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송사 의지·정치권 각성 촉구 목소리

|contsmark0|"기회와 시간을 주는 원칙을 고수하되 이 원칙을 악용하는 토론자가 있을 경우 방송사는 애초 계획대로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한다".
|contsmark1|
|contsmark2|
|contsmark3|mbc <정운영의 100분토론> 최용익 기자의 말이다. 지난 달 23일 4·13 총선의 각종 쟁점을 놓고 토론을 벌이려다 민주당의 불참으로 토론프로그램 초유의 방송불방 사태가 일어난 뒤 토론프로 pd들 사이에서는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contsmark4|
|contsmark5|
|contsmark6|<정운영의…>만 해도 출연자들로 인한 파행적인 방송진행이 한 두 번이 아니기 때문이다. 작년 10월 첫 방영 때 중앙일보 사태를 다룬 "언론탄압인가, 개인비리인가"에서 민주당 출연자의 요구로 중앙일보측 토론자가 참석 못한 가운데 토론이 진행되고, 올해 1월에는 각 당 정책위의장을 출연시킬 예정이었는데 방송을 하루 앞두고 한 당이 출연자를 바꾸는 바람에 상대편 당도 출연자 "급수"를 맞춘다며 연달아 바꿔 예고방송을 세 번이나 다르게 내보낸 일까지 일어났다.
|contsmark7|
|contsmark8|
|contsmark9|kbs <길종섭의 쟁점토론>의 손재경 pd는 "정치인 섭외가 가장 어렵고 섭외가 안돼 주제를 바꾸는 경우도 있다"면서 출연예정자가 갑자기 출연을 거부하는 사례는 드문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또 "상대적으로 힘있는 집단의 토론 기피 현상이 심하다"고 지적했다. 공개적인 자리에 나와 실수라도 하면 득이 될 게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kbs <심야토론> 신상익 pd는 "중진의원의 경우 절대 초선의원의 토론패널로 나서려 하지 않는다"며 토론 기피 현상이 심함을 내비쳤다.
|contsmark10|
|contsmark11|
|contsmark12|<정운영의…>도 2월초 프로야구선수협의회와 구단과의 토론을 준비했으나 끝내 구단이 토론에 응하지 않아 kbo 관계자가 출연하기도 했다.
|contsmark13|
|contsmark14|
|contsmark15|토론프로그램이 과거 구색 맞추기나 홍보의 장에서 치열한 입장 토론으로 자리잡아 시청자들의 눈길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제작진들은 방송사의 자세가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이다. mbc는 올해 1월 "출연자의 일방적인 불참이 주제나 다른 토론자 구성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는 운영준칙까지 만들어 놓고 있으나 정작 권력 눈치보기는 여전하다는 비난을 모면키 어렵다.
|contsmark16|
|contsmark17|
|contsmark18|최용익 기자는 "방송이 국민의 알 권리를 저해하는 불편부당성을 감시하는 것이라면 민주당이 불참했더라도 방송은 예정대로 진행됐어야 한다"며 "권력과 언론이 여전히 밀월관계"라며 방송사의 변화를 촉구했다.
|contsmark19|
|contsmark20|
|contsmark21|손재경 pd도 "제작진이 각 당에 섭외시 공식적인 루트를 일원화하는 등 정치인에 한해 규칙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토론문화가 바뀌는 것과 함께 토론문화를 가로막는 집단에 대한 공동대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contsmark22||contsmark23|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