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PD “무한도전은 아직도 할 게 많네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C ‘무한도전’ 200회 특집 김태호 PD 인터뷰]

▲ MBC <무한도전> 김태호 PD(맨 왼쪽)와 멤버들. ⓒ김태호 PD
MBC 〈무한도전〉은 ‘토요일 저녁’이라는 일주일 단위의 패턴에서 소비되지 않았다. 벼농사 특집과 달력특집처럼 계절을 가로지르는 장기성 프로젝트에서부터 봅슬레이, 올림픽대로 듀엣가요제, 복싱, 의좋은 형제, F1, 알래스카 특집까지. 촘촘하게 짜놓은 기획력과 캐릭터가 매회 증폭되며 새로운 아이콘을 스스로 창조해왔다.

뉴욕에서 보여준 ‘갱스 오브 뉴욕’(영화) ‘악마는 구리다를 입는다’(영화) ‘식객’(만화) 편은 〈무한도전〉이 대중문화를 해석하고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어디까지 뻗칠 수 있는 지를 보여준다. 한 방송사의 PD가 연예인에 버금가는 주목을 받게 된 것은 그의 패션과 스타일 때문만이 아닌, 바로 〈무한도전〉이 ‘리얼 버라이어티’라는 신 예능(New Entertainment)의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기 때문이다.

〈무한도전〉은 이제 200회를 2회 앞둔 198회에 도달했다. 하지만 〈무한도전〉은 200회라는 중간 역을 앞에 두고, 레일 위에 멈춰 섰다. MBC 노조가 기약 없는 총파업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외풍’도 자꾸 거세진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위원장 이진강)는 〈무한도전〉의 캐릭터 ‘찮은이 형’ ‘뚱땡이’ ‘바보 형’ ‘돌아이’ ‘찌롱이’ ‘항돈이’ 등을 “저속하다”는 이유로 방송언어 관련 위반사항으로 지적했다.

코미디를 자꾸만 오해하는 현실의 제도 때문일까. 〈무한도전〉은 폐지설부터 김태호 PD의 교체론까지 인터넷에 떠도는 수상한 시절을 만나게 됐다. 이 사내는 또 어떤 기지를 발휘할까. 우리는 〈무한도전〉 200회를 온전히 볼 수 있을까. 지난 5일 오후 경기도 일산 MBC에서 만난 김태호 PD는 그간의 숱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려줬다.

◇ Take 1. 김태호가 사랑한 ‘무한도전’

▲ MBC <무한도전> 김태호 PD ⓒ김태호 PD
‘쫄쫄이’를 입고, 욕탕에 물을 퍼내던 〈무모한 도전〉은 이제 5년이나 흘렀다. “생각해보면 유재석씨가 34살일 때 시작했고, 홍철이도 20대 후반에 시작했으니까. 이제 5년이 지났으니 많이 됐다고도 생각해요. 지난주에는 녹화를 5일이나 했어요. 정신없이 지내서 횟수로는 500회나 된 거 같은데. 아직 200회라니.”

그러면서 김 PD는 “올해는 뭔가 일을 낼 것 같다”며 목소리를 가다듬는다. “저도 5년간 일하면서 수차례 그만두려고 했지만, 위에서 계속 안 된다고 해서 접었어요(웃음). 대신 방송으로 하고 싶은 걸 풀어내고 있어요. 주말에는 DVD도 보면서, 시상식 쇼 공부를 하고. 근데 저 뿐만 아니라 멤버들도 엄청 노력해요. 연습실도 따로 마련할 정도니까요.”

연습실? 가수도 아닌 〈무한도전〉 멤버들이 연습실을? “아! 주말에 따로 모여서 춤 연습도 하고, 아이디어 회의도 해요. 오로지 〈무한도전〉만을 위한 거예요. 저한테도 자극이 되고, ‘나만 생각하면 안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죠.” 언론에 알려지지 않았던 〈무한도전〉의 비밀이 하나 벗겨졌다.

이런 상승세는 프로그램의 에너지로 고스란히 반영된다. 정형돈, 길, 노홍철이 신년기획으로 내놓은 다이어트 아이템이 대표적이다. “프로그램의 책임감이 그만큼 크다는 거죠. 유재석씨가 알래스카 촬영 때 혹시나 제작비에 영향을 줄까봐 비행기 값을 본인이 내겠다고 한 거나, 호텔에서 자지 말고 한인 교회에서 자자는 것만 봐도 그래요. 어느 연기자들이 그러겠어요.”

‘식객’ ‘악마는 구리다를 입는다’ ‘갱스 오브 뉴욕’ 등의 빽빽한 스케줄을 단 5일 만에 소화해야 했던 뉴욕 특집은 고난의 행군이었다. “‘외화낭비’라는 비판을 듣지 않기 위해서라도 저희는 뉴욕에 간 김에 무조건 많이 찍어 오자고 했죠. 시차적응도 끝나기 전에 밥 먹으면서도 조는 멤버들에게 커피를 몇 리터씩 갖다 먹이면서 찍었어요. 2시간씩 재우고 찍었는데, 마지막 날 밤 9시에 휴식시간이 딱 1시간 남더라고요. 그 땐 좀 미안했어요(웃음).”

◇ Take 2. 김태호가 추구하는 ‘예능의 작가주의’

김태호 PD는 예능의 ‘작가주의’를 입버릇처럼 되뇌어왔다. 예능에서 자칫 강요하기 쉬운 감동을 시청자에게 강요하지 않았다. “감동을 만들지 말자는 주의예요. 닭살스러워서요. 감동은 글로 자막이나 음악으로 전달되는 게 아니잖아요. ‘몇 시간째 OO하는 멤버들’ 같은 자막은 나중에 다 걷어 내버려요.”

시청자들을 계몽주의적 사고에서 보면 안 된다는 생각이다. 한국의 패더급 챔피언 최현미 선수와 일본의 츠바사 선수의 경기에서 애국심을 시청자들에게 강요하지 않은 것이 ‘좋은 예’다. 그는 츠바사 선수의 패배를 부각시키지 않았다. 김 PD는 “거기에 국가주의를 넣었으면 얼굴을 못 들고 다닐 방송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절박함의 싸움”으로 부각된 대결은 영화 〈주먹이 운다〉와 같은 비장미를 선사했다.

한편으로 〈무한도전〉은 ‘궁 밀리어네어’에서 선보인 서울의 궁, ‘식객’ 편의 비빔밥 등을 통해 재미 속에 의미를 담으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한국에 대한 이미지 개선 사업은 돼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무조건 한식하자며 청와대가 결식아동 예산 빼다가 한식에 300억 원을 집어넣는 건 소용이 없어요. 뉴욕에서 제가 느낀 건, 한식 그 자체만으로는 전혀 궁금증을 불러일으킬 수 없다는 거예요.”

▲ MBC <무한도전> 200회 특집에서 마련한 '가상의 2000회 종방연'이다. 과연 이 때까지 <무한도전>은 생존해 있을까. ⓒ김태호 PD

1년짜리 벼농사 특집에서도 김태호 PD의 실험은 계속됐다. 무한도전 6~7명의 멤버들은 1년 동안 정성스레 땅을 일궜다. 성과가 좋지 않았을 때 쏟아질 비판도 각오해야 했다. 김태호 PD는 “리얼 버라이어티가 생겼는데 농촌에 가서 뭘 체험하고 오는 걸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며 “그렇게 해야 농촌에서 하는 리얼리티라고 스스럼없이 말할 수가 있다”고 강조했다.

〈무한도전〉이 담고 싶은 ‘의미’는 더 많다. 경술국치 100년을 맞이해 올해 8·15에는 〈무한도전〉의 색깔로 광복절을 기념할 예정이다. 이미 자료준비에도 착수했다. ‘공정무역’으로 대표되는 커피를 대신해 배추와 같은 채소를 구매하고 판매를 한 뒤 수익금을 농민에게 돌려주는 아이템도 고민하고 있다. “농촌은 우리의 버릴 수 없는 근원적 일터”라는 게 김태호 PD의 지론이다. 그가 담아낼 의미는 아직도 많아 보인다.

◇ Take 3. 김태호가 말하는 200회 이후는?

〈무한도전〉100회 이후 가장 큰 특징은 ‘돈가방을 갖고 튀어라’, ‘꼬리잡기’, ‘Yes or No’ 와 같은 게임의 극성을 강화한 ‘어드벤처 형식’을 도입했다는 것이다. 만화 〈은하철도 999〉의 주인공이 매회 내린 역에서 겪게 되는 새롭게 맞이하는 환경처럼, 멤버들에게도 전혀 다른 환경들을 제시했다.

하지만 김 PD는 “100회 이후에 캐릭터가 조금은 반복적인 느낌이 들었다”며 “뭔가를 만들어가는 내용도 좋겠지만, 로드무비 형식에서 벗어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처음엔 감도 잡지 못하고 쭈뼛쭈뼛 하던 멤버들도 이젠 게임 적응력이 ‘선수’라고 불러도 될 만큼 빨라졌기 때문이다.

▲ MBC <무한도전> 200회 특집 공연. 우리는 200회 특집을 볼 수 있을까. ⓒ김태호 PD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김 PD는 “멤버들이 100회까지 개인의 성장이 있었다면 200회까지는 환경의 발전과 변화가 있었다. 200회 이후는 두 개의 융합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야외를 배경으로 하지 않고, 방안에서 할 수 있는 아이템이 될 수도 있을 것이고, 하하의 복귀작인 ‘예능의 신’처럼 스튜디오에서 주제 없이 펼쳐지는 “심플한 것으로 회귀할 타이밍”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200회 특집은 어떻게 꾸며졌을까. “생방송 특집처럼 했어요. 누군가를 속이기 위한 것이에요. 사실은 딜레이 생방인데, 퀴즈도 풀고, 공연도 하고, 뮤직비디오도 여러….” 더 말하면 ‘스포일러’다. 자, 우리는 〈무한도전〉의 200회를 손꼽아 기다려야 할 일만 남았다.

김태호 PD의 말·말·말

〈무한도전〉을 둘러싼 위기는 3가지로 압축된다. ‘위기설’을 부치기는 인터넷 언론, 과도한 ‘심의’ 잣대를 들이대는 방송통신심의위, 그리고 MBC 총파업이다. 김태호 PD가 말하는 세 가지 사안.

◇ “언론 때문에 멤버들 상처받아”

“〈뉴스 후〉처럼 〈기사 후〉 같은 코너를 만들어 기자를 부르고 싶었어요. ‘왜 그런 기사를 썼냐’고 말이에요. 우린 매주 싸울 수 있는 능력이 없어요. 전화를 해보면 ‘이해해 달라’는 등의 이유를 들이대요. 말이 안 되죠. 멤버들 노력의 대가가 이유 없이 폄하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요.”

◇ ‘찮은이형’ 퇴출? “말하지 말라는 거죠”

“‘퐈이아’도 못쓰게 했더라고요. 말하지 말라는 것과 똑같죠. 왜 이렇게 예능에 대해 심한 잣대를 들이대는지 모르겠어요. 한편으로 이해는 되면서 안타까워요. 요즘엔 폐지설까지 나오는데, 근원이 어디인지를 모르겠어요. (폐지로 가는) 과정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예요.”

◇ “파업? 신뢰를 깼으니까!”

“파업은 김재철 사장이 약속을 깬 것이니까, 노조는 뒤통수를 맞은 것이라고 생각했을 거예요. 본인도 타이밍이 최고라고 했다고 하죠. 외부 시민단체의 비판까지 감수하면서 노조가 신뢰를 걸고 한 약속인데 그걸 깼어요.”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