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송따져보기] 홍성일 문화연대 미디어문화센터 운영위원

최근 가장 큰 관심을 갖고 공부한 것은 선전(propaganda)이었다. 소통의 외양을 한 일방통행의 한국 사회를 고민해서였다.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현대까지의 선전의 역사를, 뉴미디어가 선전에 미치는 영향력을, 선전이 확산되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전은 결코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었다. 선전은 이미 우리가 알거나 체감한 것을 재확인하고 증폭한다. 둘째, 선전은 직접적이다. 선전을 매개하는 항들이 많을수록 선전의 효과는 급감한다. 셋째, 선전의 효과는 단기간에 평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평가해야 한다. 비록 단기적으로는 부정될지언정 선전은 무의식에 남아 오랜 시간 영향을 미친다.

전 역사를 통해 가장 탁월한 선전전을 펼쳤다고 평가받는 나치의 예를 살펴보자. 당시 뉴미디어였던 라디오는 나치가 효과적으로 선전을 확산·유포할 수 있었던 핵심 매체였다. 나치 정권은 한 채널만 수신 가능한 저렴한 ‘국민 라디오(Volksempf?nger)’를 보급하였다. 식당, 공장, 공공장소에서 의무적으로 방송케 함으로써 일방적이고 직접적인 선전의 메시지를 전파하였다. 특히나 라디오는 히틀러의 격정적인 연설에 적합한 매체였다. 신문의 글은 라디오의 말이 얻는 정서적 반응과 거리가 멀었다.

▲ 이명박 대통령이 대통령 주례연설을 녹음하고 있다. ⓒ청와대
당시 1차 세계대전 패전의 후유증 속에서 극심한 경제난과 패배주의에 휩싸였던 독일국민들은 나치가 복원한, 그러나 전체주의로 왜곡한 독일 민족의 빛나는 자긍심과 자신감에 쉽사리 현혹되었다. 그 그림자인 유태인을 공통의 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은 단합과 통합을 위해 핵심적이었다. 근거 없는 인종적 편견이었음에도 “거짓말은 처음엔 부정되고, 그 다음에는 의심받지만, 되풀이 되어 결국 모든 사람이 믿게 되었다.” 위로부터 아래로의 일방소통은 무매개로 진행되었기에 이를 중재할 장치는 미약했고 그 결과 선전의 영향력은 강력했다. 심지어 오늘까지도 나치즘은 죽지 않고 살아있다.

지난 월요일 출근길의 버스에서 접한 이명박 대통령의 정례 라디오 연설에서 나치의 라디오 선전을 떠올린 것은 단지 나의 최근 관심사가 선전이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무방비의 일상 속에 불쑥 위정자가 끼어들어 일방적이고 직접적으로 자신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것은 소통보다는 선전에 가깝다. 이것이 일회적 사건이 아니라 지난 10월부터 반복적으로 되풀이되어왔다는 데에서 문제는 심각하다. 향후 어떤 위정자든 같은 방식으로 제약 없이 선전전을 펼칠 관성과 전례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매개자가 되어야 할 언론은 제 역할을 상실하였다. 언론은 차라리 위정자를 보좌해 방송이 잘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김비서’가 되어버렸다.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 또한 문제였다. 연설을 통해 유난히 강조한 위기는 이를 빌미로 비판을 무력화하고 우리 사회를 전체화하려는 시도로 여겨져 불편했다. “전대미문의 세계적인 경제위기”,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속에서 정권에 대한 비판은 “무조건 반대하는 정쟁”으로 치부되고 “국민통합”만이 전면에 부각하였다. 흡사 나치가 라디오를 통해 과장된 승전보를 울려 국민을 호도하듯, 연설문은 우리의 위기 극복을 과장되게 홍보하는데 많은 양을 할애하기도 하였다. 이럴 진데 어찌 2009년의 대한민국에서 과거 나치가 펼쳤던 전체주의의 선전전을 떠올리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 홍성일 문화연대 미디어문화센터 운영위원
밀폐된 버스 안에서 무덤덤하게 대통령의 연설을 듣고 있는 우리의 모습에서 섬뜩함이 느껴졌다. 정권의 선전전에 무력할뿐더러 언론에 대한 기대조차 일찌감치 져 버린 우리가 그 곳에 있었다. 그저 시간이 지나 연설이 끝나고 흥겨운 대중음악이 라디오를 통해 흘러나와 기분을 전환해주길 기다릴 수밖에 없었던 월요일 출근시간이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