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왜 ‘우군(友軍)’이 없는가

|contsmark0|본란에서 되풀이하는 얘기지만 요즘의 ‘방송때리기’는 가히 가학적이다. 아무리 필자가 여기저기 가는 곳마다 소리높여 “방송의 잘못은 인정하지만 나쁜 x은 따로 있으며 현업 방송인은 피해자에 불과하다” 혹은 “방송도 사회통합과 환경감시를 위해 기여한 것이 있으며 방송민주화를 위해서 나름대로 노력했는데 너무 매도하지만 말라” 나아가 “방송인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인정해주지 않고 무슨 좋은 방송을 기대하느냐”는둥 대거리를 하고 다녀도 메아리 없는 외침에 불과할 때가 많다.아직 노골적으로 말을 안 해서 그렇지 학계, 시청자 단체,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방송을 보는 눈은 싸늘하기 그지없다. (혹시 이것이 제발 저린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들이 방송을 불신하고 우려하는 것에는 충분한 역사성과 타당성이 있다. 편파·불공정과 선정·폭력으로 압축되는 우리 방송의 원죄는 100여일이 넘는 파업투쟁과 무노동무임금 정도로 보속(報贖)되지 않는다. 그것으로 방송현업인이 무임승차하지는 않았다고 자기위안을 삼을 수 있을지는 모르되 세론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그들은 오히려 현업인들이 왜곡된 구조에 순치된 채 몇 차례의 파업 투쟁으로 ‘면피’만 하려 한다고 보는지도 모른다. 투쟁을 했는지는 모르지만 어떻든 결과만을 보면 본질적으로 달라진 것이 없지 않느냐는 것이다. 강고한 파업 투쟁으로도 깨뜨려지지 않는 것이 우리 방송의 구조적 모순이라는 것은 변명에 그친다. 그리고는 이제 방송현업인이 개혁의 걸림돌이라는 말도 서서히 나오고 있다. kbs 2tv의 분리를 반대하는 것도, mbc의 민영화를 반대하는 것도 다 기득권 고수를 위한 것이며 이에 찬성하는 타방송사의 의견도 자사이기주의의 발현으로 풀이된다. 외주제작 확대 조치를 반대하는 것도 현재의 유리한 조건에 안주하려는 소치로 간주된다.한마디로 ‘우군(友軍)’이 없는 것이다. 그럴 정도로 지금까지의 방송에 대한 불신이 심각했다는 반증으로 이해하고 싶어도 야속하기만 하다. 하지만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세간의 여론이 틀린 것도 아니다. 시청자가 보는 것은 tv수상기일 뿐이다. 그 너머에 방송사 내부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는 알 바 아니다. 노조나 현업 단체가 아무리 투쟁을 했더라도 그것이 화면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외부에서는 현업인이나 간부 경영진이나 다 한통속으로 보일 뿐이다. 그들에게는 파업조차도 사상자가 나오지 않는 ‘약속대련’으로 비칠지 모를 일이다.대부분의 개별 pd들 역시 조직논리에 봉사하기로는 예외가 아니다. 이번의 연합회보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는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타의에 의해 프로그램이 수정된 경험이 있는 pd는 63.4%에 달한다. 프로그램이 변질된 요인으로는 86.0%가 ‘간부진과의 의견차이’를 들고, 29.6%가 ‘경영진의 압력’을 들고 있다. 특히 기획·제작 단계에서 부당한 간섭이 있을 경우 56.2%가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고 있다.pd가 하는 일은 모두 선(善)으로, 결재선상에 있는 간부나 경영진의 지시는 모두 부당한 간섭으로 본다면 논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번의 소위 ‘프로그램 구조조정’에서 드러났듯 그들이 내리는 결정이 얼마나 자기보신적이고 기만적인 것인지는 분명하다. 그럴진대 언필칭 개별 pd는 독립된 존재며 전문가라고 자임하던 pd들이 정작 자신의 자율성이 도전받는 국면에서는 그저 조직논리에 복속하고 있음은 유감이다. 귀찮아서, 좋은 게 좋아서, 뭐 그렇게까지 목매달 필요 있겠느냐며 순응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방송현업인들이 말로는 “우리는 잘 하려 했는데 방송사가, 방송제도가 문제라서 그렇다”고 아무리 떠들어도 똑같이 ‘그렇고 그런 x들’로 비치게 돼 있다.미디어 연구자 토드 기틀린(todd gitlin)은 텔레비전을 보면 매우 멍청할 것 같은 방송사의 간부, 프로듀서들이 실제로 만나서 이야기해보니 의외로 똑똑하더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어찌 들으면 시니컬하기만한 이 말은 아마도 시청률과 관료조직에 지배당하고 프로듀서의 창의성이 부정되는 미국의 사정을 지적한 것이겠지만 어찌 그것이 미국에 한한 얘기일 수 있겠는가. 도리어 자본과 권력의 교활한 통제에 놓여진 우리의 현실이 더 엄혹할 것이다. 게다가 훨씬 관료화된 조직 풍토에 방송인들이 사로잡혀 있으니 말할 나위가 없다.그렇다면 해결책은 없는가. 앞서 설문조사의 나머지 결과가 시사해 준다. 기획·제작단계에서 부당한 간섭이 있을 경우 응답자의 20.2%가 주관대로 계속 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화시키거나 제작을 포기하는 쪽보다 생산적이고 적극적이다. 이 20.2%가 앞으로 우리 pd들을 구원할 것이다. 부당한 간섭과 타협하지 말고 논쟁하며 프로그램으로 실천하라. 해답은 우리 내부에 있다. 그리하면 우군(友軍)은 십자군처럼 몰려올 것이다.<본보 발행인>
|contsmark1||contsmark2|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