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발 묶인 예능, ‘집방’ ‘트로트’ 올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0 예능 결산] 비대면 제작 일상화...흥행 장르 쏠림현상 뚜렷
미디어 소비 패턴 다양화로 스핀오프 콘텐츠 열풍...'부캐' 등장으로 세계관 확장

올해 역대급 시청률과 화제성을 모두 잡은 TV조선 '미스터트롯'
올해 역대급 시청률과 화제성을 모두 잡은 TV조선 '미스터트롯'

[PD저널=방연주 대중문화평론가] 2020년 방송가는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를 맞닥뜨렸다. 외부 활동을 자제해야 하는 만큼 해외로 떠나는 여행 예능을 비롯해 야외 버라이어티는 포맷을 바꾸거나 스튜디오 예능으로 전환해야 했고, 음악방송은 무관중 공연으로 선회해야 했다.

한껏 위축된 상황에서 TV 속 볼거리는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일각에서는 미디어 환경에 발맞춘 색다른 시도를 벌이긴 했지만, 트로트 등 흥행 소재에 편승하는 흐름이 강하게 나타났다. 올해 예능 프로그램을 키워드 중심으로 짚어 본다.

너도나도 뛰어든 트로트 열풍

트로트 열기는 작년에 이어 올해 예능까지 휩쓸었다. 지난해 TV조선<내일은 미스 트롯>의 흥행과 MBC<놀면 뭐하니?>의 부캐릭터 ‘유산슬’이 트로트 가수로 데뷔한 데 이어 올 초에는 <내일은 미스터 트롯>이 예능계 신드롬을 일으켰다. <미스터 트롯>은 종편이라는 한계에도 최고 시청률 35.7%까지 치솟는 등 기염을 토해냈다. 

TV조선은 <내일은 미스터 트롯> 출연진을 내세운 <신청곡을 불러드립니다-사랑의 콜센타>, <뽕숭아 학당>을 편성하며 시청률 견인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트로트 열풍은 온라인도 뜨겁게 달궜다. 스마트미디어렙(SMR)에 따르면 <사랑의 콜센타>의 누적 조회 수가 5억 6천만회를 기록하며 화제성을 장악했다. 

지상파와 종편‧케이블 채널도 트로트 예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SBS<트로신이 떴다1,2>,  MBN<트로트퀸>, MBC every1<나는 트로트 가수다>를 줄줄이 내놓았고, 현재 KBS<트롯전국체전>, MBC<트로트의 민족>가 방영되고 있다. 치열한 콘텐츠 경쟁으로 한 자릿수 시청률조차 확보하기 어려운 가운데 트로트 열풍을 타고 10%대의 시청률을 유지하고 있다. 

방송사마다 나름대로 차별화를 내세워 자사의 트로트 예능을 홍보하는 데 열을 올렸다. 하지만 ‘소재 우려먹기’, ‘포맷 베끼기’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고, 일부 시청자들은 트로트 예능에 피로감을 호소했다. 트로트 부흥을 이끈 TV조선은 오는 17일 <내일은 미스트롯2>를 내놓고 새해에도 흥행가도를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방송사들이 내민 ‘흥행카드’로 언제까지 달콤한 과실을 달콤한 과실을 누릴 수 있을까.

올해는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이 길어지면서 '집방' 열풍도 이어졌다. tvN '신박한 정리' 예고화면.
올해는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이 길어지면서 '집방' 열풍도 이어졌다. tvN '신박한 정리' 예고화면.

부동산, 집콕족?!…‘집방’의 진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일상화되면서 ‘집방’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과거 ‘집방’은 ‘리모델링’을 통해 주거공간의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면 올해는 취향, 심리, 노하우를 전하거나 1인 가구 혹은 반려동물 가구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집방’이 시청자 곁을 찾았다. 

작년부터 방영된 MBC<구해줘 홈즈>는 의뢰인이 원하는 가격대에 맞춰 매물을 찾아주는 ‘집방’으로 안착했고, 지난 6월부터 유명 연예인의 집안을 정리하며, 정리 비법을 전수한 tvN<신박한 정리>도 자리를 잡았다. 파일럿으로 방영됐다가 내년 1월부터 정규 편성된 SBS<나의 판타집>은 출연자의 로망에 부합하는 현실 속 판타집에서 살아보는 ‘체험 리얼리티’를 선사했다. 

나날이 치솟는 집값에 ‘서울 바깥’을 주목하는 ‘집방’도 등장했다. JTBC<서울엔 우리집이 없다>, 채널A <Bye Seoul 여기 살래?> 등은 전국 각지에 숨은 알짜배기 집을 소개한다. 한편 파일럿 2부작으로 방영된 MBC <돈벌래>는 호재와 악재, 입지를 분석하는 ‘부동산 예능’을 앞세웠지만, “공영방송이 부동산 투기를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으며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힐링’과 ‘집’을 결합한 ‘집방’도 나왔다. tvN<바퀴 달린 집>에서는 작고 이동 가능한 ‘이동식 주택’을 소개했고, KBS <땅만 빌리지>에서는 연예인이 땅을 빌려 세컨하우스에서 자급자족하며 마을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담아내는 등 다양하게 변주된 ‘집방’이 방영됐다.

올해 스핀오프 제작 붐이 일면서 MBC가 '나혼자 산다' 스핀오프 콘텐츠로 선보인 '여은파'.
올해 스핀오프 제작 붐이 일면서 MBC가 '나혼자 산다' 스핀오프 콘텐츠로 선보인 '여은파'.

미디어 변화 급물살을 타고 스핀오프 향연

다매체 다채널 시대 변화의 급물살에 몸을 실은 방송사들은 안방을 넘어 유튜브로 활동 영역을 적극적으로 넓혔다. 기존처럼 프로그램 제작에 그치지 않고, 플랫폼에 걸맞게 자유로운 포맷의 스핀오프 콘텐츠를 선보이며, ‘본방’보다 더 큰 화제성을 일으키기도 했다.

MBC<나 혼자 산다>에서는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여자들의 은밀한 파티-여은파> 콘텐츠를 따로 제작해 내보냈다. <여은파>는 박나래, 한혜진, 화사가 부캐릭터인 조지나, 사만다, 마리아로 변신해 등장한다. 본방송 직후에는 <여은파-순한 맛>을 편성해 12주 연속 동시간대 1위를 차지했다. 유튜브에서는 수위를 넘나드는 멘트로 구성한 ‘매운맛’ 버전으로 누적 조회수 2,200만뷰를 돌파하며 유종의 미를 거뒀다.  

tvN에서는 <신서유기> 멤버를 중심으로 <강식당>‧<아이슬란드 간 세끼>‧<마포 멋쟁이>‧<삼시네세끼>‧<나홀로 이식당>‧<언제까지 어깨춤을 추게 할 거야> 등 기존 프로그램의 세계관을 확장한 스핀오프를 선보였다. 코미디TV <맛있는 녀석들>도 <JOB룡 이십끼>,<오늘부터 댄스뚱>을 내보냈다. 특히 <오늘부터 운동뚱>에서 김민경이 배운대로 운동을 바로 흡수하는 재능을 발휘해 그야말로 ‘흥’했다.  

스핀오프는 아니지만, MBC의 유튜브 콘텐츠 <오느른>의 선전은 의미가 남다르다. <오느른>은 MBC PD가 전북 김제에 폐가를 사서 하나하나 고쳐가며 시골에서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브이로그다. 섬세한 연출과 구성으로 빠르게 입소문을 탔고, 구독자수는 21만 명을 넘어섰다. 제작진의 도전 정신과 시대의 흐름에 발맞춘 방송사의 실험이 어우러진 레거시 미디어의 성과로 평가받을만 하다. 

MBC '놀면 뭐하니'는 진행자 유재석이 부캐로 분해 '싹쓰리' '환불원정대'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
MBC '놀면 뭐하니'는 진행자 유재석이 부캐로 분해 '싹쓰리' '환불원정대'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다.

‘평타’ 친 장수예능

코로나19로 인해 한껏 위축된 방송가에서 장수 예능은 그나마 안전장치였다. KBS<슈퍼맨이 돌아왔다>·<1박 2일 시즌4>, MBC<나 혼자 산다>, SBS<런닝맨>·<동상이몽2-너는 내 운명>·<미운 우리 새끼> 등은 ‘평타’ 수준의 시청률과 화제성을 이어갔다. 하지만 장수 예능이어도 시대의 흐름에 살아남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KBS<개그 콘서트>는 장장 21년 만에 폐지 수순을 밟아야 했다. 

스타 PD의 활약이 눈에 띄었다. 김태호 MBC PD는 <놀면 뭐하니?>를 통해 ‘부캐 열풍’을 지폈다. 유재석이 트로트 가수 유산슬, 라섹, 유르페우스, 유고스타, 지미유 등으로 분하며, ‘유(YOO)니버스’를 형성했다. 이어 이효리, 비가 뭉친 ‘싹쓰리’는 새로움보다 과거의 영광을 재현한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음원 차트를 휩쓸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환불원정대’는 ‘센 언니’들의 조합으로 색다른 시너지를 보여줬다. 

서혜진 TV조선 제작본부장은 올해 하반기 다소 밋밋한 관찰 예능에서 적나라한 리얼리즘으로 승부수를 띄웠다. SBS에서 TV조선으로 이적한 서 PD는 <아내의 맛> 시리즈와 <미스 트롯> 시리즈로 흥행을 거둔 데 이어 실제 이혼한 커플을 내세운 <우리 이혼했어요>를 기획해 내보내고 있다. 나영석 PD도 tvN<신서유기>처럼 포맷화된 예능을 꾸준히 제작하는 동시에 독특한 콘셉트의 숏폼 콘텐츠를 대거 내놓으며 젊은층 사이에 큰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유튜브 예능과 디지털 콘텐츠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PD의 개인 역량에 기댄 예능 제작은 한계가 뚜렷해 이용자의 소비 패턴과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려는 방송사들의 노력이 필요해보인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