 ‘북괴’ 혹은 ‘주적’으로 묘사하는 보도태도이다.분단 이래 남한은 북한에 대한 정식호칭을 불허해 왔으며 그 호칭은 ‘괴뢰집단’, ‘…일당’, ‘붉은 무리’, ‘…괴수’ 등 원색적이고 적대적인 표현으로 일관해 왔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북한의 정식호칭의 사용은 국가보안법에 저촉되는 이적행위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태도는 상대방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적대적 호칭사용은 정부가 72년 7월 4일 남북공동성명 발표 직후 그동안 사용해온 ‘북괴’라는 호칭을 ‘북한’으로 정정할 것 등을 내용으로 하는 공보지침을 시달하면서 점차 개선되는 듯 했다. 그러나 이후 적십자 회담,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교류, 남북기본합의서 작성 등 일련의 ‘간헐적’ 화해무드 조성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남북관계는 적대적, 대립적 상태를 유지해 왔던 것 또한 사실이다. 이 가운데서 우리 언론은 정부의 입장변화에 추종해 ‘북한’과 ‘북괴’ 사이를 원칙없이 넘나들어 왔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장희 교수(한국외대 법학과)에 따르면 독일의 경우 72년 동서독간 기본조약 체결 이후 상대방에 대한 정식국호 사용의 원칙을 세웠으며 이후 동독의 체코 침공 등 각종 정치적 악재에도 불구하고 서독언론은 이 원칙을 어기지 않았다. 독일통일의 출발점은 빌리브란트 수상에 의한 ‘독일에는 2개의 국가가 있다’는 선언이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즉 서로의 체제에 대한 인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상호존중원칙에 충실한 호칭사용은 통일로 가는 큰 걸음이라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이 언론이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덧붙여 미디어의 활동은 미디어가 속한 정치·사회적 한계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북한에 대한 남한언론의 적대적 보도 속에서 우리는 이러한 보도를 부추기고 옹호하는 남한내 정치·사회적 환경을 접하게 된다. “남북관계문제는 오히려 남-북 보다 남-남이 문제”라는 모 pd의 지적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남은지>
|contsmark1||contsmark2|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