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UHD 방송 시작한다지만 … 곳곳 암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뒤쳐진 지상파 차세대 방송

정부가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초고화질 방송 UHD(Ultra High Definition)를 지상파 방송에선 이르면 2015년에는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여곡절 끝에 유료방송과 4년까지 벌어진 UHD 방송 도입 시점을 1~2년으로 줄이긴 했지만 유료방송 중심의 차세대 방송 추진에 대한 우려와 지상파 UHD 방송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애초 계획보다 1년 앞당겨 내년부터 UHD 방송을 상용화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케이블방송부터 위성방송, 지상파 방송 순으로 이르면 2015년까지 UHD 방송 상용화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미래부는 지난 4월 UHD 방송을 2015년에 상용화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차세대 방송기술 로드맵(안)을 제시하고 각 방송사업자들과 구체적인 논의를 해왔다. 지상파·케이블 위성방송 사업자들은 미래부가 구성한 ‘차세대 방송기술 협의회’에서 UHD 방송 도입 시기를 앞당기겠다는 계획을 제출함에 따라 상용화 시기도 당겨졌다. 지상파도 당초 2018년에서 2015~2016년에는 UHD 방송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했다. 미래부는 사업자들과 협의를 거쳐 오는 7월 초에 차세대방송 기술 종합 발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 삼성이 출시한 UHD TV.
정부의 UHD 방송의 추진 속도는 일본이 UHD 방송 도입 시점을 2년 앞당겨 내년에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빨라졌다. 차세대 방송 시장을 노리고 잰걸음을 하고 있는 일본을 의식한 탓이다. 일본 가전업체는 우리나라보다 앞서 UHD TV를 시장에 내놓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국내 가전업체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면서 방송사들도 빨리 대응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됐다”며 “UHD 방송을 조기에 상용화하면 정체된 방송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지상파의 UHD 방송은 변수가 많아 장담하기 어렵다. UHD 방송을 선보이기 위해 추가 주파수가 필요한 지상파는 700㎒ 대역 확보가 관건이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UHD 방송을 위해 주파수 84~96㎒ 폭이 더 필요하다고 추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방송사들은 현재 방송용으로 쓰던 700㎒ 대역 가운데 용도 지정을 하지 않은 주파수 68㎒ 폭을 방송용으로 할당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통신업계에서도 남은 68㎒ 폭을 통신용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이 때문에 미래부도 지상파 UHD 방송 상용화 시기를 가용 주파수 확보를 전제조건으로 붙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동환 방송기술인연합회장은 “700㎒ 대역을 확보하지 못해 지상파가 차세대 방송 경쟁에서 뒤쳐지게 되면 UHD 산업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미래부가 검토 중인 로드맵을 차질없이 이행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주파수 업무를 분담하고 있는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와 미래부는 700㎒ 용도 지정에 대해 아직까지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방통위도 현재 차세대 지상파방송 로드맵을 수립 중이지만 미래부와 비교하면 논의 속도는 더딘 편이다. 이 때문에 “미래부와 방통위 모두 지상파 차세대 방송에는 관심이 없다”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지상파 차세대 방송의 전송방식과 기술 표준도 변수로 작용한다. 미래부는 현재 미국이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인 차세대 방송 표준(ATSC 3.0)이 완료되는 2015년경까지 기다렸다가 국내 지상파 UHD 방송 표준을 확정 짓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지상파에선 “실체가 없는 미국식 기술표준이 마련되기까지 기다리면 실제 지상파 차세대 방송은 더 늦춰질 수 밖에 없다”며 “UHD 방송 상용화 시기에 맞춰 전송방식과 표준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방송계 안팎에서는 지상파가 소외된 차세대 방송 추진을 경계하는 목소리는 꾸준하게 나오고 있다. 유료방송 중심으로 차세대 방송이 추진할 경우 콘텐츠 확보가 어려울 뿐더러 시청자의 무료 보편적 시청권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미래부도 UHD 방송의 성공 열쇠는 콘텐츠 확보에 있다고 보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현재 지상파에서 유료방송에 관련 콘텐츠를 확보하기 여의치 않기 때문에 영화 콘텐츠를 가져오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일반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과도 콘텐츠 수급이 가능한지 계속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동준 공공미디어연구소 부소장은 “유료방송 중심으로 차세대 방송을 시작하면 가장 우려되는 게 콘텐츠 확보 문제인데 PP들이 UHD 콘텐츠 생산할 수 있을지 희의적”이라며 “정부에서 여러차례 PP콘텐츠 육성책을 들고 나왔지만 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MSP)를 제외하고는 결실을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부소장은 “유료방송 중심으로 차세대 방송 도입을 계속 추진하게 되면 고화질의 화면을 유료방송으로 TV를 보는 시청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서 시청자의 선택권을 제약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