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중계, 자발적 시청료 뜨거운 호응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촛불의 힘, 뜨는 미디어] ② 오마이TV

오마이뉴스는 지난 달 2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 개방 반대 촛불문화제가 처음 시작됐을 때부터 현장을 지켰다. 오마이뉴스에서 운영하는 오마이 TV는 초기 촛불문화제 현장은 물론 지난 24일부터 새벽까지 이어지던 촛불문화제 현장도 놓치지 않았다.

경찰의 강경진압이 시작되면서 생중계의 힘은 더 커졌고, 오마이뉴스를 향한 네티즌들의 지지는 높아졌다. 일부에선 오마이뉴스가 2002년 대선, 2004년 탄핵 사태에 이어 제 3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 네티즌들의 호응 덕분에 오마이뉴스에서 운영하는 오마이TV는 5월 생중계 평균 트래픽이 4월 대비 10배 증가하는 성과를 얻었다. ⓒ오마이뉴스
촛불문화제 현장에서 오마이뉴스 기자들은 단연 환영을 받는다. 생중계를 잘 보고 있다며 기자들에게 통닭을 사다주거나 촬영 기자들의 짐을 들어주는 시민도 있다. 심지어 경찰이 물대포를 쏠 때 우산으로 물대포를 막아주는 사람도 있단다. 일부 언론사 기자들에 대해 아예 취재를 거부하거나 적대적으로 대하는 것과는 정반대의 반응이다.

네티즌들의 호응 덕분에 오마이뉴스에서 운영하는 오마이TV는 5월 생중계 평균 트래픽이 4월 대비 10배 증가하는 성과를 얻었다.

특히 ‘생중계’에 대한 네티즌들의 뜨거운 호응은 ‘자발적 시청료’ 내기 운동으로까지 확산됐다. 공짜로 생중계를 보는 만큼 네티즌들이 그 대가를 스스로 지불하겠다는 것이다.

지난 26일 시작된 오마이 TV의 자발적 시청료 내기 운동은 시작된 지 불과 9일 만에 시청료 1억 원을 돌파했다.

오마이뉴스 측은 5일 오후 3시 30분 기준 자발적 시청료 내기 운동에 참여한 건수가 모두  3만3905건이며 금액으로는 1억3007만8847원이라고 밝혔다.
 
특히 오마이TV는 2일 하루 동안에만 ARS 2038건, 신용카드·휴대폰 등 온라인 결제 592명, 자발적 유료화 CMS 결제 121건, 통장 입금 235건 등 모두 2986건, 1734만 5150원을 모으는 성과를 얻었다.

이종호 오마이뉴스 방송팀장은 “ ‘날것’ 그대로를 보여주는 것이 오마이TV의 장점이자 단점인 것 같다”며 “일반인들의 기자들에 대한 불신이 네티즌들의 호응을 끌어낸 것 같다”고 말했다.

 

▲ 이종호 오마이뉴스 방송총괄팀장
현장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기 위해 오마이TV는 촛불문화제가 처음 시작된 지난 달 2일부터 꾸준히 생중계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생중계가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

특히 ‘체력’이 문제다. 촛불문화제 초기엔 오후 7시에 문화제를 시작해 10~11시쯤이면 끝났지만, 24일 이후 시민들의 거리행진과 경찰의 강경진압이 시작되면서 상황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다음날 아침까지 거리 시위가 이어지면서 하루를 꼴딱 새는 경우가 태반이다.

시위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점도 방송팀에겐 어려운 상황이다. 이 팀장은 “지금은 특정 단체나 노조 등에서 시위를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이끌어가기 때문에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상황으로 흘러간다”고 설명했다.

인력도 충분한 상황은 아니다. 방송팀을 모두 합해도 5명. 현장에는 보통 3~4명이 나가고, 현재는 아르바이트생 한 명이 도와주고 있다고 한다.

경찰의 강경진압이 시작된 이후에는 기자들의 취재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강경진압에 대비해 토요일 저녁부터는 헬맷을 챙겨 쓰고 나가기 시작했어요. 살수차가 등장했으니 앞으로는 방수가 되는 옷이라도 하나씩 챙겨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은 방독면을 사는 사태만 벌어지지 않기를 바라고 있죠.”

이러한 어려운 여건에도 시민들의 뜨거운 반응이 힘이 된다. 촛불문화제 현장에서 오마이뉴스 기자들은 단연 환영을 받는다. 생중계를 잘 보고 있다며 기자들에게 통닭을 사다주거나 촬영 기자들의 짐을 들어주는 시민도 있다. 심지어 경찰이 물대포를 쏠 때 우산으로 물대포를 막아주는 사람도 있단다. 일부 언론사 기자들에 대해 아예 취재를 거부하거나 적대적으로 대하는 것과는 정반대의 반응이다.

이 팀장은 현재의 사태에 대해서는 “70~80년대식 사고를 가진 정부와 21세기를 살고 있는 시민들이 싸우고 있는 상황”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정부에서 배후설을 얘기하는 등 70·80년대식 사고로 21세기에 살고 있는 시민들을 규정하고 재단하려고 하니 시민들의 분노만 더 키우고 있다는 얘기다.

그는 특히 “미국산 쇠고기 사태가 끝나고 나면 민영화, 한반도 대운하 문제 등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며 “시민들을 바라보는 방식 바뀌지 않으면 이런 상황이 매번 재연될 텐데 우리는 얼마나 더 많은 야근을 해야 될까 걱정된다(웃음)”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팀장은 언제까지 생중계를 할 생각이냐는 물음에 명쾌하게 답했다. “시민들의 분노가 가라앉을 때까지 생중계 해야죠”.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