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큐칼럼]

이명박 정권의 방송장악 논란의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낙하산 사장, 특보 사장 임명에 이어 비판적 프로그램을 거세시키는데 고소·고발 남발, 경영진 압력은 다반사다. 아무리 눈치 없는 이들도 정부의 목표가 무엇인지 분명히 알 수 있다. 정부에 비판적인 취재 행위를 원천적으로 통제하려는 것쯤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 정도 상황이니 방송국 종사자들의 분노와 고통은 얼마나 극심할지 뻔하다. KBS와 MBC 모두 최장기 파업 투쟁을 했던 것도 바로 정권의 방송장악 음모 때문이었다.
 
노무현 정권에는 보수신문이 신뢰의 위기를 맞았다면, 이명박 정권에는 방송이 신뢰의 위기를 맞고 있다. 하루도 그칠 날 없는 방송 장악 행위들 때문에 방송 노동자들은 끊임없이 저항했고 시청자들은 우려의 시선을 멈추지 않았다. 전체 매체 환경을 측정하는 조사 결과들에서 방송의 신뢰도나 영향력은 하락했다. 아직 본격적인 조사 결과들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일부 조사에서 심각하게 방송의 신뢰도와 영향력은 떨어지고 있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지상파의 가장 중요한 활동 지표는 신뢰도다. 신뢰가 없으면 제 아무리 많은 국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도 아무 소용이 없다. 이제 방송은 국민들의 신뢰를 얻기에 부족해 보인다. 지금이라도 특단의 대책을 세워 정확한 정보 제공과 심층 분석 기능을 강화하지 않으면 신뢰를 얻기 힘들 것이다.

신뢰가 사라진 것은 정부에 대한 비판적 보도가 통제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잘 느끼지 못하지만 〈PD수첩〉이 불방된다든지, 비판적 프로그램이 사라진다든지, 공정방송 투쟁하는 방송노동자들이 해고당했다는 소식을 접하면 금방 사태의 심각성을 느낀다. 일상 속에서 여과 없이 접해왔던 정보들이 부실하다고 느꼈던 이유가 확인되는 순간들이다. 그래서 방송의 신뢰 하락은 매우 어려운 과제다. 지금이라도 방송사가 절치부심하지 않으면 향후 미디어로서 존립 근거가 심대하게 훼손될 지도 모른다.

얼마 전까지 가장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인재들이 모인 곳 중의 하나가 방송사였다. 단순히 채용 경쟁률이 아니라 다양하고 뛰어난 재능을 지닌 이들이 방송에 입문해서 수많은 프로그램과 뉴스로 대한민국을 선도해왔던 빛나던 전통이 있었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의 방송 장악 정책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분노와 체념에 휩싸이고 있다. 문제를 일으킨 정권이 결자해지 정신으로 해결할 가능성은 없다.

결국 방송의 신뢰 회복은 온전히 방송 노동자들과 국민들이 함께 풀어나가야 할 숙제다. 방송의 신뢰를 위해 뼈를 깎는 노력이 요구된다. 방송 현장 속에서 자율과 창의 정신을 살리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이를 간절히 염원하는 이들이 함께 손잡는 연대의 장 속에서 다시 신뢰의 꽃은 필 것이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