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치는 수익 정보에 가려진 유튜버 노동환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목받다가 금방 잊힐까 두려워” 불안감 호소하는 크리에이터들
정부 정책 콘텐츠 지원 양성에 방점...노동환경 분석 걸음말 단계

지난해 10월 14일 '유코치(유튜브 코치)' 크리에이터와의 대화 행사의 모습. ⓒ뉴시스
지난해 10월 14일 '유코치(유튜브 코치)' 크리에이터와의 대화 행사의 모습. ⓒ뉴시스

[PD저널=이준엽 기자] “크리에이터는 대중에게 얼굴을 공개하다보니 카페만 가도 사람들이 알아보고 사진을 찍어요. 익명으로 쓰는 악플이나 '구독을 끊었다'는 댓글을 보면 우울감이 생기고, 공황장애도 걸리기 쉬운 상황이 되는 거죠.” 

27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A씨는 크리에이터들이 느끼는 불안감과 압박감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다. 유튜버가 돈을 쉽게 버는 직업이라고 인식되면서 '구독자별 수익'이나 '수익 구조'에 대한 정보는 넘쳐나지만, 이들이 처한 노동 환경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있다. 초등학생들이 희망 직업으로 꼽는 크리에이터가 사회에서 '직업'으로 인정받고 뿌리내리기 위해선 실태 파악과 환경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크리에이터들의 직업적 특성은 연예인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많은 BJ나 유튜버들이 얼굴을 공개하는 이유는 구독자들에게 신뢰를 주고, 친밀감을 쌓기 위한 목적이 크다. 하지만 소속사가 있더라도 악플 공격을 받거나 외부 리스크가 발생할 때 도움을 받기 어려운 구조다.

자유롭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은 '무한노동'으로 이어지고 불안정한 수익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최근 화제가 된 유튜브 콘텐츠 <가짜사나이> 2기에 지원한 크리에이터들도 면접 영상에서 스트레스가 심하다고 토로했다. “번아웃을 겪다보니 제 할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정신적으로 약해졌다”, “하루하루 영상을 올리면서 내일은 내가 잊히지 않을까, 마음에 불안함을 가지고 있다” 등 크리에이터라는 직업적 특성이 반영된 압박감이었다.  

크리에이터 공모전은 지방자치단체들이 기관 홍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크리에이터 공모전은 지방자치단체들이 기관 홍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한국노동연구원이 2018년 크리에이터 250명을 상대로 실시한 실태조사에서도 큰 수입 편차와 낮은 만족도 등은 확인됐다.  

<‘미래의 직업 프리랜서> 보고서에 따르면 크리에이터들의 업로드 영상 제작시간은 평균 35.9시간. 주 2회~3회 주기로 콘텐츠를 올린다는 답변이 많았는데, 주 2회면 71.8시간, 주 3회면 107.7시간 일하는 셈이다. 

또 한 달에 최대 5000만 원을 버는 크리에이터가 있는가 하면, 주업인 경우에도 최소 5만 원을 버는 크리에이터도 있어 수입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값의 경우도 주업인 경우는 150만 원이어서 낮은 소득을 올리는 크리에이터가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이들이 직업의 안정성과 함께 사회안전망에 포섭되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먼저 노동법적 지위를 파악하고 재해 발생 가능성 등을 함께 확인하는 조사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가지고 전업으로 활동할 인력이 시장이 많아져야 하는데, 크리에이터의 활동 영역이나 특성별로 환경 개선방안과 정책 방안을 다르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1인 미디어 산업을 키우기 위해선 종사자들이 처한 현실에 부합한 정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정부의 크리에이터 관련 정책은 크리에이터 양성과 콘텐츠 지원에 쏠려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이 지난 6월 마련한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방안’에서 1인 미디어 관련 정책은 '1인 미디어 클러스터' 조성 등 콘텐츠 제작 지원이 대부분이다. '종사자 노동환경 개선'이 추진 과제에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걸음마 단계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1인 크리에이터의 노동환경 연구 과제는 올해 예산 상황이 좋지 않아서 소규모 표본으로 시범 실태조사만 진행하고 있다”라며 "크리에이터들은 등록이나 허가를 받고 활동하는 게 아니라서 실태를 조사하는 게 어려운 부분이 있다. 내년 초에 나오는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노동환경 개선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