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계도 나선 '김어준의 뉴스공장' 논란..."새로운 평가 기준 마련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BS·방송학회, 29일 '공영라디오 위상과 사회적 역할' 세미나
"객관성 중립성 등 저널리즘 평가 기준 추상적이고 무차별적"
"시사 대담 프로그램 한계, 어디까지 감안할 것인지 중요"

29일 TBS와 한국방송학회의 주최로 프레스센터에서 '멀티 플랫폼 시대, 공영 라디오의 위상과 사회적 역할'  세미나가 열렸다.
29일 TBS와 한국방송학회의 주최로 프레스센터에서 '멀티 플랫폼 시대, 공영 라디오의 위상과 사회적 역할' 세미나가 열렸다.

[PD저널=박수선 기자] 뜨거운 논쟁거리로 떠오른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대해 뉴스나 탐사 보도와 다른 새로운 평가 기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나왔다. 

29일 TBS와 방송학회가 TBS 미디어재단 전환 1주년을 기념해 마련한 세미나는 ‘공영 라디오의 위상과 사회적 역할’을 제목으로 걸었지만, 사실상 <김어준의 뉴스공장>(이하 <뉴스공장>) 토론회였다.  

사회를 맡은 심미선 순천향대 교수는 “TBS는 기존 라디오 매체와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면서 사라질 것 같았던 라디오의 복원을 가져왔다”며 “최근 논란이 굉장히 많은 <뉴스공장>은 다양한 의견이 공존한다. 라디오의 유용한 공론장으로 자리매김할지 모색해보는 시간이 될 것 같다“고 토론의 문을 열었다. 
 
사회인식론의 관점에서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분석한 이정훈 신한대 교수는 시사 대담 프로그램의 특성에 주목했다.  

이정훈 교수는 “저널리즘 질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객관성·정확성·중립성 등을 이야기하지만,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평가하기에는 너무 추상적이고 무차별적”이라며 “저널리즘 평가할 때 외부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데, 저를 포함한 언론학자들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부분이 많다. 구체적인 평가 기준을 정립하는 과제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 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시사 대담 프로그램은 데일리(뉴스) 저널리즘과 탐사 저널리즘과 세부 인식 목적과 인식적 특성이 다르다”면서 “데일리 저널리즘처럼 출입처 정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고, 탐사 저널리즘만큼의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는 점은 시사 대담 프로그램의 타고난 한계로, 어디까지 감안할 것인지가 중요하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시사 대담 프로그램 인터뷰에 대한 신뢰성 확보 등은 제작진의 책임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현장에 없었던 제작진이 목격자(인터뷰이) 증언의 진위를 판단하는 것은 인식론적으로 어려운 문제“라면서도 “사회적인 파급력이 큰 음모론적인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밝혀진 뒤에도 그냥 넘어가는 것까지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라고 지적했다.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홈페이지 갈무리.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홈페이지 갈무리.

토론자로 나온 임종수 세종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저널리스트들이 검어준씨를 대하는 태도가 호의적이지 않다. 저널리즘 기회를 빼앗아 갔다는 이유 등으로 정서적 반감이 강하다”면서 “김어준씨 출연료 보도도 많이 나왔는데, 시사 토크쇼를 진행하면서 어떤 진행자가 그 정도의 재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까 생각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박진우 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미디어 이용 행태 변화 등의 결과물로 <뉴스공장>을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박진우 교수는 “지난 10년 동안 진행된 디지털 전환 끝에 저널리즘의 모습이 변했고, 대중이 찾은 저널리즘이 저런(<뉴스공장>) 형태일 수 있다”며 “언론학자와 현장의 언론인들이 데일리 프로그램과 차별적인 평가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종합편성채널 등장으로 보도의 양식이 다양해졌을 때 시도했어야 했는데 이제라도 되짚어봐야 하고 그 과정에서 생겨난 <뉴스공장> 역시 고찰의 대상이라고 본다”라고 덧붙였다.

TBS 재원 마련 방안을 주제로 발표한 최일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은 “TBS 브랜드 정체성과 슬로건, 비전, 미션 등의 연관성과 명확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라디오, 팟캐스트 등  수용자 범위의 한계로 목표 수용자 계층의 도달률이 미약하다”며 “서울시 지원과 상업광고 허용 여부는 TBS가 수행하는 기능과 역할에 따른 부분이므로 먼저 기능과 역할을 중심으로 마케팅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상업광고가 금지된 TBS는 전체 예산의 70~80%를 서울시에서 지원받고 있다. 이런 구조에선 캠페인과 협찬광고 형태의 수익모델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최일도 연구위원은 “채널 브랜드, 프로그램 경쟁력 등으로 시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독립적인 재원 구조가 가능한지 회계적 판단이 필요하다”면서 “공영성은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의 필요와 인식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므로, 대다수 시민이 요구하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브랜딩하는 작업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