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태원의 세태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34)’을 2012년 버전으로 패러디 했음을 먼저 알립니다. 문단과 문장 특성 등을 흉내내 보았습니다. 소설은 3인칭 관찰자시점이나 ‘유림은’이라고 쓰자니 차마 오글오글해 1인칭 주인공 시점을 사용했습니다.

휴가를 낸 월요일,
아침이었다. 시간이 있어도, 딱히 하고 싶은 것이 없어, 마음에 괴로움이 일었다. 짐을 챙겨 무작정 시내 카페로 나가, 사원증을 목에 걸고 종종걸음 치는 사람들을 내려다보자니, 내가 꼭 저렇지 싶어 측은하다가도, 당장은 커피 한 잔의 여유를 부리고 있으니 괜한 우월감에 비실비실 웃음이 나기도 하는 것이었다.

그때, 아침부터 욱신대던
오른 눈이, 갑자기 불타는 듯하였다. 거울을 보니 핏대가 가득 선 것이 필경, 눈병에 걸린 모양. 서둘러 짐을 챙겨, 주변을 보니, 안과와 성형외과 일색이라. 새초롬한 간판의 안과에 들어서니 요즘 유행한다는 병원 코디네이터인 듯한 여성이 종종걸음 치며 다가와, 충혈 된 내 눈을 보고는 대번에, “저희는 안성형(라식,라섹)만 하고 있어 안질환은 진료하지 않습니다. 죄송합니다”하는 것이었다. 나는 그 매정한 깍듯함에 “아.. 네”만 하고 돌아서길 몇 차례. 가는 안과마다 같은 대우에, 그나마도 몇 차례 거절 끝에 찾아간 병원 대기실에서도 군식구가 된 느낌에 좌불안석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드디어 호명되어 진료실에,
입성하였다. 의사 선생은 손전등으로 내 눈을 비춰보더니 감기바이러스가 눈으로 발현된 것이라며, 예상 경과 등을 말해주는 데, 마치 경마 아나운서인 양, 그 말의 빠르기가 보통을 넘어, 나는 그 말을 해독하는 데만도 정신이 아득하였다. 말인 즉, 이 병은 별달리 낫게 할 방도가 없으니 안약을 넣고 며칠 뒤 다시 병원을 찾아오라는 것. 말이 끝나기도 무섭게 나는 간호사의 손에 이끌려 진료실 밖 무슨 찜질기 같은 것에 앉혀진 것이었다.

겨우 마주한 의사에게,
병명도 묻지 못하고 그저 기다리라는 알량한 답만을 얻고 진료실을 나서는 수밖에 없었던 나를 스스로 몇 번이고 자책하였다. 나는 왜 바보같이 내 병명도 모르고, 고작 기다리는 일 밖에 없다면 왜 또 며칠 뒤 왜 다시 병원에 오라는 것인지, 등을 묻지를 못하였나, 못난 나를 자책하고 그게 왜 나를 자책할 일이냐 또 자책하기를 몇 번. 마치 배터리 다된 휴대폰 마냥 당이 떨어져, ‘그래, 나는 돈을 내러 겨우겨우 여기까지 찾아온 거였군’ 하는 생각을 끝으로 자책을 그만두었다.

▲ 박유림 EBS PD
그 알량한 진료의 대가로,
만원을 지불하고, 처방전을 들고 다시 대도시 가운데 서니, 길 가운데 입간판을 들고 서있는 사람이 보인다. 5만 명이 자기 옆을 지나가는데 마치 사람이 아닌 양, 간판인 양 서있자니 본인도 마음이 엉망인지 애먼 휴대폰을 내려다보고 있다. 저 사람에게도 나에게도 이 대도시는 쌀쌀맞기만 한 것 같아, 대도시에 살기 위해서 내 인간성은 몇 푼을 더 벌어 도시에 지불해야 하는가, 씁쓸한 뒷맛을 느끼고, 인간 입간판을 등지고 나는, 다시 5만 명 군중 속에 묻히는 수밖에 없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