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업 ‘장시간 노동’ 논란인데...조선일보 "주52시간 벤처 싹 잘라"
상태바
IT기업 ‘장시간 노동’ 논란인데...조선일보 "주52시간 벤처 싹 잘라"
조선일보, 오는 7월 주52시간 전면 적용에 '영세기업 비상'
경향신문 "'장시간 노동'‧'갑질' 고질적인 병폐 해결 못하면 IT기업‧스타트업 미래 없어"
  • 박수선 기자
  • 승인 2021.06.07 09:12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가 연예뉴스 댓글을 폐지한다. ⓒ 네이버
장시간 노동과 직장내 괴롭힘 문제로 비판을 받고 있는 네이버. 

[PD저널=박수선 기자] 네이버 직원 사망으로 IT 업계의 열악한 노동환경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조선일보>는 오는 7월부터 5인 이상 사업장에도 적용되는 주52시간 근무제에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조선일보>는 7일자 1면, 3면에 걸쳐 5인 이상 50인 미만 영세기업들이 주52시간 시행으로 비상이 걸렸다고 보도했다. 

건축 단열재용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한 업체 대표 이모(69)씨는 <조선일보>에 “7월부터 주 52시간제를 시행하면 잔업을 못해 월급이 줄어들게 뻔하니, 일 좀 한다는 직원들이 대부분 떠났다”며 “공장을 정상적으로 가동하려면 최소 10명은 더 뽑아 2교대로 돌려야 하는데, 이렇게 하면 적자를 피할 길이 없다”고 호소했다.

<조선일보>는 “(5~49인 사업장에 준 3년의 주52시간제) 유예 기간 동안 상황은 더 악화했다는 게 중소·벤처기업의 지적이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에다 최근엔 코로나 여파로 외국인 근로자마저 구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초기 스타트업의 주52시간 적용에 대해 "소수의 멤버들이 밤낮없이 제품·기술을 개발하고 성공하면 주식으로 대박을 터뜨리는 실리콘밸리식 성공 방정식이 흔들리는 것"이라며 "소규모 스타트업들은 주 52시간 근무제가 벤처 창업 생태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주 52시간제에 대한 대비 자체가 부족할 뿐 아니라, 이를 지키다 보면 단기간 집중적으로 일을 해서 성과를 내는 벤처의 성공 방정식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라고 했다.  

정부는 30인 미만 기업은 내년 12월 31일까지 노사 합의를 거쳐 특별연장근로를 1주에 8시간까지 할 수 있도록 보완책을 내놨다. <조선일보>는 정부의 대책에 대해서도 "뿌리산업 제조업체나 스타트업 운영자들에겐 그조차도 현실적 도움이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며 "1주일 8시간이면 하루 2시간도 채 안 된다. 생색내기에 그치는 보완책"이라는 한 중소기업 대표의 불만을 덧붙였다. 

그러면서 대안으로 업계에서 주장하는 외국인 노동자 차등 임금 지급을 들었다. 

<조선일보>는 “중소기업계는 현행 외국인 근로자 제도를 개선해 노동력 확보의 어려움과 인건비 부담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중소기업계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는 것은 최저임금을 내국인과 아무런 차이 없이 적용하는 것”이라고 업계의 목소리에 힘을 보탰다. 

조선일보 6월 7일자 3면 기사.
조선일보 6월 7일자 3면 기사.

네이버 직원의 사망을 계기로 IT업계에 만연한 갑질과 '장시간 노동'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고 있는 분위기 속에 반노동 논조를 여실히 드러낸 보도다.  

네이버 노조는 주52시간 위반 정황이 포착됐다며 네이버에 대한 특별근로감독 진정을 하기로 했다. 네이버 노조가 3개 사내독립기업 소속 조합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10%가 ‘주 52시간을 초과해 일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경향신문>은 7일자 1면 <직장 갑질‧초과노동 네이버 노조가 ‘특별근로감독 진정’>에서 “해당 조합원들은 ‘서류상’ 초과 노동시간 발생을 피하기 위해 근태관리 시스템에 근무시간을 실제보다 적게 입력하고 휴게시간은 늘려 잡았다. 법정 노동시간이 다 차서 자동으로 생성된 임시 휴무일에 업무를 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경향신문>은 사설에서 “장시간 노동과 과로‧스트레스‧갑질은 네이버‧카카오만의 문제가 아니다. IT기업과 스타트업의 고질적인 병폐”라며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IT기업과 스타트업에는 미래가 없다”고 했다. 

이어 “문제는 기업들이 알고도 선제적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며 “기업들은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조직문화를 바꾸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뭐냐 2021-06-07 13:59:35
국가가 근무 시간까지 간섭을 하니.. 보상책이나 제도화해서 근로자들 보호하면되지.. 이러니..나라 꼴이. ㅉㅉ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