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의 눈] 꼭꼭 숨겨라, 네 단점 보일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버스커버스커 장범준의 ‘보이스컬러’는 매력적이다. 흡사 동아리방 문을 삐걱 열자 먼지가 부유하는 역광을 배경으로 기타치고 있는 (심지어 눈인사도 건네지 않는) 동아리 오빠를 목소리로 구현한 느낌이랄까. 아무튼 목소리만으로 소구하는 바가 분명 있다. 더 높이 사야할 것은 그는 자신의 매력을 너무 잘 알고 있다는 점인데, 그가 작사한 가사들은 그의 목소리 분위기와 환상적으로 어울리며 가공할 만한 음악을 만들어 냈다. 오오오! 그런데 왜 〈슈퍼스타K 3〉에서 2등한 거야?

장범준은 애석하게도 ‘고음처리’가 안 된다. 〈슈퍼스타K 3〉 심사위원들에게서 꾸준히 지적 받아온 부분이기도 하다. 보컬에게 ‘고음불가’란 얼마나 치명적인가. 서바이벌 프로그램별 지원자가 100만 명을 넘는다는데 그 어마한 경쟁률을 뚫고 올라온 뮤지션들이라면 다들 1등이 된다해도 무리가 없는 실력자들일 것이다. 실력자들 간의 탈락과 합격의 모호함 속에 고음불가와 같은 단점이란 얼마나 명징한 탈락 이유가 될 것인가! 각자가 가진 매력의 크기를 비교하고 누가 더 훌륭한 음악을 하느냐를 가리고 있는 것은 서바이벌과 어울리지 않는다. 서바이벌은 생존! 약점이 보이면 찌른다. 고음 불가? 당연히 아웃!

그러다보니 초점은 자연스레 ‘누가 더 매력적인 음악을 하는가?’가 아니라 ‘누가 더 무결한 음악을 하는가?’에 맞춰진다. 심사위원들도 합격의 이유보다는 탈락의 이유를 찾는 쪽이 편해 보인다. 보라, 그들이 얼마나 많은 시간을 경연자의 단점을 이야기하는데 할애하는지. 칼자루를 쥔 자들의 기준이 그렇다면 경연자들의 준비과정도 당연히 단점 보완에 맞춰진다. 그래서인지 (말하기 조심스럽지만) 서바이벌 프로그램 우승자들은 대부분 깎은 듯이 노래를 잘 하지만 뚜렷한 개성을 찾기 어렵다.

이것이 비단 서바이벌 프로그램만의 문제일까? 이 사회를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서바이벌 아닌가. 튀는 순간 가장 먼저 생사의 기로에 선다. 모난 부분은 정을 대 ‘깎아라. 둥글게 둥글게.’ 하지만 애석하게도 살아남게 된 순간, 최우선 방침이었던 ‘둥글게 둥글게’는 최대 약점이 된다. ‘그래, 살아남았으니 이제 어떻게 살아 갈 건데? 네가 가진 무기는 뭐야?’라는 질문에 할 답이 없다. 내 장점도 단점도 다 깎여나가 이제 난 너무 순결한걸.     생사문제를 떠나면 훨씬 풍요로워 진다.

 

▲ 박유림 EBS PD

 

보라, 버스커버스커의 음악이 몇 주 째 그것도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곡이 계속 음원차트 상위권에 있고 버스커버스커 음악을 듣지 않고 길을 걸을 수가 없을 지경으로 이 나라 전체가 ‘버스커버스커 앓이’ 중이다. 그들의 음반이 누구보다 빨리 출시 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단점이 없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개성이 뚜렷했기 때문이다. 개성이 대중에게 정확히 어필했다. 이제 스스로에게 질문할 차례다. 누가 당신을 심사하는가? 누가 당신의 삶을 두고 서바이벌을 말하는가? 서바이벌 뒤 당신의 삶은 예비 되어 있는가?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