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방송진출 경쟁 본격…과열 양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장 임원 등 직접 나서 조직 총괄…언론단체 “종편 특혜 안돼”

방송법 등 여당이 7월 국회 본회의에서 날치기 처리한 언론관계법의 법적 효력 논란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지만, 정부·여당의 법 개정 기정사실화 속에 조·중·동을 비롯한 신문과 일부 방송사들의 종합편성·보도전문채널(PP) 진출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언론법 개정 논의 당시부터 종편 참여가 확실시 됐던 조·중·동의 경우 사장 혹은 임원들이 직접 나서 방송진출을 위한 조직을 총괄하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조·중·동, 종편 진출 작업 본격화= 먼저 지난 6월까지만 해도 “방송을 하면 신문이 빨리 망한다”(방상훈 사장)면서 종편 진출에 부정적이었던 <조선일보>는 지난 7월 여당의 언론법 날치기 처리 국면과 맞물려 입장을 선회, 지난 10일 변용식 편집인을 단장으로 한 ‘방송진출기획단’을 구성해 종편 사업권을 획득하기 위한 본격 경쟁에 뛰어들었다.

기획단에는 조선의 주요 국·실 간부들이 겸직 형태로 참여하고 있으며 30명 수준의 인원은 점차 늘릴 계획이다. 최시중 방통위원장이 ‘다양한 단위의 참여’를 강조한 만큼 조선의 고위 관계자들은 현재 컨소시엄을 구성할 단위들을 찾아 분주히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일보>도 지난 13일 홍석현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방송본부 출범식을 열고 김수길 부발행인과 김교준 논설실장을 각각 방송본부장과 방송사업추진단장에 임명했다. 중앙은 그동안 특수 관계인 삼성그룹과 함께 방송 진출 준비를 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삼성그룹이 종편 진출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내 현재는 외국계 미디어 그룹과의 제휴가 예측되는 상황이다.

중앙은 현재 외국계 거대 미디어 그룹인 ‘AOL 타임워너’ 계열사와 함께 ‘카툰네트워크코리아’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여당이 날치기 처리한 방송법은 종편에 대한 외국인의 직접투자를 20%까지, 외국계 미디어그룹의 국내 법인을 통한 간접투자를 49%까지 허용하고 있다.

<동아일보>는 지난 18일자 신문 지면을 통해 종편 진출을 선언했다. 종편 진출을 전담할 방송설립추진위원회의 위원장은 김재호 <동아일보> 대표이사 사장이 맡기로 했으며 122명의 거대 인력을 배치했다. 동아가 종편 진입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자사 부동산 담보 출자에 나섰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 비통신 계열 대기업과 짝짓기에 성공했다는 소문도 있다.

보도PP인 MBN을 운영하고 있는 <매일경제>는 지난 5월 이미 ‘종편 채널 진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리고 종편 진출을 준비해 왔으며, <국민일보>도 지난 7월 ‘미디어전략팀’을 발족, 종편 진출에 나섰다.

보도PP 진출을 노리는 신문·통신사들의 준비 작업도 한창이다. <연합뉴스>는 지난 18일 35명으로 구성된 방송사업기획단을 출범, 보도PP 진출을 준비 중이다. <헤럴드경제>의 경우 박행환 사장이 ‘뉴미디어진출추진팀’의 팀장을 맡으면서 보도PP 진출에 전사적으로 나섰다. 헤경은 자본 조달을 위해 충무로 사옥 매각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송진출 과열양상 논란= 이미 방송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CBS와 YTN 등도 종편·보도PP 진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CBS는 지난 14일 노사 합의를 통해 ‘CBS 미래정책TF팀’을 발족, 종편 혹은 보도PP 진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보도채널인 YTN의 경우 종편 진출을 검토 중인데, 배석규 대표이사가 사장 직무대행을 맡은 이튿날인 지난 6일 관련 TF팀을 꾸리고 이를 공표, 민영화 논란을 불러일으키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케이블 방송들도 종편 진출을 전격 결정했다. 한국케이블TV협회는 25일 국내 4대 복수종합유선방송사(MSO)인 티브로드와 CJ헬로비전, HCN, 씨앤엠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종편에 진출키로 했다고 밝혔다.

언론들의 종편·보도PP 진출 경쟁이 과열되면서 언론계 주변에선 지상파 방송인 SBS도 종편 진출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소문도 돌았다. 그러나 SBS 구성원들은 “말도 안 된다”는 반응이다. 한 관계자는 “지상파의 위치를 버리지 않는 한 명분이 없다”면서 “최근 Xport를 인수하면서 경제채널을 검토하고 있는 것과 맞물려 와전된 게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종편·보도PP 진출 과열 양상은 통신·비통신 계열 기업들에게도 불똥이 튀고 있다. 방송진입을 위해 초기 자본만 3000억원 가량이 필요한데,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약한 신문사들이 고위 관계자들의 각종 인맥을 동원, 기업들에 10% 안팎의 지분참여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신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시중 방통위원장이 종편 등에 적극적인 입장에서 이를 등에 업은 신문들이 구애를 하는데, 대놓고 거절하기 어렵다. 그러나 사업의 불확실성 등을 봤을 때 선뜻 응하기도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지난 24일 성명을 내고 “사실상 지상파와 마찬가지인 종편은 ‘허가’가 아닌 방통위의 ‘승인’만 받으면 되고 의무재전송의 특혜와 함께 규제책조차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이라며 “방통위의 편향적 특혜를 바로잡지 않고 종편PP를 허가할 경우 방송의 공공성과 공익성은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