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병원도 자본에 잠식된 세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윤 쫓는 병원 통해 세태 비판

[PD저널=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아마도 이수연 작가는 탐사보도를 했어도 잘 했을 것 같다. tvN<비밀의 숲>에서 검찰 내부의 부조리를 살인사건을 통해 추적해가는 과정을 담아낸 그는 이번 JTBC<라이프>에서는 배경을 병원으로 옮겼다. 의학드라마의 외형을 지녔지만 이수연 작가답게 장르적 틀을 따라가기보다는 자신이 지금껏 추구해왔던 ‘시스템 고발’에 더 초점을 맞춘다.

병원장의 갑작스런 죽음과 새로 부임한 구승효 사장(조승우)의 경영 혁신은 그간 별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고 지내던 예진우 응급실 전문의(이동욱)를 움직이게 만든다. 명분은 지역 병원을 돕는다는 것이지만, 사실은 만성 적자의 원인이 되고 있는 응급실, 산부인과, 소아과를 모두 지방으로 파견 보내려는 게 구승효 사장이 경영이라는 이름으로 댄 첫 번째 메스질이다.

의사들은 반발한다. 자본주의의 논리로 병원을 재단하고, 의사들 또한 ‘돈벌이’ 수단으로 취급되는 상황. 예진우가 사내게시판에 ‘파견3과=적자3과’라는 글을 죽은 병원장의 이름으로 올린 일은 도화선이 된다. 의사들은 모여 파업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파업을 논의하는 와중에도 선우창(태인호) 장기 이식 코디네이터처럼 사장의 측에 서서 논의되는 이야기를 사장에게 전화로 전하는 인물이 있다. 병원도 사업체와 다를 바 없다는 구승효는 구조를 바꾸려고 하고, 예진우는 그에 맞서 병원을 지켜내려 한다.

<라이프>는 기존의 의학드라마들이 다루곤 했던 의사와 환자 사이의 이야기와는 사뭇 다른 풍경을 그려낸다. 병원을 둘러싼 자본주의적 욕망들과 그 안에서 환자들을 어떻게든 지켜내려 하지만 의사들도 저마다의 생계가 있는 직업인이기도 하다.

애초부터 병원을 통해 수익을 내려는 자본주들은 환자의 생명은 들여다보지도 않는다. 돈이 안 되는 응급실, 산부인과, 소아과를 명목만 남겨놓고 돈이 되는 암센터나 검진센터, 장례식장을 세워 돈을 벌려고 한다. 심지어 환자기록까지 계열 보험회사에 팔아넘겨 이득을 남기려는 계획도 세운다. 우리가 생각하는 병원과는 사뭇 다르다. 환자는 의사가 살려야 할 소중한 생명이 아니고, ‘돈줄’에 불과해진다.

▲ 지난 31일 방송된 JTBC<라이프> 현장 포토.ⓒJTBC

그저 드라마라고만 보기 어려운 건 현실의 병원들이 이미 이 길을 걸어가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토록 많은 검진센터들이 들어서는 이유는 리스크는 적으면서도 지속적으로 돈을 벌어들일 수 있는 캐시카우이기 때문이 아닌가.

대학재단 종합병원이 이 정도면 개인병원들을 아예 대놓고 장사를 목적으로 한다. 성형외과나 피부과 여성클리닉, 남성클리닉 등의 이름으로 개인병원이 들어서는 걸 보면 그만큼 수익률이 높기 때문이다. 의사의 ‘돈벌이’는 자본주의 사회의 극단을 보여준다. 사람의 몸을 갖고 돈벌이를 하는 세상. 자본주의가 침투하지 않은 곳은 더 이상 없다는 뜻이다.

<라이프>는 슬금슬금 다가와 어느새 자본화한 병원의 숨겨진 얼굴을 끄집어낸다. 구승효라는 사장이 그 얼굴을 드러내는 일종의 항원이라면, 병원 내 사람들이 저마다의 욕망을 드러내는 갖가지 반응은 일종의 항체반응이다. 과연 이 병원이라는 몸은 항원-항체 반응의 결과로 어떤 모습을 취하게 될까. 돈벌이 기계가 된 병원일까, 아니면 그래도 생명의 존귀함을 다루는 병원일까.

<라이프>가 그리는 병원은 사회의 축소판이기도 하다. 물질적‧정신적 풍요와 행복을 내세우고 있지만 사실은 그 밑바닥에선 자본의 움직임이 존재한다는 것. 결국 <라이프>는 자본에 의해 변질되어가는 사회 전반의 현실을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질문한다. 과연 이래도 되는 걸까.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