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9년 영화 <아바타>가 상영된 후 3차원 영상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면서 정부는 3차원 영상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방송사는 3차원 영상물을 제작에 나섰고, 가전사는 3DTV 단말기와 관련된 내용들을 연일 발표했다. 

3년도 지나지 않은 지금 상황은 어떠한가? 정부 정책은 3차원 영상보다는 스마트TV 영역으로 이동한 느낌이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아날로그방송 종료 후 발생하는 여유 주파수 대역인 700㎒ 를 확보하지 못해, 듀얼(dual) HD 3차원 영상서비스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유료 다채널사업자들은 종합편성채널들의 등장으로 채널 배정을 위한 주파수 대역이 부족한 상황에서 3차원 영상서비스는 엄두도 못 내고 있다. 또한 가전사들은 얼마 전부터 3DTV보다는 스마트TV 광고에 힘을 쏟고 있다. 진정 3DTV 시대가 스마트TV 시대로 이동한 것인가? 이제라도 3DTV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 것인가. 

첫째, 지상파방송의 경우 2013년부터 HD방송이 본격적으로 제공될 경우 현재로서는 별도의 3D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여유주파수가 없는 실정이다. 3D콘텐츠를 송출하기 위해 현재 사용 중인 6㎒로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지상파방송사가 3D방송을 본격적으로 제공하기를 원한다면 주파수 부족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 지상파방송에게 공공재라 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을 배정하는 것은 방송의 공익성,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목표이기 때문이다.

위성방송도 3D방송을 싱클HD방식으로 제공 중이지만, 만약 지상파방송사가 듀얼 HD방식으로 제공할 경우 주파수 대역과 채널의 조정이 불가피한 실정이고, 정부가 방송채널 정책을 어떻게 이끌고 가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케이블TV사업자는 일반적으로 860㎒급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케이블방송,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인터넷전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3D방송을 위해서는 채널 확보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망에 대한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

둘째, 영화와 방송에 대한 로드맵을 분리해 추진해야 한다. 현재 3D 입체영상에 대한 논의와 정부의 지원정책은 영화와 방송영상을 구분하지 않고 진행되고 있다. 실제 영상시장에서는 영화를 중심으로 3D영상의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프라 구축도 역시 영화 산업이 한 발 앞서고 있다. 이는 <아바타>의 성공 이후 기대 수요가 높아졌고, 영화 관람료도 2D 영화보다 1.5~2배 이상 높아 투자한 만큼 회수할 수 있는 시장 여건이 조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3D방송의 경우, 위성방송에서 일부 3D콘텐츠를 제공하고 있고 월드컵 경기나 소수 스포츠 경기에 대해 지상파방송사에서 실험방송을 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3D콘텐츠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약 5년 정도 소요될 전망이기 때문에, 향후 시장 여건을 고려하여 영화시장과 방송시장의 로드맵을 차별화해야 한다. 방송의 경우 영화만큼 입체감을 크게 할 필요가 없으며 방송은 연속적으로 장시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입체영상 제작 가이드라인 측면에서도 차별화가 필요하다. 영상을 보는 물리적 여건도 다르다.

영화는 안경을 쓰고 정면에서 영상을 관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가정에서 방송을 볼 경우에는 누워서 보기도 하고 앉아서 보기도 한다. 누워서 시청할 경우 셔터방식은 가능하지만, 편광방식으로는 입체 영상을 볼 수 없다. 따라서 영화와 방송 중 어떤 영상이냐에 따라 선택하는 3D 카메라의 기종, 촬영 방식, 그리고 후반 작업이 모두 달라질 수 있다. 그런데 현재 3D 제작과 교육과정은 모두 영화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방송 영상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 최성진 서울과학기술대 매체공학과 교수

 

셋째, 3D 영상산업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가치 사슬별로 정부의 지원정책과 투자 전략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영화와 방송시장은 단기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문제와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인 로드맵을 파악해 시기별로 투자 전략과 정부 정책이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시장 내에서 민간 기업이 자발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개발 외에 3D 관련 방송장비와 핵심 기술의 개발에 적극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또한 3D 콘텐츠의 제작과 유통을 수행해야 하는 미디어 기업이 느끼는 현안들을 해결하면서 불필요한 규제들을 풀어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