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의사, 묵살하는 정부태도 답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C 'PD수첩' 김보슬 PD, 공공미디어연구소서 특강

“처음 의도는 소박했지만 지금은 엄청난 파장에 대해 책임감 느낀다.”

'광우병 논란‘의 촉매제가 된 MBC <PD수첩>의 김보슬 PD가 시청자들을 만나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선 소감을 밝혔다. 공공미디어연구소가 미디어를 바로 읽기 위해 제작자와 수용자가 만나는 프로그램 ‘미디어 마을’의 첫 순서로 김 PD를 초대한 날은 공교롭게도 미국 쇠고기 수입에 대한 장관 고시가 발표된 29일이었다.

▲  MBC 김보슬 PD ⓒ공공미디어연구소

25분으로 요약한 <PD수첩> ‘미국산 쇠고기 수입’편을 김 PD와 함께 시청한 참가자들은 “적절한 시기에 보도돼 파급력이 더 컸다”며 정부 협상시기에 맞춰 기획한 것이냐고 물었다. 이에 김 PD는 “의도적으로 계획한 것은 아니다. 올 1월 말에 ‘다우너 카우(주저앉는 소)’ 동영상을 보고 취재해야겠다고 생각했고, 4월 총선에 맞춰 준비했던 아이템이 취소되면서 급작스럽게 광우병 관련 취재를 하게 됐다. 협상결과를 미국에서 확인했는데 그 정도 조건으로 개방할 줄은 몰랐다. 방송시기가 좋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얼마 전 농림수산식품부가 <PD수첩>에 대해 반론 보도문과 정정 보도를 요청한 것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농식품부는 방송 이후 제대로 서지 못하는 소가 모두 광우병 때문은 아니고, 미국 농무부가 아레사 빈슨의 죽음은 인간광우병 때문이 아니라고 중간 발표한 점 등을 들어 반박 보도를 요청했다. 결국 언론중재위는 농수산부의 손을 들어줬고, <PD수첩> 측은 논의 끝에 중재안을 거부하기로 결정, 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 PD는 이와 관련해 “그것은 단지 제작 방식의 문제”라며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광우병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를 방송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영국에서 진행 중인 아레사 빈슨의 사인규명이 7월말에 완료돼 최종적으로 광우병이 원인이 아니라고 밝혀지면 그것 또한 보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 PD는 "농수산부가 정정 보도를 요청한 것은 방송에서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 여부를 현지에서 직접 확인했는지 의심스럽다’는 멘트를 문제 삼아 ‘현지에 다녀왔다’며 정정해 달라는 것이었는데 사실 좀 유치했다”며 솔직한 의견을 덧붙였다.

▲ 공공미디어연구소가 29일 MBC 김보슬 PD를 초청해 제작자와 수용자 간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 ⓒ공공미디어연구소

그동안 일부 보수언론들이 제기해온 PD저널리즘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한 참가자의 “PD저널리즘은 ‘결론에 짜맞춘다’, ‘감정적이다‘는 비판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김 PD는 PD저널리즘 역시 사실만을 보도하는 기본 원칙은 같다고 강조했다.

“취재하다 팩트(사실)와 다르면 취재를 중단하는 것은 기자저널리즘과 동일하다. 또한 논리적 흐름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흡입력 있는 사례를 전반부에 배치하는 것은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도록 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시청자가 방송을 보면서 의문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한다. 과정을 통해 결론을 납득시키는 것이 PD저널리즘의 역할이다. 감정에 호소하는 것은 단지 제작기법상 가능한 부분이다.”

정부에 비판적인 내용을 보도해 정권의 눈 밖에 나지 않았느냐는 한 참가자의 질문은 자연스럽게 MBC 민영화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졌다. 김 PD는 “<PD수첩>이 경영진의 간섭 없이 제작될 수 있는 것은 공영방송이기 때문이다. 민영화가 된다면 광고주와 경영진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일부에서 제기되는 MBC 민영화를 우려했다. 또 “신문은 선택해서 읽지만 (공중파) 방송은 TV를 켜면 누구나 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립적이어야 하는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에 대한 ‘장관 고시’가 발표된 만큼 김보슬 PD와 참가자들은 현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추진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김 PD는 “이명박 정부는 ‘소통하는 정부’를 표방했지만 국민의 의사를 묵살하고 고집부리는 게 답답하다. 한 달 이상 촛불을 들고 나오는 국민들을 외면하지 말라”고 말했다. 또 쇠고기 수입에 대해 “검역비용을 추가로 들이는 대신 재협상을 통해 30개월 미만 소만 들여오는 게 간단한 해결책”이라는 의견도 밝혔다.

공공미디어연구소가 마련한 ‘미디어 마을’은 다음달 ‘독립영화 상영 및 제작자와의 만남’을 이어간다. 이 자리에는 ‘문화연구가 전규찬 교수 카메라를 들다’ 강연과 함께 한국독립영화협회 배급팀과 연계한 독립영화 상영 및 제작자와의 만남도 개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