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분산·사회 환원 시스템 강화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BS 공익성 강화 긴급 토론회
SBS 노조비대위 “개혁위한 내부동력 강화가 먼저”

|contsmark0|방송계, 학계, 시민단체 등이 모여 sbs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돼 관심을 모았다. 전국언론노조와 문화연대는 지난 23일 인사동 철학카페 느티나무에서 ‘sbs의 공익성 강화를 위한 긴급토론회’를 개최했다.
|contsmark1|
|contsmark2|
이날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김재영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sbs 소유구조와 경영의 평가 및 문제점’이란 발제에서 “1990년 sbs의 설립이 인가된 당시 윤세영 회장은 앞으로 sbs를 중심으로 문화사업에만 전념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태영은 2002년 이후에 대부분이 하수처리업과 같이 방송문화 사업과 전혀 관련 없는 회사를 늘려 나갔다”고 지적했다.
|contsmark3|
|contsmark4|
이어 김 교수는 “sbs의 대주주인 태영은 2001년 당기순이익이 437억원인데 비해 sbs는 51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면서 “이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contsmark5|
|contsmark6|
그는 sbs의 소유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유지분 분산 △소유, 경영, 제작 및 편성간의 제도적 분리 △허가 및 재허가 제도의 강화 사회환원 시스템 강화 주식상장 및 매매의 일정한 제약 등을 제시했다.
|contsmark7|
|contsmark8|
이어 원용진 서강대 신방과 교수는 sbs 프로그램과 편성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sbs는 수용자들의 권리인 보편적 서비스권, 퍼블릭 엑세스권, 커뮤니케이션 권리에 대해 눈을 감고 있었다”며 “sbs는 ‘기쁨을 주고 사랑을 받겠다’고 말했지만 정작 수용자에게는 기쁨인 것처럼 여겨지는 허무한 기쁨을 주는데 그쳤고, 다양성을 담아내지 못함으로써 참여를 보장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contsmark9|
|contsmark10|
토론 과정에선 sbs 구성원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contsmark11|
이재국 경향신문 기자는 “sbs가 지상파 방송을 허가받은 이후 수많은 의혹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sbs 기자와 pd들은 진실규명을 위해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서 “바로 지금이 sbs의 양심 있는 기자와 pd들이 나서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contsmark12|
|contsmark13|
이 기자는 sbs 대주주인 태영과 관련해 “95년 11월3일 검찰이 노태우 전대통령에게 돈을 준 혐의가 짙은 기업주를 소환하는 과정에서 태영이 포함돼 있었으나 그 이후 수사 결과가 묘연한 상태이고, 또 같은 해 11월27일 국세청이 태영에 대해 세무조사에 들어갔으나 그 또한 결과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라며 “이런 부분은 국회 청문회 차원에서 검찰의 수사기록과 국세청 기록 등을 조사해 총체적으로 문제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contsmark14|
|contsmark15|
sbs를 향한 비판에 대해 sbs 노조 비대위원인 최상재 pd협회장은 “발제와 토론자의 얘기를 들으면서 충분히 공감하는 부분이 있었고, 앞으로 sbs가 나아가야 할 부분에서 옥조로 삼아야 할 것”이라면서도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은 지금까지 외부에서 지적하는 sbs 비판이 민영방송의 관점이 아닌 공영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라고 반론을 제기했다.
|contsmark16|
|contsmark17|
그는 또 “sbs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은 우선 내부의 동력을 강화해 밖으로부터의 개혁이 아닌 sbs 내부 구성원이 주체가 돼 개혁을 이뤄낼 것”이라고 밝혔다.
|contsmark18|
김광선 기자
|contsmark19|
|contsmark20|
|contsmark21|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